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系"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語源)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맬 계.png|500픽셀|오른쪽]]
 
[[파일:맬 계.png|500픽셀|오른쪽]]
 
갑골문, 금문의 ‘系’자는 사람이 손을 사용해서 2가닥 또는 3가닥의 실을 연결하는 모습이다. 이 글자는 후에 전서체에 이르면서 손 모양이 없어지고 한 묶음의 줄을 나타내는 모양으로 간화되었다. 係와 혼용되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이체자로는 繫가 있다. ‘系’자의 원래 의미는 연결시키다. 관련이 있다이다. 위로부터 연결되어 아래로 내려오는 것도 ‘系’라고 부르므로, ‘系’자에는 잇따르다. 상속하다의 의미도 있다. 파생된 의미로는 계통, 혈통 등의 의미가 있다.  
 
갑골문, 금문의 ‘系’자는 사람이 손을 사용해서 2가닥 또는 3가닥의 실을 연결하는 모습이다. 이 글자는 후에 전서체에 이르면서 손 모양이 없어지고 한 묶음의 줄을 나타내는 모양으로 간화되었다. 係와 혼용되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이체자로는 繫가 있다. ‘系’자의 원래 의미는 연결시키다. 관련이 있다이다. 위로부터 연결되어 아래로 내려오는 것도 ‘系’라고 부르므로, ‘系’자에는 잇따르다. 상속하다의 의미도 있다. 파생된 의미로는 계통, 혈통 등의 의미가 있다.  
제사를 지낼 때 선조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표현하거나 고대 중국의 의사전달 방식이었던 ‘결승結繩’과 관련된 글자로 볼 수도 있다 <ref>『圖釋古漢字』, p102</ref>
+
제사를 지낼 때 선조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표현하거나 고대 중국의 의사전달 방식이었던 ‘결승結繩’과 관련된 글자로 볼 수도 있다 <ref>『圖釋古漢字』, p102</ref> 소전(小篆)은 손과 비단다발을 간소화하여 "[[파일:Image07.png|系(맬 계)의 소전 형태]]"를 쓰고, "[[파일:Image08.png]]"자를 따로 만들었지만 불필요하여 다행히 널리 퍼지지 않았다.
.
 
  
 
系孙: 먼 세대의 자손
 
系孙: 먼 세대의 자손
9번째 줄: 8번째 줄:
 
==文化==
 
==文化==
 
<설문해자> - 繋也。从糸丿聲。凡系之屬皆从系
 
<설문해자> - 繋也。从糸丿聲。凡系之屬皆从系
 
+
‘糸’를 뜻으로 丿를 소리로 한다. 系가 들어가는 단어는 모두 系의 의미를 따른다.
매다이다. ‘糸’를 뜻으로 丿를 소리로 한다. 系가 들어가는 단어는 모두 系의 의미를 따른다.
 
  
 
‘系’는 고치에서 실을 뽑는 과정이다.<ref>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16</ref> 누에와 뽕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이다. 뽕잎을 먹고 자라는 누에는 짧은 일생을 살지만 아주 바쁘다. 알에서 부화한 지 한 달이 지나면 실을 내뿜어 고치를 만드는데, 이후로 누에는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양잠은 여가시간을 이용해 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누에가 먹을 뽕잎을 따는 데만 해도 많은 손과 힘겨운 노동이 필요하다. 누에가 1톤 가량의 뽕잎, 즉 다 자란 뽕나무 30그루에 해당하는 양의 잎을 먹어야 겨우 5~6킬로그램의 비단실을 뽑아낼 수 있고, 그중 약 절반 정도만이 비단 짜는데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비단실의 길이는 약 1000미터에 이른다. 그리고 이 실을 얻기 위해서는 고치를 뜨거운 물에 넣어야 한다. 이때 번데기는 죽고 고치는 부드럽게 변해 실의 끝을 찾아 감기가 쉬워진다. 사람들은 언제나 동시에 아주 많은 양의 고치의 실을 잣는다. 실이 매우 가는 탓에 한 가닥씩 감는다는 게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ref>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15</ref>
 
‘系’는 고치에서 실을 뽑는 과정이다.<ref>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16</ref> 누에와 뽕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이다. 뽕잎을 먹고 자라는 누에는 짧은 일생을 살지만 아주 바쁘다. 알에서 부화한 지 한 달이 지나면 실을 내뿜어 고치를 만드는데, 이후로 누에는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양잠은 여가시간을 이용해 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누에가 먹을 뽕잎을 따는 데만 해도 많은 손과 힘겨운 노동이 필요하다. 누에가 1톤 가량의 뽕잎, 즉 다 자란 뽕나무 30그루에 해당하는 양의 잎을 먹어야 겨우 5~6킬로그램의 비단실을 뽑아낼 수 있고, 그중 약 절반 정도만이 비단 짜는데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비단실의 길이는 약 1000미터에 이른다. 그리고 이 실을 얻기 위해서는 고치를 뜨거운 물에 넣어야 한다. 이때 번데기는 죽고 고치는 부드럽게 변해 실의 끝을 찾아 감기가 쉬워진다. 사람들은 언제나 동시에 아주 많은 양의 고치의 실을 잣는다. 실이 매우 가는 탓에 한 가닥씩 감는다는 게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ref>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15</ref>
  
