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谷"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이 글자는 ‘골짜기, 계곡’이라는 뜻의 곡(谷)자이며, 물이 골짜기 입구(口)를 향하여 흘러가는...)
 
(文化)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굴 곡.png|500픽셀|오른쪽]]
 
[[파일:굴 곡.png|500픽셀|오른쪽]]
이 글자는 ‘골짜기, 계곡’이라는 뜻의 곡(谷)자이며, 물이 골짜기 입구(口)를 향하여 흘러가는 모양을 그린 것이다. 양 쪽에 산을 끼고 계곡이 흐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谷'자는 곡식을 뜻하는 '穀'자의 간체자로 쓰이기도 했다.  
+
이 글자는 ‘골짜기, 계곡’이라는 뜻의 곡(谷)자이며, 물이 골짜기 입구(口)를 향하여 흘러가는 모양을 그린 것이다. 양 쪽에 산을 끼고 계곡이 흐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谷'자는 곡식을 뜻하는 '穀'자의 간체자로 쓰이기도 했다.
 +
 
 +
“谷”은 두 개의 산 사이에 좁고 긴 길 혹은 물이 흐르는 곳이다. 《설문해자》는 “谷(곡)은 천(泉)에서 나와 천(川)로 통하는 것이 谷(곡)이다. 水(수)의 일부가 생략된 모습이고 물이 입구(口)에서 나오는 것이다.” 라고 하고 있다. 오른쪽 그림에서 보듯이 갑골문과 금문에서 밑부분의 네모난 형태는 골짜기의 입구를 나타낸 것이고, 위의 빗금 형태는 물의 횡서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물이 골짜기의 입구에서 흘러나오는 형태를 표현했다.
  
 
==文化==
 
==文化==
 
아주 옛날에는 '谷'자가 '훌륭하다'나 '영양분이 많다'는 뜻으로 쓰였다. 그런데 1968년부터, 매우 복잡한 구조였던 '곡식'이라는 뜻의 '穀'자가 간략하게 줄어져 간체자로 '谷'자와 같이 쓰이게 됐다. 이러한 정황에서 '谷'자가 '훌륭하다'와 '영양분이 많다'로 쓰였던 이유는 아마도 인류가 최초에 골짜기에 심은 곡물의 상태가 좋았을 것이기 때문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김하림·하영삼 역, 『한자왕국』, 청년사, 2006,  p.62</ref>  
 
아주 옛날에는 '谷'자가 '훌륭하다'나 '영양분이 많다'는 뜻으로 쓰였다. 그런데 1968년부터, 매우 복잡한 구조였던 '곡식'이라는 뜻의 '穀'자가 간략하게 줄어져 간체자로 '谷'자와 같이 쓰이게 됐다. 이러한 정황에서 '谷'자가 '훌륭하다'와 '영양분이 많다'로 쓰였던 이유는 아마도 인류가 최초에 골짜기에 심은 곡물의 상태가 좋았을 것이기 때문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김하림·하영삼 역, 『한자왕국』, 청년사, 2006,  p.62</ref>  
 +
 +
회의. 윗부분은 水(수)의 일부가 생략된 모습이고 아랫부분의 口(구)는 입구를 상징하여 물이 흘러나오되 아직 큰 물길을 이루지 못한 산에 있는 샘의 입구를 그렸다. 그래서 『설문해자』도 ”물이 솟아 나와 내(=川(천))로 통하는 곳을 谷이라 하며, 水의 반쪽 모습으로 구성되었다“라고 했다. 이처럼 谷은 내가 시작되는 산속 샘의 입구라는 뜻으로 산 사이로 우묵 들어간 ‘골짜기’를 의미하게 되었다 하지만, 谷의 자형에 유의해야 하는데, 윗부분이 물을 그렸기 때문에 사실은 갑골문처럼 아래위 획 모두 중간이 분리되어야 하는데, 예서에 들면서 지금처럼 되어 버렸다. 이와 반대로 아래위 획 모두 붙어 人처럼 되면 ‘입口둘레로 난 구비’ 뜻하는 谷자가 되는데, 卻(물리칠 각), 唃(새가 울 곡) 등은 이 글자로 구성되었다. 이처럼 谷은 계곡을 지칭하거나 계곡의 상징을 말한다.<ref>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57</ref>
 +
 +
(1) ≪이아석〮수≫에서 “물이 川으로 흘러든 것을 谿(계)라 하고 谿로 흘러 들면 谷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허신이 谿를 말하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허신이 谿자를 산의 냇물이 통하지 않는 곳이라는 뜻만 관련 지어 생각했기 때문이다. 川은 “뚫어서 통하여 흐르는 물”이다. 두 산 사이에는 반드시 川이 있다. ≪시≫에 進退維谷[진퇴유곡, 나아감도 물러섬도 모두 계곡에 막혀 있네]”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는 谷자를 빌어 ‘막혀 있다[鞫(국)]’의 의미로 쓴 것이다. <모전>에서 “谷은 막혔다[竆(궁)]는 뜻이다” 라고 하였다. 곧 ≪시패〮풍≫의 <모전>에서 “鞫(국)은 막혔다는 뜻이다”라고 한 말과 같다
 +
(2) 谷은 회의자다. 발음은 古(고)와 祿(록)의 반절이다. 浴(욕)으로 발음하기도 하다.<ref>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p.563-564</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2년 12월 22일 (목) 13:02 기준 최신판

