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 | [[파일: | + | [[파일:포로로.png|500픽셀|오른쪽]] |
− | + | 포로 로(虜)는 밭에서 일하고 있는 남자(田)를 호랑이(虍)가 잡아가는 모양을 형상한 글자로 사나울 학(虐) 글자와 함께 호랑이의 무서움을 표현한 글자이다.<ref>《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p.42</ref>. 한자어원사전에서는 '虜'를 형성자로 보고 궤뚫을 관(毌)과 힘력(力)으로 구성되어, 꿰놓은 조개 화폐 등 재산을 범처럼 강한 힘으로 ‘빼앗음’을 말했는데, 지금은 사내 남(男)이 의미부이고 虍가 소리부인 구조로 되었다고 해석한다. 여기서 전쟁에서 상대의 재산과 인명을 강탈하다는 뜻이 나왔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ref> | |
==文化== | ==文化== | ||
− | <예기>에 기재되어 있기를, 공자와 제자들이 태산 근처에 갔을 때 무덤 앞에서 통곡하고 있는 부녀를 만나게 된다. 공자는 바로 제자더러 가서 어떤 가슴 아픈 일로 그렇게 울고 있는지 물어보라 시켰다. 젊은 부인이 | + | <예기>에 기재되어 있기를, 공자와 제자들이 태산 근처에 갔을 때 무덤 앞에서 통곡하고 있는 부녀를 만나게 된다. 공자는 바로 제자더러 가서 어떤 가슴 아픈 일로 그렇게 울고 있는지 물어보라 시켰다. 젊은 부인이 대답했다. “이전에 내 시아버지가 호랑이한테 물려 죽었습니다. 그 이후에 내 남편도 호랑이한테 물려 죽었습니다. 어제는 내 아들이 또 호랑이한테 물러 죽었습니다. 이렇게 힘든 일이 계속 일어나는데 어떻게 마음이 아프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에 공자가 앞으로 와서 말했다. “정말 불행하군요. 이곳의 호랑이들은 정말 제멋대로 날뛰는군요! 그렇다면 당신은 왜 이 무서운 곳을 떠나지 않습니까?” 젊은 부인이 눈물을 닦으며 말하길 “이곳이 비록 무섭지만 힘든 조세부담이 없기 때문에 이사를 가고 싶지 않습니다!” |
− | + | 공자는 이를 듣고 한탄하며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더니”라고 말했다. 여기서 '가정맹어호'가 유래되었다. 이후 “虜”는 ‘체포하다’라는 뜻으로 파생되었고 생포당한 적을 포로라고 불렀다. | |
− | |||
==주석== | ==주석==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17년 12월 24일 (일) 23:18 기준 최신판
語源
포로 로(虜)는 밭에서 일하고 있는 남자(田)를 호랑이(虍)가 잡아가는 모양을 형상한 글자로 사나울 학(虐) 글자와 함께 호랑이의 무서움을 표현한 글자이다.[1]. 한자어원사전에서는 '虜'를 형성자로 보고 궤뚫을 관(毌)과 힘력(力)으로 구성되어, 꿰놓은 조개 화폐 등 재산을 범처럼 강한 힘으로 ‘빼앗음’을 말했는데, 지금은 사내 남(男)이 의미부이고 虍가 소리부인 구조로 되었다고 해석한다. 여기서 전쟁에서 상대의 재산과 인명을 강탈하다는 뜻이 나왔다.[2]
文化
<예기>에 기재되어 있기를, 공자와 제자들이 태산 근처에 갔을 때 무덤 앞에서 통곡하고 있는 부녀를 만나게 된다. 공자는 바로 제자더러 가서 어떤 가슴 아픈 일로 그렇게 울고 있는지 물어보라 시켰다. 젊은 부인이 대답했다. “이전에 내 시아버지가 호랑이한테 물려 죽었습니다. 그 이후에 내 남편도 호랑이한테 물려 죽었습니다. 어제는 내 아들이 또 호랑이한테 물러 죽었습니다. 이렇게 힘든 일이 계속 일어나는데 어떻게 마음이 아프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이에 공자가 앞으로 와서 말했다. “정말 불행하군요. 이곳의 호랑이들은 정말 제멋대로 날뛰는군요! 그렇다면 당신은 왜 이 무서운 곳을 떠나지 않습니까?” 젊은 부인이 눈물을 닦으며 말하길 “이곳이 비록 무섭지만 힘든 조세부담이 없기 때문에 이사를 가고 싶지 않습니다!” 공자는 이를 듣고 한탄하며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더니”라고 말했다. 여기서 '가정맹어호'가 유래되었다. 이후 “虜”는 ‘체포하다’라는 뜻으로 파생되었고 생포당한 적을 포로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