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파문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파일:동파문자섬네일2.PNG|300픽셀|섬네일|오른쪽|[[동파문자]]]]중국 운남성 서북부 리장지역의 [[나시족]](Naxi,納西)들이 사용하는 동파문자(东巴文字) 혹은 납서문자(納西文字)라 불리는 상형문자는 현재까지 그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사용되고 있다. 이 동파문은 19세기 말엽에 세상에 알려졌으며 모든 자형을 상형의 방법으로 써낸 문자이다. 나시족이 믿는 동파문의 무사(巫師)들이 그들의 경전을 쓰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동파문자라고 불리며, 이 동파문을 한어로 음역하여 ‘森究魯究’하여 ‘斯究魯究’라고 하는데, <ref>김태완(2012),《갑골문과 중국의 상형문자》, 32쪽</ref>원래의 의미와는 아무 상관없는 그저 중국인들의 발음에 의해 한자로 옮긴 ‘가차’의 음에 불과한 음역자이다.<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3쪽</ref> 원래 동파문의 발음은 sər33 ʨə55 lɤ33 ʨə55(우리말로는 ‘써ㄹ쳐러쳐’로 발음됨)이며, 동파문으로는 [[파일:동파문1.jpg|110픽셀]] 또는 [[파일:동파문2.jpg|110픽셀]]로 표기한다. <ref>偰玲華, "納西東巴文字에 담겨진 納西族의 感性",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인문학국사업단(2010)</ref> 직역하면 ‘나무/흔적/돌/흔적’ 또는 ‘나무/홍역 같은 흔적 혹은 반점/돌/반점’으로서 ‘나무를 그리고 돌을 그리다’혹은 ‘흔적, 반점, 돌, 반점’으로서 ‘보이는 대로 그 흔적을 그린다’는 의미이다.’로 번역할 수 있다. 즉, 나무나 돌에 새긴 부호로서, 나무에 새겨서 일을 기록하고, 돌에 새겨서 소식이나 정보를 전달한다는 의미로, 정보의 저장매체로서의 역할이다. 나아가, ‘나무나 돌에 흔적을 남기다, 새기다’로 번역할 수 있는데, 자연사물을 묘사하는 상형문자의 본질에 충실한 해석이다. 이때 ‘흔적’은 문자’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4쪽</ref> 혹은 “나무를 보면 나무를 그리고, 돌을 보면 돌을 그린다”라는 해석 또한 있다. <ref>方國瑜, 『納西象形文字譜』, 37쪽</ref>
+
[[파일:동파문자섬네일2.PNG|300픽셀|섬네일|오른쪽|[[동파문자]]]]중국 운남성 서북부 리장지역의 [[나시족]](Naxi,納西)들이 사용하는 [[동파문자]](東巴文字), [[동파문자|납서문자]](納西文字), [[동파문자|동파문]] 혹은 [[동파문자|돔바문]](영어: Dongba Symbols)라 불리는 상형문자는 현재까지 그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사용되고 있다. 이 [[동파문자|동파문]]은 19세기 말엽에 세상에 알려졌으며 모든 자형을 상형의 방법으로 써낸 문자이다. [[나시족]]이 믿는 동파문의 무사(巫師)들이 그들의 경전을 쓰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동파문자]]라고 불리며, 이 동파문을 한어로 음역하여 ‘森究魯究’하여 ‘斯究魯究’라고 하는데, <ref>김태완(2012),《갑골문과 중국의 상형문자》, 32쪽</ref>원래의 의미와는 아무 상관없는 그저 중국인들의 발음에 의해 한자로 옮긴 ‘가차’의 음에 불과한 음역자이다.<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3쪽</ref><br> 원래 동파문의 발음은 sər33 ʨə55 lɤ33 ʨə55(우리말로는 ‘써ㄹ쳐러쳐’로 발음됨)이며, 동파문으로는 [[파일:동파문1.jpg|110픽셀]] 또는 [[파일:동파문2.jpg|110픽셀]]로 표기한다. <ref>偰玲華(2010), <納西東巴文字에 담겨진 納西族의 感性>,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 4쪽</ref> 직역하면 ‘나무/흔적/돌/흔적’ 또는 ‘나무/홍역 같은 흔적 혹은 반점/돌/반점’으로서 ‘나무를 그리고 돌을 그리다’혹은 ‘흔적, 반점, 돌, 반점’으로서 ‘보이는 대로 그 흔적을 그린다’는 의미이다.’로 번역할 수 있다. 즉, 나무나 돌에 새긴 부호로서, 나무에 새겨서 일을 기록하고, 돌에 새겨서 소식이나 정보를 전달한다는 의미로, 정보의 저장매체로서의 역할이다. 나아가, ‘나무나 돌에 흔적을 남기다, 새기다’로 번역할 수 있는데, 자연사물을 묘사하는 상형문자의 본질에 충실한 해석이다. 이때 ‘흔적’은 문자’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4쪽</ref> 혹은 “나무를 보면 나무를 그리고, 돌을 보면 돌을 그린다”라는 해석 또한 있다. <ref>方國瑜(1981), 《納西象形文字譜》, 37쪽</ref>
 +
 
