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광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인물 평가百度百科‘许广平’) |
(→작품 목록) |
||
65번째 줄: | 65번째 줄: | ||
|1923년 9월 18일 | |1923년 9월 18일 | ||
|[[《공원과 소년》]] | |[[《공원과 소년》]] | ||
− | |《신보》에 실린 백화문 시론 형식의 글, 내용상 5.4이후 베이징 시기 초기의 쉬광핑의 관심사를 보여줌.<ref> | + | |《신보》에 실린 백화문 시론 형식의 글, 내용상 5.4이후 베이징 시기 초기의 쉬광핑의 관심사를 보여줌.<ref>윤혜영, 『(루쉰의 사랑 중국의 자랑) 쉬광핑』, 서해문집, 2008, p96-97.</ref> |
|- | |- | ||
|1925년 10월 12일 | |1925년 10월 12일 |
2016년 6월 23일 (목) 23:29 판
쉬광핑(许广平, xǔ guǎng píng) | |
---|---|
| |
출생 |
1898년 2월 12일 청나라 광둥 성 광저우 부 판위 현 (現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광저우 시 판위 구) |
사망 |
1968년 3월 3일 (70세)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학력 |
중화민국 허베이 성 톈진 즈리 제1여자사범학교 전문학사 졸업 중화민국 허베이 성 베이징 여자사범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졸업 |
직업 | 문필가, 사회운동가, 정치가 |
활동 기간 | 1932년 ~ 1968년 |
가족 | 배우자 루쉰, 아들 저우하이잉 |
목차
개요
쉬광핑(중국어간체: 许广平, 정체: 許廣平, 병음: xǔ guǎng píng, 1898~1968)은 '쉬징송(许景宋)'이란 필명으로 활동한 중화인민공화국의 문필가이자 사회운동가, 정치가이다. 광둥 성의 판위 구에서 태어났고, 루쉰의 두 번째 아내로 알려져 있다. 1917년 톈진 즈리 제1여자 사범학교에서 공부하였고, 톈진 애국 동지회(天津爱国同志会)의 간행물인 《醒世周刊》의 편집을 맡았다. 또한 저우언라이(周恩来)의 지도 하에 5.4운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23년 베이징 여자고등사범학교 국문과에 입학하여, 루쉰의 학생이 되었다. 1927년 1월에 루쉰이 중산대학의 교수직을 맡게 되었고, 이때 쉬광핑은 루쉰과 白云路에서 동거를 시작하였으며, 조교가 되어 광둥어 통역을 도와주기도 했다. 10월에는 루쉰과 함께 상해로 가서 정식으로 동거를 시작했다. 1929년, 아들인 저우하이잉(周海婴)을 낳았다. 1932년 12월에는 루쉰과 주고받았던 편지들을 모아 《两地书》를 편집, 출간하기도 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성립된 이후에는 중국공산당 인민정치협상회의 상임위원, 중국공산당 전국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 중국공산당 민주촉진회 부주석, 부녀연합 부주석 등 고위직을 지냈다. 1968년 3월, "四人帮"의 협박을 받기도 했으며, 베이징에서 심장병으로 7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1]
가족관계
쉬광핑은 자신의 집안에 대해 ‘봉건적인 사회에서 반쯤 개화된 가정’이라고 표현한다. [2]
- 아버지: 쉬광핑의 어머니가 그녀의 발을 묶자(전족) 이를 내팽개칠 정도로는 개화되어 있었다. 하지만 술김에 딸의 혼처를 미리 정해놓았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인습을 따라가는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 어머니: 딸의 귀를 뚫어 귀걸이를 걸게 하고, 전족을 행하는 등 전통적인 인습을 어느 정도 따르는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녀는 쉬광핑이 여덟 살이 되던 해에 사망했다.
- 할아버지(쉬잉쭝): 쉬광핑이 태어나던 당시 저장 성의 순무(巡撫), 즉 지금의 도지사 정도 되는 관리직을 맡고 있었다.