 
繫에서 殳는 고대의 긴 곤봉같은 무기를 뜻하고, 系는 이를 단단히 묶는 것, 그리고 軎는 전차 끝에 무기를 매달 수 있는 구멍을 뜻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전쟁에서 적진에 충돌할 때 전차의 앞에 곤봉을 밧줄로 묶어서 돌격하곤 했는데, 繫는 이를 가리킨다 <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p141</ref>
 
繫에서 殳는 고대의 긴 곤봉같은 무기를 뜻하고, 系는 이를 단단히 묶는 것, 그리고 軎는 전차 끝에 무기를 매달 수 있는 구멍을 뜻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전쟁에서 적진에 충돌할 때 전차의 앞에 곤봉을 밧줄로 묶어서 돌격하곤 했는데, 繫는 이를 가리킨다 <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p141</ref>
.
+
 
 +
현대 중국에서는 繫(맬 계)나 係(걸릴 계)의 간화자로도 쓰인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8, 61P</ref> 일본에서는 연결된 배열을 ‘系列(계열)’, 조상부터 자손까지의 인명의 계열 ‘系図(계도)’, 일정한 법칙에 따른 연결 ‘系統(계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용한자고 매우 재수가 좋은 한자로 이름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ref> 風船あられの漢字ブログ, 2014.11, http://huusennarare.cocolog-nifty.com/blog/2014/11/post-fe0f.html</ref>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2년 12월 16일 (금) 01:00 판

語源

맬 계.png

갑골문, 금문의 ‘系’자는 사람이 손을 사용해서 2가닥 또는 3가닥의 실을 연결하는 모습이다. 이 글자는 후에 전서체에 이르면서 손 모양이 없어지고 한 묶음의 줄을 나타내는 모양으로 간화되었다. 係와 혼용되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이체자로는 繫가 있다. ‘系’자의 원래 의미는 연결시키다. 관련이 있다이다. 위로부터 연결되어 아래로 내려오는 것도 ‘系’라고 부르므로, ‘系’자에는 잇따르다. 상속하다의 의미도 있다. 파생된 의미로는 계통, 혈통 등의 의미가 있다. 제사를 지낼 때 선조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표현하거나 고대 중국의 의사전달 방식이었던 ‘결승結繩’과 관련된 글자로 볼 수도 있다 [1] 소전(小篆)은 손과 비단다발을 간소화하여 "系(맬 계)의 소전 형태"를 쓰고, "Image08.png"자를 따로 만들었지만 불필요하여 다행히 널리 퍼지지 않았다.

系孙: 먼 세대의 자손

文化

<설문해자> - 繋也。从糸丿聲。凡系之屬皆从系 ‘糸’를 뜻으로 丿를 소리로 한다. 系가 들어가는 단어는 모두 系의 의미를 따른다.

‘系’는 고치에서 실을 뽑는 과정이다.[2] 누에와 뽕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이다. 뽕잎을 먹고 자라는 누에는 짧은 일생을 살지만 아주 바쁘다. 알에서 부화한 지 한 달이 지나면 실을 내뿜어 고치를 만드는데, 이후로 누에는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 양잠은 여가시간을 이용해 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누에가 먹을 뽕잎을 따는 데만 해도 많은 손과 힘겨운 노동이 필요하다. 누에가 1톤 가량의 뽕잎, 즉 다 자란 뽕나무 30그루에 해당하는 양의 잎을 먹어야 겨우 5~6킬로그램의 비단실을 뽑아낼 수 있고, 그중 약 절반 정도만이 비단 짜는데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비단실의 길이는 약 1000미터에 이른다. 그리고 이 실을 얻기 위해서는 고치를 뜨거운 물에 넣어야 한다. 이때 번데기는 죽고 고치는 부드럽게 변해 실의 끝을 찾아 감기가 쉬워진다. 사람들은 언제나 동시에 아주 많은 양의 고치의 실을 잣는다. 실이 매우 가는 탓에 한 가닥씩 감는다는 게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3]

繫에서 殳는 고대의 긴 곤봉같은 무기를 뜻하고, 系는 이를 단단히 묶는 것, 그리고 軎는 전차 끝에 무기를 매달 수 있는 구멍을 뜻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전쟁에서 적진에 충돌할 때 전차의 앞에 곤봉을 밧줄로 묶어서 돌격하곤 했는데, 繫는 이를 가리킨다 [4]

현대 중국에서는 繫(맬 계)나 係(걸릴 계)의 간화자로도 쓰인다. [5] 일본에서는 연결된 배열을 ‘系列(계열)’, 조상부터 자손까지의 인명의 계열 ‘系図(계도)’, 일정한 법칙에 따른 연결 ‘系統(계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용한자고 매우 재수가 좋은 한자로 이름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6]

  1. 『圖釋古漢字』, p102
  2.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16
  3. 한자왕국,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청년사, p.215
  4. 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p141
  5.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8, 61P
  6. 風船あられの漢字ブログ, 2014.11, http://huusennarare.cocolog-nifty.com/blog/2014/11/post-fe0f.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