 
==특징==
 
==특징==
납서 동파문자가 언제 창제되었다는 것은 역사서에도 명확한 기록이 없다. 다만, 납서족의 동파에 의해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며, 문자의 겉모습만 보면 이미 사라져버린 원시문자 이전의 그림 정도로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이것은 형체, 발음, 의미를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문자학적인 측면에서도 보아도 틀림없는 문자이다. <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36쪽</ref>원시적인 도화圖畵(혹은 회화繪畵)의 형태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상형문자는 이 동파문이 유일하다. 이는 그야말로 ‘살아있는 화석’이다.<br>
+
[[동파문자]]가 언제 창제되었다는 것은 역사서에도 명확한 기록이 없다. 다만, [[나시족]]의 동파에 의해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며, 문자의 겉모습만 보면 이미 사라져버린 원시문자 이전의 그림 정도로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이것은 형체, 발음, 의미를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문자학적인 측면에서도 보아도 틀림없는 문자이다. <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36쪽</ref>원시적인 도화圖畵(혹은 회화繪畵)의 형태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상형문자는 이 [[동파문자|동파문]]이 유일하다. 이는 그야말로 ‘살아있는 화석’이다.<br>
동파문자는 원시적이라기보다는 성숙하지 않은 소박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특징을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
[[동파문자]]는 원시적이라기보다는 성숙하지 않은 소박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특징을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유형의 자는 많으나 무형의 자는 적다. 동시에 명사 특히 인명과 신명 등이 많으며 동사나 형용사는 적다.
 
#유형의 자는 많으나 무형의 자는 적다. 동시에 명사 특히 인명과 신명 등이 많으며 동사나 형용사는 적다.
 
#글자의 모양과 의미가 대단히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종 나무의 명칭은 특정 나무의 모양과 특징을 자세히 묘사하여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글자의 모양과 의미가 대단히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종 나무의 명칭은 특정 나무의 모양과 특징을 자세히 묘사하여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글자의 대소와 방향으로 의미를 구분하고 있는 것 등이다.<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81쪽</ref>
 
#글자의 대소와 방향으로 의미를 구분하고 있는 것 등이다.<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81쪽</ref>
 
