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해서(楷書}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해서(楷書 | ||
− | |||
− | |||
− | |||
해서는 진서(眞書) 혹은 정서(正書)라고 부른다. 해서라는 명칭은 글자 쓰기 학습의 본보기가 된다는 의미이다. 해서는 사용범위가 가장 넓고 역사적으로 유통기간이 가장 긴 표준글자체이다. 오늘날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글자체가 바로 해서이다. | 해서는 진서(眞書) 혹은 정서(正書)라고 부른다. 해서라는 명칭은 글자 쓰기 학습의 본보기가 된다는 의미이다. 해서는 사용범위가 가장 넓고 역사적으로 유통기간이 가장 긴 표준글자체이다. 오늘날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글자체가 바로 해서이다. | ||
− | ===''' | + | ==해서의 출현과 특징== |
+ | [[파일:안근례비.jpg|오른쪽|200픽셀]] | ||
+ | 해서는 동한 말기에 출현했다. 해서는 예서(한예)에서 변화되어 온 것이다. 예서는 두 가지 방향으로 발전되었는데, 하나는 '필사의 속도'가 강조되어 초서가 되었고, 다른 하나는 '명확한 변별'의 특징이 강조되어 해서가 되었다. <br> | ||
+ | 예서의 발전과정에서 예서의 파책에 신경을 쓰다보니 번거로웠지만 초서는 또 초솔하여 알아보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예서의 기초 위에서 쉽게 쓸 수 있으면서도 정확하게 알아 볼 수 있는 특징을 함께 고려한 해서를 만들어 내게 되었다. 수당(隋唐)시기에 해서는 상당히 성숙한 상태로 발전했는데 구전에 의하면 삼국시기에 위(魏)나라의 종요(鍾繇)가 처음으로 해서를 썼다고 한다. 그는 예서의 물결 기세 필획을 고쳐 가로는 평평하고 세로는 곧게 만들었다. 그러자 횡, 별, 날의 마무리 부분이 더 이상 위로 튀어오르지 않게 되었고, 형체가 더욱 반듯해졌다. <br> | ||
+ | 이런 변화는 글쓰기를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다. 실제로 이것은 한자의 형체에 대한 일종의 간략화였다. 해서의 출현에 따라 정사각형의 한자는 완전히 규격화되었다. 자형이 단정하고 반듯하며, 구조가 엄밀하고 균형적이며, 필획의 가로는 평평하고 세로는 곧은 것이 해서 필획의 특징이다. 해서와 예서의 형체 구조는 기본적으로 서로 같다. 단지 필획의 서사에 약간이 차이가 있을 뿐이다. | ||
− | + | ==해서의 인쇄와 간략화== | |
+ | 송대에 인쇄술이 발명된 이후로 해서와 해서의 변체인 송체(宋體), 방송체(仿宋體), 흑체(黑體:고딕체) 등이 줄곧 인쇄간행물의 주요 글자체가 되었다. <br> | ||
+ | 이들은 글자체의 크기에 따라 서로다른 자호(字號)로 나뉘어 인쇄의 수요로 만족시킨다. 인쇄체 해서의 필획은 가로가 평평하고 세로는 곧으며 뚜렷하고 아름답다. 또 구조가 정연하고 균형이 잘 잡혀있다. 해서인쇄체는 오늘날 컴퓨터 타자에서 사용하는 주요 글자체이다.<br> | ||
+ | 오늘날 중국에서 사용하는 간화자(簡化字)는 해서를 간략하게 변화시킨 것이다. 한자는 필획의 감소(형체의 간략화) 글자수의 감소(이체자 정리)를 통해 더욱 쓰기 편해졌다. | ||
+ | 해서는 한자 변천의 마지막 단계의 글자체이다. 해서가 만들어진 이후로 한자는 형체가 간략하게 변한 것 외에는 그리 큰 변화가 없었다. 오늘날 중국인들이 평상시에 사용하는 한자는 해서필기체와 해서인쇄체이다.<br> | ||
− | + | ==참고문헌== | |
+ |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한자문화, 한감당(韓鑒當), 역락 <br> | ||
+ | 한자의 세계:기원에서 미래까지, 하영삼, 신아사 | ||
− | + | [[분류:중국문자]] | |
− | |||
− | |||
− | |||
− | |||
− |
2016년 12월 26일 (월) 21:50 기준 최신판
해서(楷書}의 정의
해서는 진서(眞書) 혹은 정서(正書)라고 부른다. 해서라는 명칭은 글자 쓰기 학습의 본보기가 된다는 의미이다. 해서는 사용범위가 가장 넓고 역사적으로 유통기간이 가장 긴 표준글자체이다. 오늘날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글자체가 바로 해서이다.
해서의 출현과 특징
해서는 동한 말기에 출현했다. 해서는 예서(한예)에서 변화되어 온 것이다. 예서는 두 가지 방향으로 발전되었는데, 하나는 '필사의 속도'가 강조되어 초서가 되었고, 다른 하나는 '명확한 변별'의 특징이 강조되어 해서가 되었다.
예서의 발전과정에서 예서의 파책에 신경을 쓰다보니 번거로웠지만 초서는 또 초솔하여 알아보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예서의 기초 위에서 쉽게 쓸 수 있으면서도 정확하게 알아 볼 수 있는 특징을 함께 고려한 해서를 만들어 내게 되었다. 수당(隋唐)시기에 해서는 상당히 성숙한 상태로 발전했는데 구전에 의하면 삼국시기에 위(魏)나라의 종요(鍾繇)가 처음으로 해서를 썼다고 한다. 그는 예서의 물결 기세 필획을 고쳐 가로는 평평하고 세로는 곧게 만들었다. 그러자 횡, 별, 날의 마무리 부분이 더 이상 위로 튀어오르지 않게 되었고, 형체가 더욱 반듯해졌다.
이런 변화는 글쓰기를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다. 실제로 이것은 한자의 형체에 대한 일종의 간략화였다. 해서의 출현에 따라 정사각형의 한자는 완전히 규격화되었다. 자형이 단정하고 반듯하며, 구조가 엄밀하고 균형적이며, 필획의 가로는 평평하고 세로는 곧은 것이 해서 필획의 특징이다. 해서와 예서의 형체 구조는 기본적으로 서로 같다. 단지 필획의 서사에 약간이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해서의 인쇄와 간략화
송대에 인쇄술이 발명된 이후로 해서와 해서의 변체인 송체(宋體), 방송체(仿宋體), 흑체(黑體:고딕체) 등이 줄곧 인쇄간행물의 주요 글자체가 되었다.
이들은 글자체의 크기에 따라 서로다른 자호(字號)로 나뉘어 인쇄의 수요로 만족시킨다. 인쇄체 해서의 필획은 가로가 평평하고 세로는 곧으며 뚜렷하고 아름답다. 또 구조가 정연하고 균형이 잘 잡혀있다. 해서인쇄체는 오늘날 컴퓨터 타자에서 사용하는 주요 글자체이다.
오늘날 중국에서 사용하는 간화자(簡化字)는 해서를 간략하게 변화시킨 것이다. 한자는 필획의 감소(형체의 간략화) 글자수의 감소(이체자 정리)를 통해 더욱 쓰기 편해졌다.
해서는 한자 변천의 마지막 단계의 글자체이다. 해서가 만들어진 이후로 한자는 형체가 간략하게 변한 것 외에는 그리 큰 변화가 없었다. 오늘날 중국인들이 평상시에 사용하는 한자는 해서필기체와 해서인쇄체이다.
참고문헌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한자문화, 한감당(韓鑒當), 역락
한자의 세계:기원에서 미래까지, 하영삼, 신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