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宮"의 두 판 사이의 차이
(→語源) |
(→語源)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宮자는 宀 과 呂를 따르고 宀 은 집의 형상이고 呂는 집이 아주 많고, 서로 이어지는 것의 의미를 나타낸다. 그래서 宮의 본의는 비교적 큰 가옥 건축물 혹은 건축물 집단 등을 가리킨다. 후세의 宮은 황제가 거주하고 있는 집이나 지역을 전적으로 가리킨다. 또한 종묘, 사찰, 도교사원 등의 대형 건축물 또는 집단 건축물을 가리켜 宮이라고 하였다. 宮은 또한 일반적으로 보통의 집도 가리킬 수 있다. | 宮자는 宀 과 呂를 따르고 宀 은 집의 형상이고 呂는 집이 아주 많고, 서로 이어지는 것의 의미를 나타낸다. 그래서 宮의 본의는 비교적 큰 가옥 건축물 혹은 건축물 집단 등을 가리킨다. 후세의 宮은 황제가 거주하고 있는 집이나 지역을 전적으로 가리킨다. 또한 종묘, 사찰, 도교사원 등의 대형 건축물 또는 집단 건축물을 가리켜 宮이라고 하였다. 宮은 또한 일반적으로 보통의 집도 가리킬 수 있다. | ||
− | 설문해자에 따르면 “宫, 집을 일컬으며, “宀”의 의미와 “躳”의 소리로 구성되고 사실 “宫“은 | + | 설문해자에 따르면 “宫, 집을 일컬으며, “宀”의 의미와 “躳”의 소리로 구성되고 사실 “宫“은 [[상형|육서]]자다. 갑골문 그림을 보면 테두리 안에 2-3개의 네모난 모양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는 2개 이상의 방이나 창문을 표현한 것이다. 금문, 소전의 자형도 이와 비슷하다. |
==文化== | ==文化== |
2022년 12월 22일 (목) 10:59 판
語源
宮자는 宀 과 呂를 따르고 宀 은 집의 형상이고 呂는 집이 아주 많고, 서로 이어지는 것의 의미를 나타낸다. 그래서 宮의 본의는 비교적 큰 가옥 건축물 혹은 건축물 집단 등을 가리킨다. 후세의 宮은 황제가 거주하고 있는 집이나 지역을 전적으로 가리킨다. 또한 종묘, 사찰, 도교사원 등의 대형 건축물 또는 집단 건축물을 가리켜 宮이라고 하였다. 宮은 또한 일반적으로 보통의 집도 가리킬 수 있다.
설문해자에 따르면 “宫, 집을 일컬으며, “宀”의 의미와 “躳”의 소리로 구성되고 사실 “宫“은 육서자다. 갑골문 그림을 보면 테두리 안에 2-3개의 네모난 모양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는 2개 이상의 방이나 창문을 표현한 것이다. 금문, 소전의 자형도 이와 비슷하다.
文化
宮의 고대 문자 형태를 바라보는 다른 여러 시각들이 있다. 첫 째는, 두 개의 방을 설계한 도면에 宀이 더해졌다는 해석이다. 이에 대한 근거는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宮자가 宀이 없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는 후에 진나라 시기, 문자통일 과정에서 하나의 동일한 범주(건축물) 속에 포함시키는 과정에서 宀자가 포함된 것이라고 한다.[1] 하지만, 위의 자형변화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갑골문이나 금문에서도 宀이 포함된 형태들이 보인다. 따라서 이 해석은 宀이 포함되지 않는 글자들만 살펴보고 내린 성급한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해석은 문과 창문이 있는 집의 형상이라는 것인데, 이러한 주장이 나오게 된 이유는 신석기 시대 유물 중 宮과 모습이 비슷한 진흙 모조품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2] 하지만, 이것은 후에 宮자가 궁궐이라는 의미를 지니게 된 과정에 대한 보충 설명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