==창제시기==
 
==창제시기==
동파경 및 다른 역사서에도 창제시기에 관한 기록이 없으며, 동파문과 연관된 문물도 출토되지 않았다. 그러나 학자들은 납서족 사회를 중국의 역사와 결합시켜 검토한 결과, 7세기 초인 수말’당초에 납서족의 원시 무교가 Tibet 분교(Bon Religion)의 영향을 받아 동파교가 형성되었고, 이때에 이미 직업화된 동파무사가 출현한 것에 근거하여 납서 동파문자는 당대 이전에 형성되어 적어도 7~11세기에 만들어졌고 늦어도 13세기 초에는 이미 크게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br>이는 사실 아직까지 확정적인 정설이 없는 상황에서 여러 정황을 참조하여 내린 결론이며, 일반적으로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0여 년 전인 당대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동파문자가 고대 바빌로니아의 설형문자, 고대 이집트의 신성문자, 중남미의 고대 마야문자 및 중국의 갑골문자에 비해 원시적이고 순박한 것은 분명하며, 그 만들어진 시기가 다른 고대 문자보다 더 최근의 것이라는 점이 대단히 주목할 만하다.<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6쪽</ref>
+
동파경 및 다른 역사서에도 창제시기에 관한 기록이 없으며, [[동파문자|동파문]]과 연관된 문물도 출토되지 않았다. 그러나 학자들은 [[나시족]] 사회를 중국의 역사와 결합시켜 검토한 결과, 7세기 초인 수말・당초에 [[나시족]]의 원시 무교가 Tibet 분교(Bon Religion)의 영향을 받아 동파교가 형성되었고, 이때에 이미 직업화된 동파무사가 출현한 것에 근거하여 나시 [[동파문자]]는 당대 이전에 형성되어 적어도 7~11세기에 만들어졌고 늦어도 13세기 초에는 이미 크게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br>이는 사실 아직까지 확정적인 정설이 없는 상황에서 여러 정황을 참조하여 내린 결론이며, 일반적으로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0여 년 전인 당대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동파문자]]가 고대 바빌로니아의 설형문자, 고대 이집트의 신성문자, 중남미의 고대 마야문자 및 중국의 [[갑골문]]에 비해 원시적이고 순박한 것은 분명하며, 그 만들어진 시기가 다른 고대 문자보다 더 최근의 것이라는 점이 대단히 주목할 만하다.<ref>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6쪽</ref>
 +
==조자(造字)방식==
 +
===문자 자체의 변화로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
[[동파문자]]는 도화(圖畵)에서 문자(文字)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문자로 그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 실물과 유사하게 간략히 그리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동파문자]]의 가장 중요한 조자(造字)방법이기도 하다.
 +
====위치나 방향이 변하여 의미 변화를 나타내는 방식====
 +
‘하늘([[天]])’을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하늘.jpg|30픽셀]]자를 경사지게 [[파일:동파문_기울어진하늘.png|30픽셀]]자로 쓰면 ‘기울어진 하늘(斜天)’의 의미가 되며, ‘사람([[人]])’을 의미하는 [[파일:동파문_사람.PNG|20픽셀]]자에 선을 더하고 옆으로 눕히면 [[파일:동파문_눕다.jpg|30픽셀]]자 즉 ‘눕다([[臥]])’의 의미가 되고, 또 그 자세를 바꾸면 [[파일:동파문_엎드리다.png|30픽셀]]자 즉 ‘엎드리다([[伏]])’의 뜻이 되는 것 등이다. 이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되는데, [[파일:동파문_살아있는사슴.png|30픽셀]]자는 ‘살아있는 사슴’이지만 [[파일:동파문_죽은사슴.png|30픽셀]]자는 ‘죽은 사슴’을 나타낸다.
 +
 
 +
====특징을 돌출시켜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
 +
[[나시족]]의 경전인 ≪黑白争战≫에 나오는 ‘竖眼天女’는 [[파일:동파문_천녀1.png|30픽셀]]자로, ‘横眼天女’는 [[파일:동파문_천녀2.png|30픽셀]]자로 나타내는데, 모두 두 선녀의 특징인 눈을 특별히 강조하여 그림으로 써 서로를 구분하고 있다. 또한 모양이 비슷한 동물을 구분하는 데에도 쓰이는데, 역시 해당 동물의 특징을 강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리([[鸭]])’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오리.png|30픽셀]]자는 주둥이에 세 개의 선을 그려 평평하면서도 넓적한 오리 입의 특징으로써 그 의미를 나타내 고 있으며, ‘갈까마귀([[鸦]])’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갈까마귀.png|30픽셀]]자는 검은색의 몸체로 그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 등이다.
 +
 
