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干"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고대 문자 체계에서‘干’은 긴 가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도구로 고대에는 무기로 사용되었...)
 
(文化)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방패 간.png|500픽셀|오른쪽]]
 
[[파일:방패 간.png|500픽셀|오른쪽]]
고대 문자 체계에서‘干’은 긴 가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도구로 고대에는 무기로 사용되었다. 이 포크를 닮은 무기는 적을 공격하거나 혹은 적의 병기를 막을 수 있어서 방패와 같은 작용을 하였다. 나중에는 방어용 무기만을 지칭하게 되었고 방패를 대신하는 명사로 사용되었다. ‘干’은 일종의 무기에서 ‘동사’로도 파생되어 ‘위반하다’의 의미도 내포하게 되었고 ‘거스르다’, ‘간섭하다’, ‘관여하다’등과도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
고문에서 ‘干’은 긴 가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도구로 무기로 사용되었다. 끝이 갈라진 Y자 형태의 이 무기는 적을 공격할 수도 있었고 적의 병기를 막을 수 있는 방패로 사용될 수도 있었다. 나중에는 방어용 무기만을 지칭하게 되었고 방패를 대신하는 명사로 사용되었다. ‘干’은 일종의 무기에서 ‘동사’로도 파생되어 ‘위반하다’의 의미도 내포하게 되었고 ‘거스르다’, ‘간섭하다’, ‘관여하다’등과도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文化==
 
==文化==
[1] 간과(干戈) : 전쟁을 하다
+
# 간과(干戈) : 전쟁을 하다
   
+
전쟁을 일으켜서 무기로 싸우는 것을 '간과(干戈)를 섞는다(전쟁을 한다).'라고 표현한다. 또 무력으로 타국의 국경을 범하는 것을 '간범(干犯)'이라고 한다. 무기를 干(방패 간)과 戈(창 과)로 대표시키고 '간과(干戈)를 섞는다(전쟁을 한다).'라고 할 때에는 '과'와 병행할 정도의 중요한 무기는 '간(干)'이어야 한다. 또 그 무기로 상대를 침범하는 것을 간범, 간섭이라고 하니까 '간(干)'이라는 것은 상대를 쿡쿡 찌르고 타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옛날에는 수목의 가지를 잘라서 '봉(棒)'을 만들었다. 그 봉의 형태를 그리면 Y자 형이 된다. 두 갈래로 적을 쓰러뜨리고 또 모든 적의 무기를 탁 받아 누를 수도 있다. 또 위와 아래를 역으로 해서 하나만 뾰족한 쪽에서 상대를 찌르면 후세의 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Y 형태가 차차 변화해서 干의 글자가 되었다.<ref> 김정행, 『무도론』, 대한미디어, 1997, pp.47-49</ref>
전쟁을 일으켜서 무기로 싸우는 것을 '간과(干戈)를 섞는다(전쟁을 한다).'라고 표현한다. 또 무력으로 타국의 국경을 범하는 것을 '간범(干犯)'이라고 한다. 무기를 干(방패 간)과 戈(창 과)로 대표시키고 '간과(干戈)를 섞는다(전쟁을 한다).'라고 할 때에는 '과'와 병행할 정도의 중요한 무기는 '간(干)'이어야 한다. 또 그 무기로 상대를 침범하는 것을 간범, 간섭이라고 하니까 '간(干)'이라는 것은 상대를 쿡쿡 찌르고 타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옛날에는 수목의 가지를 잘라서 '봉(棒)'을 만들었다. 그 봉의 형태를 그리면 Y자 형이 된다. 두 갈래로 적을 쓰러뜨리고 또 모든 적의 무기를 탁 받아 누를 수도 있다. 또 위와 아래를 역으로 해서 하나만 뾰족한 쪽에서 상대를 찌르면 후세의 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Y 형태가 차차 변화해서 干의 글자가 되었다.<ref> 김정행, “무도론,” 1997.03.31, (서울 : 대한미디어 1997), pp.47-49</ref>
 
  
[2] ‘설문해자주’ – 무기로 사용된 ‘간(干)’
+
# 무기로 사용된 ‘간(干)’
   
