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1이다대.JPG|오른쪽|500픽셀]]
+
[[파일:일 대.PNG|오른쪽|500픽셀]]
 +
“戴”의 원래 의미는 정수리, 머리에 씌운다는 뜻이다. 《左转·僖公十五年》:“君履后土而戴皇天” 戴의 초기 글자는 “異”이다. “異”는 고대인들이 중대한 일을 하기 전에 치루는 제사에서, 신에게 바치는 가면을 두 손으로 머리 위에 올려놓고 (후대에 머리에 쓴다는 의미로 변했다) 제사 지내는 것이다. 상주 시대의 갑골문, 금문에서는 양손으로 가면을 쓰는 형상이다. 설문주문说文籀文과 소전에서는 따로 “[[파일:戴1.png|20픽셀]]”을(zāi) 추가했고, “[[파일:戴1.png|20픽셀]]”의 갑골문은 “[[파일:戴2.png|20픽셀]]”나 “[[파일:戴3.png|20픽셀]]”로 쓰는데, 재앙의 조짐을 의미한다. 머지않아 병란, 재해로 혼란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이 바로 제사를 지내는 원인이다. “[[파일:戴1.png|20픽셀]]”와 “異”가 합쳐지면 즉, “戴”의 의미가 되는 것이다. 예서에서는 “戴”로 표기함으로써, 고문의 상투적인 형태를 탈피하고 예서(今文)의 시기로 접어들게 되었다. <ref>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43.</ref>
 +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창 과(戈)와 다를 이(異), 음을 나타내는 실을 재(戴)에서 異를 제외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 의미는 ‘특이한 물건을 실어가기 위해 머리에 이고가다’이고, 여기서 '이다'와 '받들다'의 의미가 파생되었다.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창 과(戈)와 다를 이(異), 음을 나타내는 실을 재(戴)에서 異를 제외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 의미는 ‘특이한 물건을 실어가기 위해 머리에 이고가다’이고, 여기서 '이다'와 '받들다'의 의미가 파생되었다.
  

2020년 12월 23일 (수) 00:01 기준 최신판

語源

일 대.PNG

“戴”의 원래 의미는 정수리, 머리에 씌운다는 뜻이다. 《左转·僖公十五年》:“君履后土而戴皇天” 戴의 초기 글자는 “異”이다. “異”는 고대인들이 중대한 일을 하기 전에 치루는 제사에서, 신에게 바치는 가면을 두 손으로 머리 위에 올려놓고 (후대에 머리에 쓴다는 의미로 변했다) 제사 지내는 것이다. 상주 시대의 갑골문, 금문에서는 양손으로 가면을 쓰는 형상이다. 설문주문说文籀文과 소전에서는 따로 “戴1.png”을(zāi) 추가했고, “戴1.png”의 갑골문은 “戴2.png”나 “戴3.png”로 쓰는데, 재앙의 조짐을 의미한다. 머지않아 병란, 재해로 혼란할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이 바로 제사를 지내는 원인이다. “戴1.png”와 “異”가 합쳐지면 즉, “戴”의 의미가 되는 것이다. 예서에서는 “戴”로 표기함으로써, 고문의 상투적인 형태를 탈피하고 예서(今文)의 시기로 접어들게 되었다. [1]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창 과(戈)와 다를 이(異), 음을 나타내는 실을 재(戴)에서 異를 제외한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 의미는 ‘특이한 물건을 실어가기 위해 머리에 이고가다’이고, 여기서 '이다'와 '받들다'의 의미가 파생되었다.

文化

고대 중국인들은 귀신의 존재를 믿었는데, 귀신을 한자로 그려내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그들은 사람이 죽어 귀신이 된다고 생각했던 때문인지 살아있는 사람의 모습에 근거해 귀신의 형상을 그려내었다. 귀신 귀(鬼)는 사람이 얼굴에 커다란 가면을 이고있는 형상이고, 얼굴에 커다란 가면을 쓰고 손을 위로 들어 춤을 추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 다를 이(異)이다. 그리고 이와 비슷하게, 머리에 가면을 씌우는(이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 바로, 이다 대(戴)이다.

  1. 熊国英 ,『图释古汉字』, 齐鲁书社, p.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