 +
===부가요소로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
[[동파문자]]에 첨가되는 선(線)이나 점(點) 및 기타 자소(字素)는 원래의 의미를 변경하거나 증가시키는 역할로서 선에는 곡선과 직선, 요동치는 선이 있다.
 +
====선(線)을 첨가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
'보다([[看]])'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보다.PNG|30픽셀]]자는 눈의 자형에 곡선을 더해 눈으로 본다는 의미를 뚜렷이 하고 있고, '말하다([[言]])'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말하다.PNG|30픽셀]]자는 사람의 입에 직선을 더해 사람이 말을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듣다([[聞]])'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듣다.PNG|35픽셀]]자는 귀의 자형에 요동치는 선을 더해 귀를 통해 소리를 듣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
====점(點)을 첨가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
다수의 점(點)은 주로 '많음과 소리'를 나타내는데, '배부르다([[飽]])'를 나타낸 [[파일:동파문_배부르다.PNG|30픽셀]]자는 사람의 뱃속에 많은 점을 더해 음식물을 많이 먹었을 때 느끼는 포만감을 나타냈고, '웃다([[笑]])'를 나타낸 [[파일:동파문_웃다.PNG|35픽셀]]자는 입의 자형에 다수의 점을 더해 소리를 점으로써 나타내고 있다.
 +
====도색(塗色)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
도색(塗色)은 주로 '밝음과 어두움, 좋음과 나쁨'을 나타내는데, '어두움([[暗]])'을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어두움.PNG|35픽셀]]자는 빛의 자형을 검게 도색하여 어두움을 나타냈고, '빛([[光]])'을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빛.PNG|35픽셀]]자는 해 자형의 안을 희게 비우고, 빛발이 발산하는 모습의 요동치는 선을 더해 빛을 나타내고 있다.<br>
 +
또 '쓰다([[苦]])'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쓰다.PNG|30픽셀]]자는 입 밖에 있는 음식물을 검게 도색하여 쓴 맛을 나타냈고, '먹다([[吃]])'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먹다.PNG|30픽셀]]자는 입 밖에 있는 음식물을 희게 비워 맛있는 음식물을 먹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자형의 일부분을 생략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
'보이지 않다([[盲]])'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보이지않다.PNG|30픽셀]]자는 보이다([[파일:동파문_보이다.PNG|30픽셀]]) 자형에서 직선을 생략하여 보이지 않음을 나타냈고, '나쁘다([[壞]])'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나쁘다.PNG|30픽셀]]자는 화살의 생략형인 화살촉으로 나쁘다는 뜻을 나타내고 있다.
 +
====사물을 기본 자형에 더해서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
'깨닫다([[覺]])'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깨닫다.PNG|30픽셀]]자는 심장 자형에 [[파일:동파문_소리.PNG|30픽셀]]([[乳]]) 소리를 결합하여 마음으로부터 액체와 같은 무엇인가가 흘러나와 사물을 인식하고 깨닫게 되는 것을 나타냈고, ‘우기다(爭執)’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우기다.PNG|35픽셀]]자는 마주보는 손과 발에 선을 더하고, [[파일:동파문_경계.PNG|20픽셀]]을 더해 경계를 두고 서로 다투는 것을 생동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
====신체의 일부분을 더해서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
'가난하다([[貧]])'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가난하다.PNG|30픽셀]]자는 사람의 자형에 산발한 머리카락을 더해 빈궁한 모습을 나타냈고, '임신하다([[孕]])'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임신하다.PNG|30픽셀]]자는 부인 자형과 뱃속의 아이 자형을 결합하여 임산부의 모습을 나타냈고, '낳아 기르다([[育]])'를 나타내는 [[파일:동파문_낳아기르다.PNG|30픽셀]]자는 부인 자형의 아래에 아이의 자형을 더해 출산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ref>偰玲華(2010), <納西東巴文字에 담겨진 納西族의 感性>,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 7~8쪽</ref>
 +
==문자 사료==
 +
[[동파문자|동파문]]은 주로 나시어 서부방언구에서 사용되며 운남 리강[[나시족]] 자치현의 산악지역과 중전의 백지 및 유서의 반천각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한다. 이런 지구의 동파경사(东巴經师)들이 수집한 동파경서는 아주 풍부하다. [[동파문자|동파문]]에는 1,300여개 글자형이 있는데 이런 글자로 쓰인 경서가 약 2만여권에 달하며 책 종류는 2,000여 종 정도가 된다. 그 중 《제풍경(祭风经)》, 《소재경(消灾经)》, 《상장경(丧葬经)》, 《초도경(超度经)》, 《제산신룡왕경(祭山神龙王经)》, 《제세경(除岁经)》, 《구수경(求寿经)》, 《영잡경(零杂经)》등은 역사전설, 시가격언, 종교제사, 천문, 의약, 점괘, 풍속습관 등의 내용을 적은 책들이다. 동파경에는 재미있는 신화전설 이야기와 자연재해와 투쟁하는 내용도 있다. 그리고 사회투쟁과 전쟁을 반영하는 작품도 있고, 사랑을 노래한 시도 있다.<ref>
 +
보학왕 외 1명(2006), 《운남성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자》,  91쪽</ref>
 +
 