신여성으로서의 삶
중국에서는 ‘신여성’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전통 가족제도를 부정하고 단발 등 외모상의 새로움을 추구했던 신식 교육 수혜자로 새로운 직업에 진출하거나 조직적인 행동으로 여성해방을 추구하는 여성들'을 일컬었다. 또한 반봉건 의식, 애정과 결혼에 대한 진취성, 자유, 평등, 박애를 숭배하는 인도주의자라는 의미의 ‘모던 걸(modern girl)’을 번역한 말이라는 설명도 있다. 쉬광핑은 신식 교육을 받고, 반봉건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여성해방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신여성에 부합하는 조건들을 갖추고 있었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여성으로서 강한 자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결국 구국을 위해 여권을 혁명에 종속시켰다는 남다른 신여성의 표본이 되기도 한다. [3]
유년시절
무술년은 중국 신여성의 맹아가 등장한 시기라고 볼 수 있는데, 쉬광핑은 바로 그해 광저우 부근의 판위 현(番禺县)에서 태어났다. 덕분에 태어난 직후부터 쉬광핑은 중국이 전통에서 벗어나 신여성을 추구하는 과정 안에서 살아온 것이다. 그녀의 어린 시절 시대적으로 진행된 대표적인 신여성 운동 중 '전족 반대운동'과 '여성 교육 운동'이 있었다. 이에 따라 쉬광핑은 전족을 하지 않았고, 오빠들과 함께 가숙(家塾), 즉 집안 서당에 나가 수업을 듣기도 했다. 쉬광핑은 남자 아이들과 함께 공부하며 관화(官話)를 배우고, 다양한 종류의 고전들을 읽는 등 당시 다른 여자 아이들보다 폭넓게 학문을 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쉬광핑의 유년시절은 그녀의 비교적 개화된 가정의 영향으로 당시의 다른 여자 아이들에 비해 조금 앞서 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쉬광핑의 유년시절은 남녀불평등의 현실을 자각하고 그에 대한 자의식이 성장한 시기이기도 했다. 예를 들면 쉬광핑의 이름이 지어진 유래가 있다. 쉬광핑의 아버지가 본래 그녀에게 지어주려 했던 이름은 ‘쉬총첸(徐崇媊)’이다. 그러나 쉬광핑은 ‘계집 여 변’이 있는 이름이 싫다며 불평했고, 그녀의 아버지는 결국 그녀의 이름을 ‘쉬광핑’으로 바꾸어 주었다. 또한 어느 날 오빠들이 장기 두는 것을 보고 따라 배우려다 여자 주제에 장기를 배우려 하느냐는 조롱 어린 말을 들은 뒤로 장기 두는 근처에도 가지 않았고, 평생 장기를 배우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더해 쉬광핑이 어렸을 때 그녀의 아버지가 술김에 정해놓은 쉬광핑의 혼사가 있었다. 하지만 쉬광핑은 이를 적극적으로 거부했고, 그녀의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는 그녀의 오빠의 도움을 받아 파혼하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어렸을 때부터 여성이라서 은연중에 받게 되는 차별에 대한 반발이 있었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거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톈진 즈리 여자 사범 학교 진학
쉬광핑은 톈진의 즈리여자사범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당시 일어난 신해혁명을 통해 쉬광핑은 구망, 즉 '보통 사람들[匹夫匹婦]이 천하의 위망(危亡)에 책임이 있다'는 소명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의식은 신문화 운동과 5.4 운동을 통해 '현실에 보탬이 될 지식을 배워야겠다'는 결심을 하는데 밑거름이 된다. 1919년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서 애국운동이 일어났고 이 운동은 톈진에도 파급되었다. 때마침 쉬광핑이 다니던 여사범은 톈진 여학새계의 중추가 되어 여성의 애국 운동 동참을 이끌고 있었다. 쉬광핑은 덕분에 이 애국 운동 과정에서 학교 밖으로 나가 구국을 위한 행동을 취하는 큰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그녀가 당시 문집에 발표한 몇 편의 글에 따르면, 그녀는 본인이 경험한 애국 운동을 통해 '중국을 개량하는데 필요한 인재가 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웠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녀는 더 실용적인 학문을 배우기 위해 베이징의 상급 학교로 진학하게 된다.
