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학술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2009년 학술제 개요==
 
==2009년 학술제 개요==
2009년 12월 4일 6시 자작마루에서 제 2회 중국어문화학과 학술제가 진행되었다.
 
  
중국어 문화학과 그 두 번째 학술제,  
+
2009년 12월 4일 6시 자작마루에서 제 2회 중국어문화학과 학술제가 진행되었다.<br/><br/>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
[[파일:2009학술제현수막.jpeg|500픽셀|가운데]]
 +
{{인용문|중국어문화학과 그 두 번째 학술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br/>
 +
2009년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가 제 2회 학술제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br />
 +
1기 선배들이 중국 우한으로 연수를 가게 되었기에 새내기인 저희들의 손으로 서툴지만 정성스럽게 학술제를 꾸려보았습니다.<br />
  
 +
이번 학술제는 하나의 큰 도전이었습니다. 신생과의 특성 상 과의 전통이 없고 학술제를 치러 본 경험 또한 매우 적었기 때문에 준비에 여러 난항을 겪었습니다.<br />
  
  2009년 서울 시립대 중국어 문화학과가 제 2회 학술제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1기 선배들이 중국 우한으로 연수를 가게 되었기에 새내기인 저희들의 손으로 서툴지만 정성스럽게 학술제를 꾸려보았습니다. 이번 학술제는 하나의 큰 도전이었습니다. 신생과의 특성 상 과의 전통이 없고 학술제를 치러 본 경험 또한 매우 적었기 때문에 준비에 여러 난항을 겪었습니다. 이번 학술제를 어떻게 구성하고 준비할지에 대해 갈팡질팡 하고 분분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의견 간 마찰도 있었고 생각지 못했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비온 뒤 땅 굳는다.’라는 말처럼 학우들 간의 의견 교류 과정에서 예전보다 더 결속력 있는 과가 되었고 문제점들을 하나하나씩 해결해 갈수록 성숙해졌습니다. 점점 불가능 해 보였던 프로젝트들이 완성 되었고 우리들의 도전은 결실이 맺어졌습니다. 본과가 2년이라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고 아직 무언가 어색해 보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를 풋풋함이라 생각하고 이런 마음으로 학술제를 마련해보았습니다. 서울 시립대 중국어 문화학과 제 2회 학술제, 신선함과 풋풋함을 느끼고 싶으신 분 모두를 초대하고 싶습니다.  중국어 문화학과 회장 함원빈
+
이번 학술제를 어떻게 구성하고 준비할지에 대해 갈팡질팡 하고 분분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br />
 +
 
 +
이 과정에서 의견 간 마찰도 있었고 생각지 못했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br />
 +
 
 +
그러나 ‘비온 뒤 땅 굳는다.’라는 말처럼 학우들 간의 의견 교류 과정에서 예전보다 더 결속력 있는 과가 되었고 문제점들을 하나하나씩 해결해 갈수록 성숙해졌습니다. <br />
 +
 
 +
점점 불가능 해 보였던 프로젝트들이 완성 되었고 우리들의 도전은 결실이 맺어졌습니다. <br />
 +
 
 +
본과가 2년이라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고 아직 무언가 어색해 보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를 풋풋함이라 생각하고 이런 마음으로 학술제를 마련해보았습니다. <br />
 +
 
 +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제 2회 학술제, 신선함과 풋풋함을 느끼고 싶으신 분 모두를 초대하고 싶습니다.  <br />
 +
 
 +
|중국어문화학과 회장 [[함원빈]]}}
  
 
==학술제 진행 순서==
 
==학술제 진행 순서==
 +
 
[[파일:2009학술제포스터.jpeg|500픽셀|오른쪽]]
 
[[파일:2009학술제포스터.jpeg|500픽셀|오른쪽]]
[[파일:2009학술제현수막.jpeg|500픽셀|오른쪽]]
+
* 사회 [[함원빈]], [[양현주]]
* 사회 함원빈(09), 양현주(09)
 
 
 
