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豆"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7번째 줄: 7번째 줄:
 
두(豆)에 콩을 주로 담았던 때문인지, 한날 이후로 콩을 지칭할 때 숙(菽)대신 두(豆)가 주로 쓰였고, 그러자 원래의 굽 달린 제기는 목(木)을 더한 나무그릇 두(梪)로 분화했으며, 콩을 뜻할 때에는 艸를 더하여 두(荳)로 쓰이기도 한다. 그래서 두(豆)에는 원래의 제기와 이후의 콩이라는 뜻이 함께 들어있다. 또 두(豆)는 아래로 받침대가 놓이고 위로 술 같은 장식물이 달린 주(壴)과 닮아 壴와 서로 혼용되기도 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163</ref>
 
두(豆)에 콩을 주로 담았던 때문인지, 한날 이후로 콩을 지칭할 때 숙(菽)대신 두(豆)가 주로 쓰였고, 그러자 원래의 굽 달린 제기는 목(木)을 더한 나무그릇 두(梪)로 분화했으며, 콩을 뜻할 때에는 艸를 더하여 두(荳)로 쓰이기도 한다. 그래서 두(豆)에는 원래의 제기와 이후의 콩이라는 뜻이 함께 들어있다. 또 두(豆)는 아래로 받침대가 놓이고 위로 술 같은 장식물이 달린 주(壴)과 닮아 壴와 서로 혼용되기도 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163</ref>
  
 +
상·주 시대 때 사용한 음식을 담는 그릇에는 궤(簋)·보(簠)·두(豆)·명(皿)·조(俎)가 있었다. 갑골문 (豆)자는 둥근 발을 가진 원형의 식기를 나타낸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 -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p.206-207</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20년 12월 22일 (화) 01:20 기준 최신판

語源

콩 두.PNG

상형자이다. 지금은 콩의 의미로 주로 쓰이지만, 원래는 곡식이나 음식을 담는 굽 높은 제기(祭器)를 그렸다. 콩은 원래 넝쿨과 깍질 그린 콩 숙(叔)으로 썼는데, 이후 아재비라는 뜻으로 가차되자 원래 뜻은 풀 초(艸)를 더한 콩 숙(菽)으로 분화했다. [1] 설문해자에서는 豆를 옛날에 고기를 담아먹던 그릇으로 보았다.[2]


文化

두(豆)에 콩을 주로 담았던 때문인지, 한날 이후로 콩을 지칭할 때 숙(菽)대신 두(豆)가 주로 쓰였고, 그러자 원래의 굽 달린 제기는 목(木)을 더한 나무그릇 두(梪)로 분화했으며, 콩을 뜻할 때에는 艸를 더하여 두(荳)로 쓰이기도 한다. 그래서 두(豆)에는 원래의 제기와 이후의 콩이라는 뜻이 함께 들어있다. 또 두(豆)는 아래로 받침대가 놓이고 위로 술 같은 장식물이 달린 주(壴)과 닮아 壴와 서로 혼용되기도 했다.[3]

상·주 시대 때 사용한 음식을 담는 그릇에는 궤(簋)·보(簠)·두(豆)·명(皿)·조(俎)가 있었다. 갑골문 (豆)자는 둥근 발을 가진 원형의 식기를 나타낸다.[4]

  1.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163
  2. 염정삼, 『설문해자주』,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205
  3.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163
  4. 허진웅, 『중국고대사회 -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p.206-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