 +
==참고문헌==
 +
方國瑜(1981), 《納西象形文字譜》<br>
 +
보학왕 외 1명(2006), 《운남성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자》<br>
 +
[http://www.gamsung.org/hk/board/B0019.cs?act=read&articleId=372&searchKeyword=&searchCondition=&searchEndDt=&m=14&searchStartDt=&pageIndex=9&pageUnit=15 偰玲華(2010), <納西東巴文字에 담겨진 納西族의 感性>,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br>
 +
김태완(2012), 《갑골문과 중국의 상형문자》<br>
 +
김태완(2015), 《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br>
 +
==동파문자 관련자료==
 +
[https://www.youtube.com/watch?v=qR-8rYJ-7ok Layne Chan(2018), <2D animation "Dongba writing">] 동파문자를 이용해 만든 애니메이션 <br>
 +
[http://www.zmnsoft.com/edongba/GB/DownLoad.html 동파문자 자판 체험판] 동파문자를 컴퓨터에 입력할수 있는 자판 체험판을 다운 받을 수 있다고 한다. <br>
 +
[https://haokan.baidu.com/v?vid=4970949274811947415&pd=bjh&fr=bjhauthor&type=video JTBC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프로그램의 동파문자 소개 영상]<br>
 +
[https://haokan.baidu.com/v?vid=14177744182354134150&pd=bjh&fr=bjhauthor&type=video 일본 매체의 동파문자 소개 영상, "日本曾流行过的中国东巴文字,唯一还在使用的象形文字"]<br>
 +
 
 +
[[분류:중국문자]]

2019년 12월 25일 (수) 22:28 기준 최신판

개요

중국 운남성 서북부 리장지역의 나시족(Naxi,納西)들이 사용하는 동파문자(東巴文字), 납서문자(納西文字), 동파문 혹은 돔바문(영어: Dongba Symbols)라 불리는 상형문자는 현재까지 그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 채 사용되고 있다. 이 동파문은 19세기 말엽에 세상에 알려졌으며 모든 자형을 상형의 방법으로 써낸 문자이다. 나시족이 믿는 동파문의 무사(巫師)들이 그들의 경전을 쓰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에 동파문자라고 불리며, 이 동파문을 한어로 음역하여 ‘森究魯究’하여 ‘斯究魯究’라고 하는데, [1]원래의 의미와는 아무 상관없는 그저 중국인들의 발음에 의해 한자로 옮긴 ‘가차’의 음에 불과한 음역자이다.[2]
원래 동파문의 발음은 sər33 ʨə55 lɤ33 ʨə55(우리말로는 ‘써ㄹ쳐러쳐’로 발음됨)이며, 동파문으로는 동파문1.jpg 또는 동파문2.jpg로 표기한다. [3] 직역하면 ‘나무/흔적/돌/흔적’ 또는 ‘나무/홍역 같은 흔적 혹은 반점/돌/반점’으로서 ‘나무를 그리고 돌을 그리다’혹은 ‘흔적, 반점, 돌, 반점’으로서 ‘보이는 대로 그 흔적을 그린다’는 의미이다.’로 번역할 수 있다. 즉, 나무나 돌에 새긴 부호로서, 나무에 새겨서 일을 기록하고, 돌에 새겨서 소식이나 정보를 전달한다는 의미로, 정보의 저장매체로서의 역할이다. 나아가, ‘나무나 돌에 흔적을 남기다, 새기다’로 번역할 수 있는데, 자연사물을 묘사하는 상형문자의 본질에 충실한 해석이다. 이때 ‘흔적’은 문자’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4] 혹은 “나무를 보면 나무를 그리고, 돌을 보면 돌을 그린다”라는 해석 또한 있다. [5]

특징

동파문자가 언제 창제되었다는 것은 역사서에도 명확한 기록이 없다. 다만, 나시족의 동파에 의해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며, 문자의 겉모습만 보면 이미 사라져버린 원시문자 이전의 그림 정도로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이것은 형체, 발음, 의미를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에 문자학적인 측면에서도 보아도 틀림없는 문자이다. [6]원시적인 도화圖畵(혹은 회화繪畵)의 형태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상형문자는 이 동파문이 유일하다. 이는 그야말로 ‘살아있는 화석’이다.
동파문자는 원시적이라기보다는 성숙하지 않은 소박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특징을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1. 유형의 자는 많으나 무형의 자는 적다. 동시에 명사 특히 인명과 신명 등이 많으며 동사나 형용사는 적다.
  2. 글자의 모양과 의미가 대단히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종 나무의 명칭은 특정 나무의 모양과 특징을 자세히 묘사하여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3. 글자의 대소와 방향으로 의미를 구분하고 있는 것 등이다.[7]

