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소개== | ==소개== | ||
+ | ===소개=== | ||
영화<신녀,The Goddess> | 영화<신녀,The Goddess> | ||
+ | [[파일:신녀1.jpg|5000픽셀|섬네일|왼쪽|영화 신녀]] | ||
제작년도: 1934년 | 제작년도: 1934년 | ||
− | 감독: 우용강 | + | 감독: [[우용강]] |
각본: 우용강 | 각본: 우용강 | ||
− | 출연: 완령옥, 여갱, | + | 출연: [[완령옥]], [[여갱]], [[장지직]], 이군반 |
상영시간: 75분 | 상영시간: 75분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 - 1934년에 | + | - 1934년에 우용강[吳永剛] 감독이 각본까지 쓰고 연출한 첫 작품으로 흑백영화이다. 안정된 촬영과 연출을 선보였고 비극적 분위기를 강조하기 위해 조명에서 음영을 강조하는 등 세심하게 만들어진 비극적 멜로드라마이다. 1930년대 현실주의 비극영화들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당대를 풍미한 여배우 완령옥[阮玲玉]이 주인공을 맡았고 1930년대에도 여전히 무성영화를 옹호한 연화영업공사(聯華影業公司)의 작품으로 무성영화이다. 매매춘을 하는 한 여인의 불우한 운명을 통해 현실 생활의 어두운 면을 그려 중국 대중들을 감동시켰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6410&cid=40942&categoryId=33098</ref> |
+ | |||
+ | - <신녀>는 미술감독 출신인 우용강이 각본과 연출 모두를 소화해낸 데뷔작으로 현재의 평론가들뿐만 아니라 당시의 평가단에게도 호평을 받은 중국 최고의 무성영화로 평가된다. <작은 마을의 봄>의 페이무 감독과 더불어 중국초기영화의 최고 감독으로 손꼽히는 우용강은 안정된 촬영과 연출을 선보이며 비극적 분위기를 강조하기 위해 조명에서 음영을 강조하는 등 세심하게 극을 이어나간다. 또한, <신녀>는 우리에게는 장만옥이 주연한 <완령옥>으로 알려진 30, 40년대 중국 최고의 여배우 완링위의 대표작으로 화려한 은막생활과는 달리 비운의 삶을 산 그녀는 <신녀>에서 자신의 연기생애 중 최고의 연기를 펼쳤다. 몸을 팔고 새벽녘 집으로 돌아와 아들을 보러 2층으로 향하는 그녀의 뒷모습은 당대 그 어떤 여배우도 흉내 낼 수 없는 연기였다. 완링위의 열연은 '신녀'를 '여신'으로 까지 승화시키는 기적을 만들어낸다. 좌익영화라 불리는 [[상하이 영화]](올드 상하이)를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
+ | |||
+ | ===줄거리 요약=== | ||
+ | 중국어 번역: 생활이 매우 고난한 한 여인에게는 오직 아들밖에 없었다. 생계를 위해서, 그리고 아이를 위해서 그녀는 어쩔 수 없이 자신의 몸을 팔았다. 그녀는 창녀로, 많은 사람들에게 수치스러움을 당했지만, 오로지 그의 아이 때문에 참고 살았다. 사회는 이러한 사람들에게는 매우 잔혹했다. 어느날 밤, 경찰을 피해 몸을 숨긴 그녀는 하필 한 악질인 남자의 집에 들어가게 되었고, 그에게 강간당했다. 더 불행인것은, 그 악질의 남자가 그녀의 집을 찾아내었고, 그녀와 그녀의 사람들이 벌어온 돈을 모두 챙겨갔다. 이에 그녀는 몇번이나 도주를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몇년 후, 아들이 성장하였고 그녀는 이 아이가 돈 때문에 학교에 못가 교육의 기회를 잃을까 계속해서 몸을 팔아 돈을 벌어 아이를 교육시켰다. 그녀가 받는 돈은 매우 제한되어 있었지만, 건달 몰래 돈을 담장의 은밀한 곳에 숨기고 사용하였다. 반면, 학교에서는 일부 학부모들이 그녀 아이의 출신을 알게 되었고, 본인들의 아이들과 같이 공부시킬 수 없다며 학교에 퇴학조치를 건의하였다. 이에 교장은 할 수 없이 아이의 집에 방문해 이를 조사하였다. 