1부 중문인의 밤
 
  
* 발라드 (신촌을 못가) / 김성언(13),이재환(15) 1명
+
* ❛무대인사❜  ➜  [[함원빈]], [[양현주]]
* U-clac 공연 (呼吸) / 윤태준, 문혜민, 양기성(16)
+
* ❛과소개영상❜  ➜  [[유혁]] 외 2명
* 중국어 상황극 / 권도영(12), 고동민(도사,10), 리우콴인(교환학생)
+
* ❛뮤직비디오❜  ➜  [[박종호]] 4명
* 랩 (오빠차+SinSa) / 이효장(11) 이성민(13)
+
* ❛교수님인터뷰영상❜  ➜  [[양현주]], [[김정민]]
* 댄스 (TT) / 이슬이 윤서정 성진호 김윤주(16)
+
* ❛답사발표❜  ➜  [[박인영]], [[이수지]], [[임지득]]
* 중문과 지식 대결 1:30 / 지창근(11) 김명준(13) 조형원(15) 외 30명
+
* ❛중국도시소개❜  ➜  [[나은정]], [[윤재박]]
* 댄스동아리 RAH 찬조 공연
+
* ❛시 낭독❜  ➜  [[윤재박]], [[위신욱]]
* 중밤 결과 발표 상금 수여
+
* ❛연극(슈퍼스타C)❜  ➜  [[최정문]], [[김윤미]] 9명
* 휴식 및 저녁시간
+
* ❛교수님 말씀❜  ➜  [[이승훈]] 교수님
 +
* ❛엔딩영상 CF 패러디❜  ➜  [[전민수]], [[천호준]]
  
2부 학술 발표
+
==학술제 영상==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Y1ab9eiq9LCfcli 과소개영상]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7XObfGAbunqOXjJ 뮤직비디오]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4eXYWUHg82Llmdy 11번가 패러디]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fxt1dHj1Oie0unV 개콘따라하기]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JLwbw5US6ljCOBC 로체 패러디]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yUErjTBq9rNZhBa 생귤탱귤 패러디]
  
* 중국어 상황극 - The Voice China / 윤태준, 손명선, 문혜민, 김찬희 (16), 류나(교환학생)
+
==학술제 사진==
* 신세대 농민공을 만나다 / [[독서막장]]
+
*[http://chinesewiki.uos.ac.kr/owncloud/index.php/s/MLFQ2ZzhYlNLoYB 2009 학술제, 생생한 사진]
* 中文可能成为世界通用语吗? 중국어가 세계 공용어가 될 수 있는가? / 김형진 이동호(13)
 
* 중국 근대 교과서 생태계 연구 / 중국어문화학과 객원교수 강설금
 
* 중국 명절 中国节日 / 나성진 이재환(15)
 
* 통속문학 수업발표 - 중국무협과 통속성 / 이철규(국관) 조현성(11) 정민철(12)
 
* 한국이 생각하는 대만 / 배소희 장율하(15) 허위방(교환학생)
 
* 2016 하계 답사 발표 / 성진호(16)
 
* [[韓中 팀프로젝트의 정석]]/ 화이팀(和利team)
 
* [[위쳇 공식계정 활용 보고]] / 뭣이 중환(中华)디 조
 
* 폐회 인사 및 공지 / 사회자 지창근(11)
 

2017년 3월 14일 (화) 17:26 기준 최신판

2009년 학술제 개요

2009년 12월 4일 6시 자작마루에서 제 2회 중국어문화학과 학술제가 진행되었다.

2009학술제현수막.jpeg

중국어문화학과 그 두 번째 학술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2009년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가 제 2회 학술제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1기 선배들이 중국 우한으로 연수를 가게 되었기에 새내기인 저희들의 손으로 서툴지만 정성스럽게 학술제를 꾸려보았습니다.

이번 학술제는 하나의 큰 도전이었습니다. 신생과의 특성 상 과의 전통이 없고 학술제를 치러 본 경험 또한 매우 적었기 때문에 준비에 여러 난항을 겪었습니다.

이번 학술제를 어떻게 구성하고 준비할지에 대해 갈팡질팡 하고 분분한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의견 간 마찰도 있었고 생각지 못했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비온 뒤 땅 굳는다.’라는 말처럼 학우들 간의 의견 교류 과정에서 예전보다 더 결속력 있는 과가 되었고 문제점들을 하나하나씩 해결해 갈수록 성숙해졌습니다.

점점 불가능 해 보였던 프로젝트들이 완성 되었고 우리들의 도전은 결실이 맺어졌습니다.

본과가 2년이라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고 아직 무언가 어색해 보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이를 풋풋함이라 생각하고 이런 마음으로 학술제를 마련해보았습니다.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제 2회 학술제, 신선함과 풋풋함을 느끼고 싶으신 분 모두를 초대하고 싶습니다.


 
— 중국어문화학과 회장 함원빈

학술제 진행 순서

2009학술제포스터.jpeg

학술제 영상

학술제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