베이징 여자 사범 대학 진학
1922년 톈진의 여자 사범 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에 여성 최고학부인 베이징 여자 사범 대학에 진학했다. 당시 5.4의 자유로운 분위기가 남녀 교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쉬광핑은 베이징대에서 그녀와 동향 사람이었던 리샤오후이(李小辉)가 병사하기 전까지 그와 교제하기도 했다. 1924년 베이징 여자 사범 대학의 양인위(楊蔭楡) 교장의 보수적이고 불공평한 태도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이 점점 커져 1925년 '교장 배척 운동'의 형태로 폭발하게 되었다. 이 운동에서 쉬광핑은 중심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한 그녀는, 1925년 3월 11일 결국 강직한 인물이라 생각하여 존경하던 루쉰 선생님에게 편지를 보내 도움을 청하게 된다. 학생들과 교장의 대치가 계속되었고, 교장이 쉬광핑을 포함한 학생 자치회 간부 여섯 명을 제적한다는 공고를 냈다. 이는 더 극심한 대립을 불러일으켰고, 이 시점에서 루쉰이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그는 공개적으로 교장을 비난하고 여사대의 학생들을 옹호하는 글을 실었다. 이로 인해 여사대 내부에서 발생한 '교장 배척 운동'은 바깥으로 불거지게 되었고, 그 갈등의 골에 학교 바깥의 사람들이 개입하면서 더 깊어졌다. 하지만 이는 상하이 5.30 사건으로 잠시 주춤했는데, 이를 틈타 장스자오 교육총장과 양 교장은 여사대의 해산을 도모했다. 무장경찰이 학교로 쳐들어와 학생들과 대치하고 체포하는 과정에서 쉬광핑은 루쉰의 처소로 피신하기도 했다. 같은 해 11월, 베이징에서 일어난 대규모의 '수도 혁명'으로 장총장은 사직되었고 여사대도 해산에서 회복하였다.
루쉰과 함께 한 이후
“ "펑쯔가 제아무리 위대하고 지위가 있다 해도 왜소하기 짝이 없는 내 손을 잡아 준 만큼 주제넘다고 해도 좋고 그에게 걸맞지 않는다 해도 좋다! 같은 부류라고 해도 좋고 다른 부류라고 해도 좋다! 합법이라고 해도 좋고 불법이라고 해도 좋다! 이 모든 것이 우리에겐 상관없는 일이고 당신네들에게도 관계없는 일이다. 요컨대 펑쯔는 나의 사랑이다. (…)아! 펑쯔."
” — 쉬광핑, <펑쯔는 나의 사랑>(1985)
쉬광핑의 졸업 후
루쉰의 본직이 위험해지고, 건강을 해쳐 가면서까지 여사대를 위해 함께 싸웠던 것은 그가 그간 문필 활동을 통해 계몽활동을 해왔던 행적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었다. 이는 루쉰과 쉬광핑 사이의 교류가 있었고, 그의 쉬광핑과 여사대 학생들에 대한 애정 때문일 것이다. 비록 당시 루쉰에게는 어머니가 맺어준 아내였던 '주안'이 있었지만, 쉬광핑에게 주안은 예교의 비극일 뿐이었다. 1926년 쉬광핑은 학교를 졸업했고, 경제력을 마련하기 위해 루쉰은 샤먼대학으로, 쉬광핑은 광저우로 떠나게 된다. 쉬광핑은 광저우에서 국민당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면서, 광저우 여자사범 학교에서 훈육주임 겸 교사로 생활했다. 하지만 국민당 조직의 우경화로 인해 결과적으로 그녀가 목표로 삼았던 학교의 혁신에 실패하고 사직하게 되었다. 이때 루쉰이 광저우의 중산대학 교수로 초빙되어 내려왔다. 당시에 이미 루쉰과 쉬광핑의 사이를 추측하는 엉뚱한 소문들이 파다했고, 루쉰과 쉬광핑은 그 둘의 관계를 더이상 숨기기 어려워졌다. 쉬광핑의 사직과 당시 상황 덕분에 쉬광핑은 루쉰의 조교가 되어 집중적으로 그가 광저우에 적응하는데 도와줄 수 있었고, 중산 대학이 개강한 뒤로는 공식 조교가 되면서 루쉰, 루쉰의 친구 쉬서우창과 같은 집에서 살게 되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상하이에서는 4.12 정변이 일어나고, 광저우에서는 공산당에 대한 숙청이 시작되었다. 공산당원으로 지목되어 체포된 사람들 중에는 루쉰의 학생도 있었는데, 대학 차원에서도 그 학생들을 구제할 방법을 찾지 못했다. 이미 우경화한 광저우의 분위기에서 학생들을 구제하지 못한 루쉰과 쉬광핑은 결국 사표를 낸다. 그리고 함께 광저우를 떠나 상하이에서 두 사람만의 동거를 시작하게 된다.