창제시기

동파경 및 다른 역사서에도 창제시기에 관한 기록이 없으며, 동파문과 연관된 문물도 출토되지 않았다. 그러나 학자들은 나시족 사회를 중국의 역사와 결합시켜 검토한 결과, 7세기 초인 수말・당초에 나시족의 원시 무교가 Tibet 분교(Bon Religion)의 영향을 받아 동파교가 형성되었고, 이때에 이미 직업화된 동파무사가 출현한 것에 근거하여 나시 동파문자는 당대 이전에 형성되어 적어도 7~11세기에 만들어졌고 늦어도 13세기 초에는 이미 크게 발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사실 아직까지 확정적인 정설이 없는 상황에서 여러 정황을 참조하여 내린 결론이며, 일반적으로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0여 년 전인 당대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동파문자가 고대 바빌로니아의 설형문자, 고대 이집트의 신성문자, 중남미의 고대 마야문자 및 중국의 갑골문에 비해 원시적이고 순박한 것은 분명하며, 그 만들어진 시기가 다른 고대 문자보다 더 최근의 것이라는 점이 대단히 주목할 만하다.[8]

조자(造字)방식

문자 자체의 변화로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동파문자는 도화(圖畵)에서 문자(文字)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문자로 그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 실물과 유사하게 간략히 그리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동파문자의 가장 중요한 조자(造字)방법이기도 하다.

위치나 방향이 변하여 의미 변화를 나타내는 방식

‘하늘()’을 나타내는 동파문 하늘.jpg자를 경사지게 동파문 기울어진하늘.png자로 쓰면 ‘기울어진 하늘(斜天)’의 의미가 되며, ‘사람()’을 의미하는 동파문 사람.PNG자에 선을 더하고 옆으로 눕히면 동파문 눕다.jpg자 즉 ‘눕다()’의 의미가 되고, 또 그 자세를 바꾸면 동파문 엎드리다.png자 즉 ‘엎드리다()’의 뜻이 되는 것 등이다. 이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되는데, 동파문 살아있는사슴.png자는 ‘살아있는 사슴’이지만 동파문 죽은사슴.png자는 ‘죽은 사슴’을 나타낸다.

특징을 돌출시켜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

나시족의 경전인 ≪黑白争战≫에 나오는 ‘竖眼天女’는 동파문 천녀1.png자로, ‘横眼天女’는 동파문 천녀2.png자로 나타내는데, 모두 두 선녀의 특징인 눈을 특별히 강조하여 그림으로 써 서로를 구분하고 있다. 또한 모양이 비슷한 동물을 구분하는 데에도 쓰이는데, 역시 해당 동물의 특징을 강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리()’를 나타내는 동파문 오리.png자는 주둥이에 세 개의 선을 그려 평평하면서도 넓적한 오리 입의 특징으로써 그 의미를 나타내 고 있으며, ‘갈까마귀()’를 나타내는 동파문 갈까마귀.png자는 검은색의 몸체로 그 의미를 나타내는 방식 등이다.

부가요소로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동파문자에 첨가되는 선(線)이나 점(點) 및 기타 자소(字素)는 원래의 의미를 변경하거나 증가시키는 역할로서 선에는 곡선과 직선, 요동치는 선이 있다.

선(線)을 첨가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보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보다.PNG자는 눈의 자형에 곡선을 더해 눈으로 본다는 의미를 뚜렷이 하고 있고, '말하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말하다.PNG자는 사람의 입에 직선을 더해 사람이 말을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듣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듣다.PNG자는 귀의 자형에 요동치는 선을 더해 귀를 통해 소리를 듣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점(點)을 첨가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다수의 점(點)은 주로 '많음과 소리'를 나타내는데, '배부르다()'를 나타낸 동파문 배부르다.PNG자는 사람의 뱃속에 많은 점을 더해 음식물을 많이 먹었을 때 느끼는 포만감을 나타냈고, '웃다()'를 나타낸 동파문 웃다.PNG자는 입의 자형에 다수의 점을 더해 소리를 점으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색(塗色)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도색(塗色)은 주로 '밝음과 어두움, 좋음과 나쁨'을 나타내는데, '어두움()'을 나타내는 동파문 어두움.PNG자는 빛의 자형을 검게 도색하여 어두움을 나타냈고, '빛()'을 나타내는 동파문 빛.PNG자는 해 자형의 안을 희게 비우고, 빛발이 발산하는 모습의 요동치는 선을 더해 빛을 나타내고 있다.
또 '쓰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쓰다.PNG자는 입 밖에 있는 음식물을 검게 도색하여 쓴 맛을 나타냈고, '먹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먹다.PNG자는 입 밖에 있는 음식물을 희게 비워 맛있는 음식물을 먹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자형의 일부분을 생략하여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보이지 않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보이지않다.PNG자는 보이다(동파문 보이다.PNG) 자형에서 직선을 생략하여 보이지 않음을 나타냈고, '나쁘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나쁘다.PNG자는 화살의 생략형인 화살촉으로 나쁘다는 뜻을 나타내고 있다.