그 여인은 교장과 학부모들의 의견에 반박하였고, 이를 가엽게 본 교장은 결국 아이를 계속해서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그러나 학교이사회에서 이 아이가 학교에 남아 공부하는 것을 거부하였으며, 교장은 최대한 힘을 써보았지만 역부적이였고, 결국 아이는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여인은 아이가 계속 공부를 할 수 있도록 그 지역을 벗어나려했으나, 본인이 숨긴 돈을 찾아보니 이미 건달이 모두 훔쳐간 후였다. 화가 난 그녀는 병으로 건달을 쳤으며 건달은 바로 사망했다. 그녀는 살인죄로 12년의 징역을 선고받으며 옥생활을 하게 되었다...<ref>http://baike.baidu.com/link?url=IYUTNJihprDRigUEziELmbJWUmqNtcNaw3dqxR9p9oNy32SRFeNwjkZiismOABosE6yZBtXVQvsZ5OxRSh4EQa8lhfkjX7roqinGjOiunxW</ref> | ||
− | + | ===영화 평가=== | |
+ | 중국어 번역: 영화 <신녀>는 중국의 독보적 영화 중 하나로써 국내외의 영화평론가로부터 크게 호평 받았다. 이 영화는 우용강의 작품으로, 당시 그의 나이는 27세였다. 그가 생활 속에서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그의 다년간의 영화미술 작업 경험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이는 걸출한 예술적 성취를 얻어냈다. 영화의 소박함, 우아함, 평이함이 집약되면서 시각적, 조형적 그리고 세부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었다. 환경과 구조적 설계로써 이를 엿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서 영화에서 두 벌의 치파오가 묘사된 것; 창녀가 손님을 맞을 때 양발로 길에서 걷던 장면 등 모두 심도있는 예술적 경지를 나타냈다. 완령옥은 그녀의 능숙한 연기를 발휘함으로써, 인물묘사를 휼륭하게 해내었으며, 특히 어머니의 정신과 부녀의 불행한 모습을 잘 통일시켜 이 영화의 주인공 창녀, 즉 '신녀'를 정확하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형상적 설계의 성공으로, 이 영화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을 수 있었다.<ref>http://www.baike.com/wiki/%E3%80%8A%E7%A5%9E%E5%A5%B3%E3%80%8B</ref> | ||
+ | ===예술특색=== | ||
+ | [[파일:영화 줄거리 中.jpg|200픽셀|섬네일|왼쪽|영화 신녀 中]] | ||
+ | 중국어 번역: 영화 <신녀>의 예술적 특색은 바로 간결함이다. 극본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극에는 '신녀', '불량배', '아이', 교장' 4명만이 주요 인물이며, 스토리는 '신녀'의 이중적 생활, 이중적 성격과 비극운명의 전개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이외의 다른 부가적 내용은 없다. 화면의 구성 역시 간단한데, 거의 모든 장면은 사실적, 자연적이며 또 풍부한 내용으로 간결함과 풍부함이 결합되어있다. 예를 들어 '신녀'와 아이가 같이 밥을 먹고 공부를 하는 장면에 있어, 모자(母子) 뒤편의 오래된 옷가지, 낡은 벽들을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빈곤한 생활을 나타낸 동시에 그들의 행복함 역시 나타내었다. 또한 촬영의 몽타주의 표현에 있어 조명도, 각도 등의 알맞는 조합으로 인물의 동작과 심리상태를 매우 정확하게 표현하였다. 또한 강한 색채와 몽타주의 구성 효과를 추구하지 않은 것 역시 이 영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간결함과 수수함이 본 영화의 특색이며, 진심함으로 적게 꾸몄지만 그 의미는 잃지 않은 이 특색을 잘 살려 본 영화의 '미'를 장식하였다.<ref>http://www.baike.com/wiki/%E3%80%8A%E7%A5%9E%E5%A5%B3%E3%80%8B</ref> | ||
− | == | + | ==영화 <신녀>의 의의== |
