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懶"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라懶는 마음 속(忄)으로 항상 남에게 기대고([[賴]]) 싶어하는 것을 말한다. 게으른 사람은 일이 생기면 자주 기대고픈 마음을 품는다. 게으를 懶라의 관련용어는 懒散(나태하고 산만하다),慵懒(게으르고 나타하다) 등이 있다.''<ref> 랴오원하오, 『한자수』, 아템포, 2013, p.99</ref><br><br>
 
''라懶는 마음 속(忄)으로 항상 남에게 기대고([[賴]]) 싶어하는 것을 말한다. 게으른 사람은 일이 생기면 자주 기대고픈 마음을 품는다. 게으를 懶라의 관련용어는 懒散(나태하고 산만하다),慵懒(게으르고 나타하다) 등이 있다.''<ref> 랴오원하오, 『한자수』, 아템포, 2013, p.99</ref><br><br>
 
그러나 <설문해자>와 비교해 어느 하나가 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는 어려운 듯하다. '회의자인가, 형성자인가'하는 문제만을 따졌을 때에는 형성자일 가능성이 크지만, <설문해자>가 해석하듯 이 글자의 왼쪽 사람인 변이 여성(女)을 의미한다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설문해자의 이와 같은 해석은 고대 문자가 만들어질 때와는 달리 후대부터 <설문해자> 집필 당시까지 팽배했던 남존여비의 프레임이 반영된 것이므로 마냥 신뢰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설문해자>와 비교해 어느 하나가 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는 어려운 듯하다. '회의자인가, 형성자인가'하는 문제만을 따졌을 때에는 형성자일 가능성이 크지만, <설문해자>가 해석하듯 이 글자의 왼쪽 사람인 변이 여성(女)을 의미한다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설문해자의 이와 같은 해석은 고대 문자가 만들어질 때와는 달리 후대부터 <설문해자> 집필 당시까지 팽배했던 남존여비의 프레임이 반영된 것이므로 마냥 신뢰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7년 7월 3일 (월) 14:41 기준 최신판

語源

게으를 라.PNG

라懶는 마음 속(忄)으로 항상 남에게 기대고() 싶어하는 것을 말한다. 게으른 사람은 일이 생기면 자주 기대고픈 마음을 품는다. [1]
혹은 게으를 해懈나 게으를 태怠의 뜻이다. 여기에서 一은 누워있는 것이다. 女의 뜻을 따르고 賴의 성을 따르는 형성자이다.[2]


文化

『한자수』는 이 글자를 우문설에 따라 까지 같이 풀어 해석했다. 형성자라고 주장하는 <설문해자>와는 차이가 있는 셈이다.

라懶는 마음 속(忄)으로 항상 남에게 기대고() 싶어하는 것을 말한다. 게으른 사람은 일이 생기면 자주 기대고픈 마음을 품는다. 게으를 懶라의 관련용어는 懒散(나태하고 산만하다),慵懒(게으르고 나타하다) 등이 있다.[3]

그러나 <설문해자>와 비교해 어느 하나가 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하기는 어려운 듯하다. '회의자인가, 형성자인가'하는 문제만을 따졌을 때에는 형성자일 가능성이 크지만, <설문해자>가 해석하듯 이 글자의 왼쪽 사람인 변이 여성(女)을 의미한다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설문해자의 이와 같은 해석은 고대 문자가 만들어질 때와는 달리 후대부터 <설문해자> 집필 당시까지 팽배했던 남존여비의 프레임이 반영된 것이므로 마냥 신뢰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1. 랴오원하오, 『한자수』, 아템포, 2013, p.99
  2. 설문해자
  3. 랴오원하오, 『한자수』, 아템포, 2013, p.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