"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語源) |
(→文化)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재주재.png|500픽셀|오른쪽]] | [[파일:재주재.png|500픽셀|오른쪽]] | ||
− | 풀이 땅 위로 돋아나는 모양으로부터 나온 상형자라는 것이 가장 오래된 해석이다. | + | 才는 풀이 땅 위로 돋아나는 모양으로부터 나온 상형자라는 것이 가장 오래된 해석이다. 一은 땅이고, 삼각형은 싹이 튼 종자를 뜻하며 경우에 따라 역삼각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리고 丨로 지면을 뚫고 나온 새싹과 땅 아래의 어린 뿌리를 함께 표현하였다. 핵심은 십자형이고, 후에 소전체에서는 십자형을 따라 아래 부분에 지사자를 추가하기도 한다.<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2006</ref> |
+ | 한편 [[시라가와 시즈카]]는 才를 십자형의 표목에 축문을 담은 그릇이나 부적을 묶어둔 형태로 본다.<ref>시라가와 시즈카,『한자 -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2005</ref> 이는 굿을 할 때 장대를 세우는 것 처럼 신을 부르는 방법이다. 그 장소가 신성한 장소라는 것을 알리는 표시이기 때문에 매우 주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ref>시라카와 시즈카, 『주술의 사상』, 사계절, 2008, p.42.</ref> | ||
==文化== | ==文化== | ||
+ | 才가 재주의 의미를 가진 이유는 다음과 같다. 才의 모습을 보면 줄기가 땅으로 나온 모습만 있고 가지나 잎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언젠가 가지와 잎을 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람도 처음 태어날 때부터 자신의 재주를 가진 채 태어나고, 자라면서 언젠가 자신의 재능을 꽃 피울 것이므로 재주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ref>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ref> <br> | ||
+ | 한편 才가 땅에 튼튼하게 박힌 목재를 형상화한 글자로, 말뚝이나 기둥을 대표하며 材의 통용자로 쓰이면서 건축에 쓰이는 좋은 목재를 가리키다가 사람이나 물건까지 의미가 확장되어 재능, 인재 등의 관련어가 생겨났다<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p.71.</ref>고 보는 견해도 있다.<ref>김언종, 『한자의뿌리1』, 문학동네, 2001, p.793.</ref>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1년 3월 2일 (화) 11:46 기준 최신판
語源
才는 풀이 땅 위로 돋아나는 모양으로부터 나온 상형자라는 것이 가장 오래된 해석이다. 一은 땅이고, 삼각형은 싹이 튼 종자를 뜻하며 경우에 따라 역삼각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그리고 丨로 지면을 뚫고 나온 새싹과 땅 아래의 어린 뿌리를 함께 표현하였다. 핵심은 십자형이고, 후에 소전체에서는 십자형을 따라 아래 부분에 지사자를 추가하기도 한다.[1] 한편 시라가와 시즈카는 才를 십자형의 표목에 축문을 담은 그릇이나 부적을 묶어둔 형태로 본다.[2] 이는 굿을 할 때 장대를 세우는 것 처럼 신을 부르는 방법이다. 그 장소가 신성한 장소라는 것을 알리는 표시이기 때문에 매우 주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한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文化
才가 재주의 의미를 가진 이유는 다음과 같다. 才의 모습을 보면 줄기가 땅으로 나온 모습만 있고 가지나 잎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언젠가 가지와 잎을 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람도 처음 태어날 때부터 자신의 재주를 가진 채 태어나고, 자라면서 언젠가 자신의 재능을 꽃 피울 것이므로 재주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4]
한편 才가 땅에 튼튼하게 박힌 목재를 형상화한 글자로, 말뚝이나 기둥을 대표하며 材의 통용자로 쓰이면서 건축에 쓰이는 좋은 목재를 가리키다가 사람이나 물건까지 의미가 확장되어 재능, 인재 등의 관련어가 생겨났다[5]고 보는 견해도 있다.[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