동거 후
상하이에 도착한 뒤 두 사람의 관계가 공공연히 외부에 공개되었다. 둘의 관계를 알게된 루쉰의 어머니는 쉬광핑이 아들을 낳자 좋아했지만, 주안 때문에 직접 왕래할 수는 없었고 루쉰의 동생인 저우쭤런은 평생 쉬광핑을 형수로 인정하지 않았다. 쉬광핑의 가족들은 루쉰을 그리 달가워하지 않았고, 쉬광핑이 광저우를 떠나 상하이로 간 뒤로는 관계가 소원해졌다. 가족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루쉰과 쉬광핑은 지탄 받았지만, 그 둘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쉬광핑에게 루쉰과의 관계는 새로운 시대에서는 충분히 가능한 일이었고, 그녀가 평소 개혁하기를 원했던 예교를 직접적으로 파괴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했다. 이 두 사람이 결혼생활을 시작하고 난 다음 해, 국민정부 시대가 시작되었고, 국민당은 공산당 토벌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국민당의 비판세력에 대한 폭력적인 억압아래에서도 루쉰은 여전히 지도적인 인물로서 정부 비판적인 행동들을 감행했다. 때문에 루쉰은 비록 정부에 의해 체포되거나 암살 당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저작물들은 검열에 걸려 판매 금지되거나 수정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쉬광핑은 루쉰이 그의 작업에 몰두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했고(루쉰이 그렇게 하도록 부탁했고), 부녀 잡지사에서 일하려 했던 계획은 무산되었다. 쉬광핑은 집안일을 도맡아 해야 했을뿐만 아니라, 루쉰의 글을 베껴 쓰고, 교정을 하고 논평 작업까지 해야 했다. 덕분에 그녀는 그녀만의 직업을 갖기 어려웠고, 아들이 태어난 뒤에는 온전히 전업주부로 살 수 밖에 없었다. 이때 루쉰이 엄청난 분량의 작업을 한 것과 반대로 쉬광핑은 작품활동도 전혀 하지 못했다.
루쉰 사망 후
1936년 10월 19일 루쉰이 사망했다. 쉬광핑은 루쉰이 글을 쓰는 것을 도와주는 것 만으로도 사회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루쉰이 죽고 난 뒤에도 루쉰의 정신을 계승해야 하는 것이 쉬광핑의 사회적 책임이 되어 버렸다.쉬광핑은 재혼도 하지 않고, 루쉰 계승 사업에 힘을 쏟았는데, 가장 먼저 한 일은 그의 유산을 보존하는 것이었다. 루쉰이 보낸 편지를 광고를 통해 수집한 뒤 서간집을 출판하고(1937년), 루쉰이 생전에 출판하지 못했던 유저(遺著) 3종을 편집해서 출간했다. 이들을 기초로 하여 1938년 《루쉰 전집》을 출간했다. 또한 루쉰의 동생 저우쭤런, 루쉰의 친구 쉬서우창과 함께 《루쉰 연보》를 출간하는데 주동적인 역할을 맡았다. 동시에 쉬광핑은 '상하이 부녀계 난민 구제회' 등을 조직하여 항일 활동을 전개했다. 쉬광핑은 루쉰 사후에 그녀의 작품활동을 재개했는데, 특히 여성 문제에 관한 글에서 '여성도 가정으로부터 해방해 사회에 참여해야 한다'는 그녀의 주장이 자명하게 드러났다. 루쉰과의 결혼생활에서 전업주부로 살면서 느낀 문제의식이 컸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루쉰에 대한 회고록을 쓰면서 루쉰도 여성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루쉰이 여성의 경제권 문제를 중시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쉬광핑은 내전이 일어났던 당시에도 내전에 반대하는 그녀의 주장을 펼치는데 주력을 다했다. 해방 후에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이자 부련의 지도자로서 신생 중국을 대표하는 외교사절 등으로 왕성한 활동을 했다.[4] 신중국 설립 후, 쉬광핑은 일본 헌병대의 고문으로 얻은 심장병 때문에 몸이 많이 약해져 있던 중, 1967년 문혁을 발동시키고 있던 치번위(戚本禹)가 루쉰의 서신과 일부 원고를 압수해 갔다. 이에 분노한 쉬광핑은 당 중앙에 사건 조사를 의뢰하는 편지를 쓰는 등 노심초사 하던 중에 심장병이 악화되었다. 조반파의 수중에 들어간 베이징의원에 입원하였지만, 설비와 약품 공급이 부실했던 의원이었고, 쉬광핑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해 다음해 3월 3일 결국 사망한다.