+
‘간’은 침범한다는 뜻이다. ‘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를 거꾸로 한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간부에 속하는 한자는 모두 간의 의미를 따른다. 범(犯)은 침범한다는 뜻이다. 간모(干旄: 들소 꼬리를 매달은 깃발), 간정(干旌: 꿩의 깃털을 매달은 깃발)과 같은 단어에서 ‘干’은 간(竿)의 가차자다.<ref> 염정삼, 『설문해자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p.81</ref> 간모와 간정 모두 수레에 다는 깃발이거나 고을의 중심에 세웠던 깃발을 의미한다. 또한 입(入)을 거꾸로 하였다는 것은 위로 침범한다는 뜻이다. 즉 ‘설문해자주’에서는 ‘간’이 초기의 뜻인 ‘무기’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간’은 침범한다는 뜻이다. ‘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를 거꾸로 한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간부에 속하는 한자는 모두 간의 의미를 따른다. 범(犯)은 침범한다는 뜻이다. 간모(干旄: 들소 꼬리를 매달은 깃발), 간정(干旌: 꿩의 깃털을 매달은 깃발)과 같은 단어에서 ‘干’은 간(竿)의 가차자다.<ref> 염정삼, “설문해자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p.81</ref> 간모와 간정 모두 수레에 다는 깃발이거나 고을의 중심에 세웠던 깃발을 의미한다. 또한 입(入)을 거꾸로 하였다는 것은 위로 침범한다는 뜻이다. 즉 ‘설문해자주’에서는 ‘간’이 초기의 뜻인 ‘무기’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1년 2월 9일 (화) 21:51 기준 최신판

語源

방패 간.png

고문에서 ‘干’은 긴 가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도구로 무기로 사용되었다. 끝이 갈라진 Y자 형태의 이 무기는 적을 공격할 수도 있었고 적의 병기를 막을 수 있는 방패로 사용될 수도 있었다. 나중에는 방어용 무기만을 지칭하게 되었고 방패를 대신하는 명사로 사용되었다. ‘干’은 일종의 무기에서 ‘동사’로도 파생되어 ‘위반하다’의 의미도 내포하게 되었고 ‘거스르다’, ‘간섭하다’, ‘관여하다’등과도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文化

  1. 간과(干戈) : 전쟁을 하다

전쟁을 일으켜서 무기로 싸우는 것을 '간과(干戈)를 섞는다(전쟁을 한다).'라고 표현한다. 또 무력으로 타국의 국경을 범하는 것을 '간범(干犯)'이라고 한다. 무기를 干(방패 간)과 戈(창 과)로 대표시키고 '간과(干戈)를 섞는다(전쟁을 한다).'라고 할 때에는 '과'와 병행할 정도의 중요한 무기는 '간(干)'이어야 한다. 또 그 무기로 상대를 침범하는 것을 간범, 간섭이라고 하니까 '간(干)'이라는 것은 상대를 쿡쿡 찌르고 타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옛날에는 수목의 가지를 잘라서 '봉(棒)'을 만들었다. 그 봉의 형태를 그리면 Y자 형이 된다. 두 갈래로 적을 쓰러뜨리고 또 모든 적의 무기를 탁 받아 누를 수도 있다. 또 위와 아래를 역으로 해서 하나만 뾰족한 쪽에서 상대를 찌르면 후세의 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Y 형태가 차차 변화해서 干의 글자가 되었다.[1]

  1. 무기로 사용된 ‘간(干)’

‘간’은 침범한다는 뜻이다. ‘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를 거꾸로 한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간부에 속하는 한자는 모두 간의 의미를 따른다. 범(犯)은 침범한다는 뜻이다. 간모(干旄: 들소 꼬리를 매달은 깃발), 간정(干旌: 꿩의 깃털을 매달은 깃발)과 같은 단어에서 ‘干’은 간(竿)의 가차자다.[2] 간모와 간정 모두 수레에 다는 깃발이거나 고을의 중심에 세웠던 깃발을 의미한다. 또한 입(入)을 거꾸로 하였다는 것은 위로 침범한다는 뜻이다. 즉 ‘설문해자주’에서는 ‘간’이 초기의 뜻인 ‘무기’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1. 김정행, 『무도론』, 대한미디어, 1997, pp.47-49
  2. 염정삼, 『설문해자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p.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