− | + | ===영화 예술적 의의=== | |
− | + | 중국어 번역: 영화 <신녀>는 주제, 줄거리, 인물의 심리와 동작 그리고 예술의 표현 방면에 있어 중국의 전통문화의 편안함, 고요함, 담백함으로 심미적 느낌을 나타내었고, 이는 애잔함의 예술성을 형성하게 하였다. 영화 <신녀>는 중국 무성영화의 사상적 예술의 성취와, 중화민족의 심미적 추구를 나타낸 것에 있어 큰 의의가 있으며, 각종 예술의 성과와 새로운 시도로 중국 영화 예술 역사상의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다.<ref>http://www.0101905.com/biandaogaokaojiexi/2012-04-06/269.html</ref> | |
− | == | + | ===사회적 의의=== |
− | + | 중국어 번역: 영화 <신녀>는 창녀의 생활을 묘사한 것으로써 이 당시 이미 중국 예술가들 사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던 주제이다. 그러나 감독 우용강은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이 주제를 다루었다. 그난 한 창녀의 생활만을 나타내지 않았고, 하나의 사건으로 창녀의 품격과 성격 등을 나타내지도 않았다. 오히려 일부 신분이 높은 인물들을 통해서 그들을 창녀의 생활과 성격에 영향을 주게하여 '창녀의 생활'인 이 영화의 주제를 살렸다.<ref>新闻荟萃:《神女》:默片的现实主义佳作 </ref> 이를 통해 당시 중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적나라하게 나타냈으며, 사회의 신분적, 구조적인 요인과 '창녀'와 같은 저층민들의 어려움을 연결시키면서 당시 사람들에게 사회를 비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
− | == | + | ==중국 영화 제2세대== |
− | + | 제2세대(1931~1949) | |
− | + | 중국의 제2세대 영화는 1931년 청부가오(程步高)와 장스촨이 공동 제작한 중국 최초의 유성영화 『여가수 홍무단(歌女紅牧丹)』의 출현을 시초로 꼽을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유성영화의 등장이 처음에는 오히려 중국의 영화산업을 궁지로 몰아넣었다는 점이다. 초기의 유성영화 작품이 흥행에서 실패를 거듭한 까닭은 당시 진부했던 영화 제작기술에도 문제가 있었지만, 중국 각지방의 수많은 방언 때문에 관객들에게 내용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 |
− | + | 그리하여 실질적인 유성영화의 시대는 좀 더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 했다. 그럼에도 영화 기술의 발전과 시대 상황의 변화는 1930년대 상하이를 중심으로 중국의 영화산업을 빠르게 변모시켰다. 자생적으로 구축된 영화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할리우드를 답습한 멜로드라마와 코미디에서 뮤지컬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화가 제작되어 양적으로나 영상예술의 측면에서도 높은 역량을 과시하며 중국 영화의 황금기를 열었다. | |
− | |||
− | |||
− | |||
− | + | 한편, 이 시기에는 오락적인 상업영화 외에도 당시의 현실을 반영한 사회성 짙은 영화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의식 있는 감독들은 국내 정치적 혼란과 일본의 침략으로 인한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영화를 통해 일반 대중을 각성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감독으로 청부가오, 선시링(沈西苓), 차이추성(蔡楚生), 스둥산(史东山), 페이무(费穆), 쑨위(孙瑜), 위안무즈(袁牧之), 정쥔리(郑君里), [[우용강]](吴永刚) 등을 들 수 있다. | |
− | |||
− | ( | ||