인물 평가[5]
"许广平与鲁迅在一起整整十年,十年携手,十年忧乐相通,在生命中互相往来。许广平的人生价值在鲁迅的生命中得到了体现;她叩开了鲁迅的爱情之门,给予鲁迅一个温馨幸福完整的家,她既是鲁迅事业的得力助手,又是鲁迅精神最忠诚的继承者和最热忱的弘扬者。这一切源于许广平的才华智慧,源于她与鲁迅的志同道合 ,也源于她能自觉地将自己融入鲁迅的事业中 。"_晓英. 十年携手 毕生追随——析许广平人生价值在鲁迅生命中的体现[J]. 绍兴文理学院学报(哲学社会科学版). 2001(03)
"쉬광핑과 루쉰은 함께 10년이라는 시간을 보냈다. 10년의 협력, 10년 동안 함께 한 근심과 즐거움들은 . 쉬광핑의 인생의 가치는 루쉰의 생명에 의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그녀는 루쉰과의 연애를 시작했고, 루쉰에게 하나의 아늑하고 행복한 완전한 가정을 제공했다. 그녀는 루쉰의 일을 도와주는 유능한 조수였고, 또한 루쉰 정신의 가장 충실한 계승자였으며 루쉰 정신을 가장 열정적으로 드높이는 사람이었다. 이 모든 것은 쉬광핑의 재능과 지혜, 그녀와 루쉰의 생각과 뜻이 같았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그녀가 자발적으로 루쉰의 작업에 유입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 中国知网
"就像那个时代的无数年轻人一样,许广平当初拼命挣脱家族的羁绊,要去寻找个人的自由和光明。兜兜转转几十年后,却不承想,自认为是反方向的每一步,其实不过是在替家族书写不同角度的历史。"
"당시의 수많은 젊은 사람들처럼, 쉬광핑은 당초 필사적으로 가족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신의 자유와 광명을 찾으려 했다. 그렇게 몇 십년 후, 예상 밖에, 그녀가 가족의 속박에서 벗어나고 있다고 생각하여 내딛는 걸음들은, 실제로 여전히 가족을 대신하여 다른 관점에서의 역사를 쓴 것이 되었다 - 冯乃超
작품 목록
시간 | 작품명 | 비고 |
---|---|---|
1923년 9월 18일 | 《공원과 소년》 | 《신보》에 실린 백화문 시론 형식의 글, 내용상 5.4이후 베이징 시기 초기의 쉬광핑의 관심사를 보여줌.[6] |
1925년 10월 12일 | 《동행자(同行者)》 | 발간 당시 필명“平林”을 사용, 루쉰이 편집한 《국민신보(国民新报)》의 부록으로 실림. |
1937년 4월 | 《야기(夜记)》 | 루쉰의 1934년부터 1936년까지의 잡문 13편을 정리하여 발간한 것. |
1937년 | 《노신서간(鲁迅书简)》영인본 《조개정잡문말편(且介亭杂文末编)》 |
삼한서옥(三闲书屋) 명의로 자비 출간. |
1938년 4월 | 《집외집습유(集外集拾遗)》 | |
1938년 8월 | 《노신전집(鲁迅全集)》(총 20권) | 胡愈之을 시작으로, 쉬광핑, 郑振铎 등 20명의 사람이 “复社”를 조직하여 공통 편집. |
1939년 | <여성의 입장에서 '신여성'을 이야기함> | 가정주부로서 쉬광핑이 느낀 회한을 가장 직접적으로 밝힘. 루쉰의 반대 때문에 살림살이와 보조역에 매몰되면서 느낀 비애감을 토로하며 일반적인 여성의 문제로 일반화함. 여성이 가정에 매몰된 것은 사회 전체의 문제이므로 사회가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7] |
1941년 | 《조난전후(遭难前后)》 | 1941년 쉬광핑이 일본 헌병에게 잡혀가 고문을 당한 일을 바탕으로 쓴 책. |
1959년 10월 | 《노신회의록(鲁迅回忆录)》 | |
1961년 8월 22일 | 《허광평대노신박물관적의견(许广平对鲁迅博物馆的意见)》 | “전시방침”, “조직의 리더”, “진열 내용”, “인사 안배 문제” 네 가지 방면에서, 구체적이고 적절한 의견과 건의를 날카롭게 제시함. |
후대의 기념자료
- 上海鲁迅纪念馆 编, 《许广平纪念集》, 百家出版社, 2000.
참고자료
- 윤혜영, 『(루쉰의 사랑 중국의 자랑)쉬광핑』, 서해문집, 2008.
- 이선이(2011), '윤혜영 저, 『(루쉰의 사랑 중국의 자랑)쉬광핑』', 여성과 역사, 14, 199-208.
- 천성림(2008), '윤혜영 저, 『(루쉰의 사랑 중국의 자랑)쉬광핑』', 중국근현대사연구, 40, 185-195.
- 위키백과 ‘mw:ko:w쉬광핑’
- 박신영, ‘루쉰의 뮤즈, 쉬광핑의 삶이 여자들에게 주는 교훈’, 채널예스
- [13-75327-wrap 百度百科’许广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