語源

굴 곡.png

이 글자는 ‘골짜기, 계곡’이라는 뜻의 곡(谷)자이며, 물이 골짜기 입구(口)를 향하여 흘러가는 모양을 그린 것이다. 양 쪽에 산을 끼고 계곡이 흐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谷'자는 곡식을 뜻하는 '穀'자의 간체자로 쓰이기도 했다.

“谷”은 두 개의 산 사이에 좁고 긴 길 혹은 물이 흐르는 곳이다. 《설문해자》는 “谷(곡)은 천(泉)에서 나와 천(川)로 통하는 것이 谷(곡)이다. 水(수)의 일부가 생략된 모습이고 물이 입구(口)에서 나오는 것이다.” 라고 하고 있다. 오른쪽 그림에서 보듯이 갑골문과 금문에서 밑부분의 네모난 형태는 골짜기의 입구를 나타낸 것이고, 위의 빗금 형태는 물의 횡서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물이 골짜기의 입구에서 흘러나오는 형태를 표현했다.

文化

아주 옛날에는 '谷'자가 '훌륭하다'나 '영양분이 많다'는 뜻으로 쓰였다. 그런데 1968년부터, 매우 복잡한 구조였던 '곡식'이라는 뜻의 '穀'자가 간략하게 줄어져 간체자로 '谷'자와 같이 쓰이게 됐다. 이러한 정황에서 '谷'자가 '훌륭하다'와 '영양분이 많다'로 쓰였던 이유는 아마도 인류가 최초에 골짜기에 심은 곡물의 상태가 좋았을 것이기 때문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1]

회의. 윗부분은 水(수)의 일부가 생략된 모습이고 아랫부분의 口(구)는 입구를 상징하여 물이 흘러나오되 아직 큰 물길을 이루지 못한 산에 있는 샘의 입구를 그렸다. 그래서 『설문해자』도 ”물이 솟아 나와 내(=川(천))로 통하는 곳을 谷이라 하며, 水의 반쪽 모습으로 구성되었다“라고 했다. 이처럼 谷은 내가 시작되는 산속 샘의 입구라는 뜻으로 산 사이로 우묵 들어간 ‘골짜기’를 의미하게 되었다 하지만, 谷의 자형에 유의해야 하는데, 윗부분이 물을 그렸기 때문에 사실은 갑골문처럼 아래위 획 모두 중간이 분리되어야 하는데, 예서에 들면서 지금처럼 되어 버렸다. 이와 반대로 아래위 획 모두 붙어 人처럼 되면 ‘입口둘레로 난 구비’ 뜻하는 谷자가 되는데, 卻(물리칠 각), 唃(새가 울 곡) 등은 이 글자로 구성되었다. 이처럼 谷은 계곡을 지칭하거나 계곡의 상징을 말한다.[2]

(1) ≪이아석〮수≫에서 “물이 川으로 흘러든 것을 谿(계)라 하고 谿로 흘러 들면 谷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허신이 谿를 말하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허신이 谿자를 산의 냇물이 통하지 않는 곳이라는 뜻만 관련 지어 생각했기 때문이다. 川은 “뚫어서 통하여 흐르는 물”이다. 두 산 사이에는 반드시 川이 있다. ≪시≫에 進退維谷[진퇴유곡, 나아감도 물러섬도 모두 계곡에 막혀 있네]”이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는 谷자를 빌어 ‘막혀 있다[鞫(국)]’의 의미로 쓴 것이다. <모전>에서 “谷은 막혔다[竆(궁)]는 뜻이다” 라고 하였다. 곧 ≪시패〮풍≫의 <모전>에서 “鞫(국)은 막혔다는 뜻이다”라고 한 말과 같다

(2) 谷은 회의자다. 발음은 古(고)와 祿(록)의 반절이다. 浴(욕)으로 발음하기도 하다.[3]

  1.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김하림·하영삼 역, 『한자왕국』, 청년사, 2006, p.62
  2.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57
  3.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p.563-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