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본문 번역: ‘陵’은 원래 높은 곳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뒤에는 높은 산릉을 대부분 가르킨다. <설문>: “릉, 대부야.” 갑골문은 라고...)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본문 번역:
+
==語源==
‘陵’은 원래 높은 곳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뒤에는 높은 산릉을 대부분 가르킨다. <설문>: “릉, 대부야.” 갑골문은 라고 쓰고, 은 언덕과 계단을 의미하고, 는 발이 튀어나온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높은 지위에 오르다. 금문은 라고 쓴다. 여전히 계단이 있는 언덕이 보이지만, 사람의 모습은 갑골문만큼 직관적이지 않다. 소전은 획을 규범화한 후, 라고 쓴다. 따라서 “종부,능성”을 쓰고, 형성 겸 회의자. (‘夌’ 글자 자체에도 높은 곳을 오른다는 뜻이 있다) 예서(한<예기비>)는 대담하게 필획을 생략하고 라고 쓴다.
+
[[파일:陵 언덕 릉(능).jpg|500픽셀|오른쪽]]
 +
陵(릉)은 원래 높은 곳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나중에는 높은 산을 나타낸다.  
  
추가 자료를 통한 보충 및 다른 학설:
+
[[갑골문]] 陵은  언덕, 계단, 발이 튀어나온 사람으로 구성되어 높은 지위에 오르다는 의미를 가진다.
1) 형성 문자로, 夊(천천히 걸을 쇠)가 의미부이고, 圥(버섯 록)이 소리부로, 사람이 거처할 수 있는(夊) 땅을 말하는데, 습기가 끼거나 물이 들지 않는 ‘언덕’이나 ‘구릉’이 적합한 곳이었다. 갑골문에서 사람(人)과 余(나 여)의 생략된 모습과 屮(왼손 좌)의 결합으로, 집(余)이 사람(人) 위에 있는 모습으로부터 사람보다 위에 있음을 그렸고, 이로부터 능가하다와 능멸하다 등의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사람의 발이 다시 더해졌고, 소전체에서는 발(夂)만 남아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일본에서의 ‘陵’:
+
==文化==
  회의겸형성문자(阝+夌). 단의붙은 토산의 상형('언덕'의 의미)과 한쪽 다리를 올리는 사람의 상형과 아래쪽의 발의 상형('발을 들어 높은 땅을 넘다'라는 뜻)에서 “넘어 가야하는 언덕” 을 뜻하는 능(陵)이라는 한자가 이루어졌다.  
+
陵은 형성자로, 夊(천천히 걸을 쇠)가 의미부이고, 圥(버섯 록)이 소리부로, 사람이 거처할 수 있는(夊) 땅을 말하는데, 습기가 끼거나 물이 들지 않는 ‘언덕’이나 ‘구릉’이 적합한 곳이었다.  
  
①언덕, 큰 언덕 「丘陵 (구릉)
+
[[갑골문]]에서 사람(人)과 余(나 여)의 생략된 모습과 屮(왼손 좌)의 결합으로, ()이 사람() 위에 있는 모습으로부터 사람보다 위에 있음을 그렸고, 이로부터 능가하다와 능멸하다 등의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사람의 발이 다시 더해졌고, 소전체에서는 발()만 남아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②천황이나 황후의 묘. 「(陵墓 능묘)
 
③능가하다. 「陵駕 (능가)
 
  
종합 의견:
+
일본에서의 ‘陵'은 회의겸형성문자(阝+夌). 단의붙은 토산의 상형('언덕'의 의미)과 한쪽 다리를 올리는 사람의 상형과 아래쪽의 발의 상형('발을 들어 높은 땅을 넘다'라는 뜻)에서 “넘어 가야하는 언덕” 을 뜻하는 능(陵)이라는 한자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언덕 릉()은 원래 높은 곳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형성 문자로서 夊(천천히 걸을 쇠)가 사람이 거처할 수 있는 땅의 의미로서 습기가 끼거나 물이 들지 않는 ‘언덕’이나 ‘구릉’으로 묘사되었다는 학설도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단이 붙은 토산'의 상형과 '높은 흙을 머금은 곳'
 

2023년 12월 26일 (화) 14:34 기준 최신판

語源

陵 언덕 릉(능).jpg

陵(릉)은 원래 높은 곳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나중에는 높은 산을 나타낸다.

갑골문 陵은 언덕, 계단, 발이 튀어나온 사람으로 구성되어 높은 지위에 오르다는 의미를 가진다.

文化

陵은 형성자로, 夊(천천히 걸을 쇠)가 의미부이고, 圥(버섯 록)이 소리부로, 사람이 거처할 수 있는(夊) 땅을 말하는데, 습기가 끼거나 물이 들지 않는 ‘언덕’이나 ‘구릉’이 적합한 곳이었다.

갑골문에서 사람(人)과 余(나 여)의 생략된 모습과 屮(왼손 좌)의 결합으로, 집(余)이 사람(人) 위에 있는 모습으로부터 사람보다 위에 있음을 그렸고, 이로부터 능가하다와 능멸하다 등의 뜻이 나왔다. 금문에서는 사람의 발이 다시 더해졌고, 소전체에서는 발(夂)만 남아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일본에서의 ‘陵'은 회의겸형성문자(阝+夌). 단의붙은 토산의 상형('언덕'의 의미)과 한쪽 다리를 올리는 사람의 상형과 아래쪽의 발의 상형('발을 들어 높은 땅을 넘다'라는 뜻)에서 “넘어 가야하는 언덕” 을 뜻하는 능(陵)이라는 한자가 이루어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