− | + | 이들은 주로 3, 40년대부터 영화를 찍기 시작하여 이후에도 작품 활동을 계속하였다. 차이추성 감독, 왕런메이(王人美) 주연의 『어부의 노래(漁光曲)』(1934)와 위안무즈 감독, 저우쉔(周璇)주연의 『거리의 천사(馬路天使)』(1936)나 롼링위(阮玲玉, 1910~1935) 주연의 『세 명의 신여성(三個摩登女性)』(1933), 『[[신녀]](神女)』(1934) 등은 걸출한 배우와 감독의 역량 그리고 작품성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 |
− | + | ||
+ | 이 시기 '영화 황제'라 불리며 최고의 인기를 구가한 배우 김염(金焰, 1910~1983)은 한국에서 출생했다.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를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 영화에 입문하게 된다. 1929년 상하이에서 쑨위 감독에 의해 발탁되어 무성영화 『들꽃(野草閒花)』(1930)에서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여배우 뢴링위와 함께 주연으로 기용되면서 스타의 길을 걷게된다. 이후 중국 영화사에서 항일영화의 고전으로 꼽히는 『대로(大路)』(1934)에서 열연하며 자신의 입지를 굳혔다. 녜얼(聶耳)이 작곡한 영화 주제가 『위대한 길의 노래(大路歌)』는 민중가요로서 널리 애창되었다. | ||
+ | |||
+ |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영화산업은 급격히 위축되었다. 영화사들은 문을 닫거나 아니면 임시 수도였던 충칭(重慶) 등지로 거처를 옮겼다. 충칭 시대의 영화는 선시링의 『중국의 아들 딸(中華兒女)』(1939), 스둥산의 『우리의 땅을 지키자(保衛我們的土地)』(1936), 잉윈웨이(應雲衛)의 『800인의 용사(八百壯士)』(1938)와 같이 애국심을 고취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었다. | ||
+ | |||
+ | 마침내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뿔뿔이 흩어졌던 영화인들은 상하이로 속속 모여들었다. 이어 국공내전으로 치닫는 과정에서도 스둥산의 『구름과 달 아래 팔천리(八千里路雲和月)』(1947), 차이추성의 『봄날 강물은 동쪽으로 흐르고(一江春水向東流)』(1947) 등 일제 침략기의 민족적 비극과 사회문제를 다룬 작품이 출현하였다.<ref>http://china.dsu.ac.kr/index.php?document_srl=47832&mid=sub040300</ref>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 | 동신대학교 중국어학과 | |
− | |||
− | |||
− | |||
− | |||
− | |||
− | |||
− | |||
− |
2016년 6월 24일 (금) 00:00 기준 최신판
목차
소개
소개
영화<신녀,The Goddess>
제작년도: 1934년
감독: 우용강
각본: 우용강
상영시간: 75분
제작사: 연화영업공사
- 1934년에 우용강[吳永剛] 감독이 각본까지 쓰고 연출한 첫 작품으로 흑백영화이다. 안정된 촬영과 연출을 선보였고 비극적 분위기를 강조하기 위해 조명에서 음영을 강조하는 등 세심하게 만들어진 비극적 멜로드라마이다. 1930년대 현실주의 비극영화들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당대를 풍미한 여배우 완령옥[阮玲玉]이 주인공을 맡았고 1930년대에도 여전히 무성영화를 옹호한 연화영업공사(聯華影業公司)의 작품으로 무성영화이다. 매매춘을 하는 한 여인의 불우한 운명을 통해 현실 생활의 어두운 면을 그려 중국 대중들을 감동시켰다. [1]