사물을 기본 자형에 더해서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깨닫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깨닫다.PNG자는 심장 자형에 동파문 소리.PNG() 소리를 결합하여 마음으로부터 액체와 같은 무엇인가가 흘러나와 사물을 인식하고 깨닫게 되는 것을 나타냈고, ‘우기다(爭執)’를 나타내는 동파문 우기다.PNG자는 마주보는 손과 발에 선을 더하고, 동파문 경계.PNG을 더해 경계를 두고 서로 다투는 것을 생동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신체의 일부분을 더해서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

'가난하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가난하다.PNG자는 사람의 자형에 산발한 머리카락을 더해 빈궁한 모습을 나타냈고, '임신하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임신하다.PNG자는 부인 자형과 뱃속의 아이 자형을 결합하여 임산부의 모습을 나타냈고, '낳아 기르다()'를 나타내는 동파문 낳아기르다.PNG자는 부인 자형의 아래에 아이의 자형을 더해 출산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9]

문자 사료

동파문은 주로 나시어 서부방언구에서 사용되며 운남 리강나시족 자치현의 산악지역과 중전의 백지 및 유서의 반천각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한다. 이런 지구의 동파경사(东巴經师)들이 수집한 동파경서는 아주 풍부하다. 동파문에는 1,300여개 글자형이 있는데 이런 글자로 쓰인 경서가 약 2만여권에 달하며 책 종류는 2,000여 종 정도가 된다. 그 중 《제풍경(祭风经)》, 《소재경(消灾经)》, 《상장경(丧葬经)》, 《초도경(超度经)》, 《제산신룡왕경(祭山神龙王经)》, 《제세경(除岁经)》, 《구수경(求寿经)》, 《영잡경(零杂经)》등은 역사전설, 시가격언, 종교제사, 천문, 의약, 점괘, 풍속습관 등의 내용을 적은 책들이다. 동파경에는 재미있는 신화전설 이야기와 자연재해와 투쟁하는 내용도 있다. 그리고 사회투쟁과 전쟁을 반영하는 작품도 있고, 사랑을 노래한 시도 있다.[10]

참고문헌

方國瑜(1981), 《納西象形文字譜》
보학왕 외 1명(2006), 《운남성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자》
偰玲華(2010), <納西東巴文字에 담겨진 納西族의 感性>,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
김태완(2012), 《갑골문과 중국의 상형문자》
김태완(2015), 《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동파문자 관련자료

Layne Chan(2018), <2D animation "Dongba writing"> 동파문자를 이용해 만든 애니메이션
동파문자 자판 체험판 동파문자를 컴퓨터에 입력할수 있는 자판 체험판을 다운 받을 수 있다고 한다.
JTBC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프로그램의 동파문자 소개 영상

일본 매체의 동파문자 소개 영상, "日本曾流行过的中国东巴文字,唯一还在使用的象形文字"

  1. 김태완(2012),《갑골문과 중국의 상형문자》, 32쪽
  2. 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3쪽
  3. 偰玲華(2010), <納西東巴文字에 담겨진 納西族의 感性>,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 4쪽
  4. 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4쪽
  5. 方國瑜(1981), 《納西象形文字譜》, 37쪽
  6. 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36쪽
  7. 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81쪽
  8. 김태완(2015),《이미지와 중국의 상형문자》, 246쪽
  9. 偰玲華(2010), <納西東巴文字에 담겨진 納西族의 感性>,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인문한국사업단, 7~8쪽
  10. 보학왕 외 1명(2006), 《운남성 소수민족의 언어와 문자》, 9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