- <신녀>는 미술감독 출신인 우용강이 각본과 연출 모두를 소화해낸 데뷔작으로 현재의 평론가들뿐만 아니라 당시의 평가단에게도 호평을 받은 중국 최고의 무성영화로 평가된다. <작은 마을의 봄>의 페이무 감독과 더불어 중국초기영화의 최고 감독으로 손꼽히는 우용강은 안정된 촬영과 연출을 선보이며 비극적 분위기를 강조하기 위해 조명에서 음영을 강조하는 등 세심하게 극을 이어나간다. 또한, <신녀>는 우리에게는 장만옥이 주연한 <완령옥>으로 알려진 30, 40년대 중국 최고의 여배우 완링위의 대표작으로 화려한 은막생활과는 달리 비운의 삶을 산 그녀는 <신녀>에서 자신의 연기생애 중 최고의 연기를 펼쳤다. 몸을 팔고 새벽녘 집으로 돌아와 아들을 보러 2층으로 향하는 그녀의 뒷모습은 당대 그 어떤 여배우도 흉내 낼 수 없는 연기였다. 완링위의 열연은 '신녀'를 '여신'으로 까지 승화시키는 기적을 만들어낸다. 좌익영화라 불리는 상하이 영화(올드 상하이)를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줄거리 요약
중국어 번역: 생활이 매우 고난한 한 여인에게는 오직 아들밖에 없었다. 생계를 위해서, 그리고 아이를 위해서 그녀는 어쩔 수 없이 자신의 몸을 팔았다. 그녀는 창녀로, 많은 사람들에게 수치스러움을 당했지만, 오로지 그의 아이 때문에 참고 살았다. 사회는 이러한 사람들에게는 매우 잔혹했다. 어느날 밤, 경찰을 피해 몸을 숨긴 그녀는 하필 한 악질인 남자의 집에 들어가게 되었고, 그에게 강간당했다. 더 불행인것은, 그 악질의 남자가 그녀의 집을 찾아내었고, 그녀와 그녀의 사람들이 벌어온 돈을 모두 챙겨갔다. 이에 그녀는 몇번이나 도주를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몇년 후, 아들이 성장하였고 그녀는 이 아이가 돈 때문에 학교에 못가 교육의 기회를 잃을까 계속해서 몸을 팔아 돈을 벌어 아이를 교육시켰다. 그녀가 받는 돈은 매우 제한되어 있었지만, 건달 몰래 돈을 담장의 은밀한 곳에 숨기고 사용하였다. 반면, 학교에서는 일부 학부모들이 그녀 아이의 출신을 알게 되었고, 본인들의 아이들과 같이 공부시킬 수 없다며 학교에 퇴학조치를 건의하였다. 이에 교장은 할 수 없이 아이의 집에 방문해 이를 조사하였다. 그 여인은 교장과 학부모들의 의견에 반박하였고, 이를 가엽게 본 교장은 결국 아이를 계속해서 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그러나 학교이사회에서 이 아이가 학교에 남아 공부하는 것을 거부하였으며, 교장은 최대한 힘을 써보았지만 역부적이였고, 결국 아이는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여인은 아이가 계속 공부를 할 수 있도록 그 지역을 벗어나려했으나, 본인이 숨긴 돈을 찾아보니 이미 건달이 모두 훔쳐간 후였다. 화가 난 그녀는 병으로 건달을 쳤으며 건달은 바로 사망했다. 그녀는 살인죄로 12년의 징역을 선고받으며 옥생활을 하게 되었다...[2]
영화 평가
중국어 번역: 영화 <신녀>는 중국의 독보적 영화 중 하나로써 국내외의 영화평론가로부터 크게 호평 받았다. 이 영화는 우용강의 작품으로, 당시 그의 나이는 27세였다. 그가 생활 속에서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그의 다년간의 영화미술 작업 경험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이는 걸출한 예술적 성취를 얻어냈다. 영화의 소박함, 우아함, 평이함이 집약되면서 시각적, 조형적 그리고 세부적인 역량을 발휘할 수 있었다. 환경과 구조적 설계로써 이를 엿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서 영화에서 두 벌의 치파오가 묘사된 것; 창녀가 손님을 맞을 때 양발로 길에서 걷던 장면 등 모두 심도있는 예술적 경지를 나타냈다. 완령옥은 그녀의 능숙한 연기를 발휘함으로써, 인물묘사를 휼륭하게 해내었으며, 특히 어머니의 정신과 부녀의 불행한 모습을 잘 통일시켜 이 영화의 주인공 창녀, 즉 '신녀'를 정확하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형상적 설계의 성공으로, 이 영화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을 수 있었다.[3]
예술특색
중국어 번역: 영화 <신녀>의 예술적 특색은 바로 간결함이다. 극본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 극에는 '신녀', '불량배', '아이', 교장' 4명만이 주요 인물이며, 스토리는 '신녀'의 이중적 생활, 이중적 성격과 비극운명의 전개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이외의 다른 부가적 내용은 없다. 화면의 구성 역시 간단한데, 거의 모든 장면은 사실적, 자연적이며 또 풍부한 내용으로 간결함과 풍부함이 결합되어있다. 예를 들어 '신녀'와 아이가 같이 밥을 먹고 공부를 하는 장면에 있어, 모자(母子) 뒤편의 오래된 옷가지, 낡은 벽들을 보여줌으로써 그들의 빈곤한 생활을 나타낸 동시에 그들의 행복함 역시 나타내었다. 또한 촬영의 몽타주의 표현에 있어 조명도, 각도 등의 알맞는 조합으로 인물의 동작과 심리상태를 매우 정확하게 표현하였다. 또한 강한 색채와 몽타주의 구성 효과를 추구하지 않은 것 역시 이 영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간결함과 수수함이 본 영화의 특색이며, 진심함으로 적게 꾸몄지만 그 의미는 잃지 않은 이 특색을 잘 살려 본 영화의 '미'를 장식하였다.[4]
영화 <신녀>의 의의
영화 예술적 의의
중국어 번역: 영화 <신녀>는 주제, 줄거리, 인물의 심리와 동작 그리고 예술의 표현 방면에 있어 중국의 전통문화의 편안함, 고요함, 담백함으로 심미적 느낌을 나타내었고, 이는 애잔함의 예술성을 형성하게 하였다. 영화 <신녀>는 중국 무성영화의 사상적 예술의 성취와, 중화민족의 심미적 추구를 나타낸 것에 있어 큰 의의가 있으며, 각종 예술의 성과와 새로운 시도로 중국 영화 예술 역사상의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다.[5]
사회적 의의
중국어 번역: 영화 <신녀>는 창녀의 생활을 묘사한 것으로써 이 당시 이미 중국 예술가들 사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던 주제이다. 그러나 감독 우용강은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이 주제를 다루었다. 그난 한 창녀의 생활만을 나타내지 않았고, 하나의 사건으로 창녀의 품격과 성격 등을 나타내지도 않았다. 오히려 일부 신분이 높은 인물들을 통해서 그들을 창녀의 생활과 성격에 영향을 주게하여 '창녀의 생활'인 이 영화의 주제를 살렸다.[6] 이를 통해 당시 중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적나라하게 나타냈으며, 사회의 신분적, 구조적인 요인과 '창녀'와 같은 저층민들의 어려움을 연결시키면서 당시 사람들에게 사회를 비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중국 영화 제2세대
제2세대(1931~1949) 중국의 제2세대 영화는 1931년 청부가오(程步高)와 장스촨이 공동 제작한 중국 최초의 유성영화 『여가수 홍무단(歌女紅牧丹)』의 출현을 시초로 꼽을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유성영화의 등장이 처음에는 오히려 중국의 영화산업을 궁지로 몰아넣었다는 점이다. 초기의 유성영화 작품이 흥행에서 실패를 거듭한 까닭은 당시 진부했던 영화 제작기술에도 문제가 있었지만, 중국 각지방의 수많은 방언 때문에 관객들에게 내용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실질적인 유성영화의 시대는 좀 더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 했다. 그럼에도 영화 기술의 발전과 시대 상황의 변화는 1930년대 상하이를 중심으로 중국의 영화산업을 빠르게 변모시켰다. 자생적으로 구축된 영화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할리우드를 답습한 멜로드라마와 코미디에서 뮤지컬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화가 제작되어 양적으로나 영상예술의 측면에서도 높은 역량을 과시하며 중국 영화의 황금기를 열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오락적인 상업영화 외에도 당시의 현실을 반영한 사회성 짙은 영화들이 많이 제작되었다. 의식 있는 감독들은 국내 정치적 혼란과 일본의 침략으로 인한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영화를 통해 일반 대중을 각성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감독으로 청부가오, 선시링(沈西苓), 차이추성(蔡楚生), 스둥산(史东山), 페이무(费穆), 쑨위(孙瑜), 위안무즈(袁牧之), 정쥔리(郑君里), 우용강(吴永刚)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주로 3, 40년대부터 영화를 찍기 시작하여 이후에도 작품 활동을 계속하였다. 차이추성 감독, 왕런메이(王人美) 주연의 『어부의 노래(漁光曲)』(1934)와 위안무즈 감독, 저우쉔(周璇)주연의 『거리의 천사(馬路天使)』(1936)나 롼링위(阮玲玉, 1910~1935) 주연의 『세 명의 신여성(三個摩登女性)』(1933), 『신녀(神女)』(1934) 등은 걸출한 배우와 감독의 역량 그리고 작품성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 시기 '영화 황제'라 불리며 최고의 인기를 구가한 배우 김염(金焰, 1910~1983)은 한국에서 출생했다.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를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 영화에 입문하게 된다. 1929년 상하이에서 쑨위 감독에 의해 발탁되어 무성영화 『들꽃(野草閒花)』(1930)에서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여배우 뢴링위와 함께 주연으로 기용되면서 스타의 길을 걷게된다. 이후 중국 영화사에서 항일영화의 고전으로 꼽히는 『대로(大路)』(1934)에서 열연하며 자신의 입지를 굳혔다. 녜얼(聶耳)이 작곡한 영화 주제가 『위대한 길의 노래(大路歌)』는 민중가요로서 널리 애창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영화산업은 급격히 위축되었다. 영화사들은 문을 닫거나 아니면 임시 수도였던 충칭(重慶) 등지로 거처를 옮겼다. 충칭 시대의 영화는 선시링의 『중국의 아들 딸(中華兒女)』(1939), 스둥산의 『우리의 땅을 지키자(保衛我們的土地)』(1936), 잉윈웨이(應雲衛)의 『800인의 용사(八百壯士)』(1938)와 같이 애국심을 고취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었다.
마침내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뿔뿔이 흩어졌던 영화인들은 상하이로 속속 모여들었다. 이어 국공내전으로 치닫는 과정에서도 스둥산의 『구름과 달 아래 팔천리(八千里路雲和月)』(1947), 차이추성의 『봄날 강물은 동쪽으로 흐르고(一江春水向東流)』(1947) 등 일제 침략기의 민족적 비극과 사회문제를 다룬 작품이 출현하였다.[7]
참고자료
동신대학교 중국어학과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6410&cid=40942&categoryId=33098
- ↑ http://baike.baidu.com/link?url=IYUTNJihprDRigUEziELmbJWUmqNtcNaw3dqxR9p9oNy32SRFeNwjkZiismOABosE6yZBtXVQvsZ5OxRSh4EQa8lhfkjX7roqinGjOiunxW
- ↑ http://www.baike.com/wiki/%E3%80%8A%E7%A5%9E%E5%A5%B3%E3%80%8B
- ↑ http://www.baike.com/wiki/%E3%80%8A%E7%A5%9E%E5%A5%B3%E3%80%8B
- ↑ http://www.0101905.com/biandaogaokaojiexi/2012-04-06/269.html
- ↑ 新闻荟萃:《神女》:默片的现实主义佳作
- ↑ http://china.dsu.ac.kr/index.php?document_srl=47832&mid=sub04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