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麻"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금문의 경우 사람의 손이 식물에서 줄기를 뽑아내는 모양을 형상화하였다. 이 상형자가 전서체...)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파일:흩을 산.PNG|500픽셀|오른쪽]]
+
[[파일:삼 마.PNG|500픽셀|오른쪽]]
금문의 경우 사람의 손이 식물에서 줄기를 뽑아내는 모양을 형상화하였다. 이 상형자가 전서체로 가면 그 아래 고기를 나누는 모양이 더해져 그 의미를 공고히 한다. 금문에서 나오는 좌측 식물의 경우 삼과 같이 줄기가 긴 섬유 등을 일컫는 것이며, 전서체에 나오는 月자는 고기, 혹은 신체의 일부를 뜻하고 있다. 제사를 지낸 이후에 고기를 분배하는 모습을 뜻한다고 한다. <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ref>  
+
처마 아래에 삼 종류의 섬유를 뽑아내는 줄기 식물을 널어 둔 모습을 형상화한 상형자이다. 삼줄기 껍질을 양손으로 분리해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식물의 줄기를 하나하나 분리해 섬유를 뽑아내는 행위에 따라 다른 여러 한자가 파생되었다. 삼줄기 껍질 빈(朩)의 경우 손으로 떼어내는 각각의 줄기껍질을 표현한 것이고, 베옷을 만드는 행위마다 부수가 추가되어 의미가 부여된 한자가 만들어졌다.   
 
==文化==
 
==文化==
<한자수>에 따르면 주사색의 종류는 이런 식으로 암석에서 홍색염료를 추출한 것 같다고 한다. 이런 홍색염료를 통해 옷감 위에 염색하여 간편히 붉은 옷을 만들 있었다.  
+
고대인은 베옷을 만들기 전에 베를 수확하고, 껍질을 벗기고, 나누고, 실을 뽑고, 염색 후 짓는 절차를 거쳐야만 했다. 삼나무 껍질 빈(朩)으로 유래된 파생자를 아는 것은 고대인의 베를 다루는 문화를 편리하게 살펴볼 있는 일이다. <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6년 12월 23일 (금) 20:25 판

語源

삼 마.PNG

처마 아래에 삼 종류의 섬유를 뽑아내는 줄기 식물을 널어 둔 모습을 형상화한 상형자이다. 삼줄기 껍질을 양손으로 분리해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이 식물의 줄기를 하나하나 분리해 섬유를 뽑아내는 행위에 따라 다른 여러 한자가 파생되었다. 삼줄기 껍질 빈(朩)의 경우 손으로 떼어내는 각각의 줄기껍질을 표현한 것이고, 베옷을 만드는 행위마다 부수가 추가되어 의미가 부여된 한자가 만들어졌다.

文化

고대인은 베옷을 만들기 전에 베를 수확하고, 껍질을 벗기고, 나누고, 실을 뽑고, 염색 후 짓는 절차를 거쳐야만 했다. 삼나무 껍질 빈(朩)으로 유래된 파생자를 아는 것은 고대인의 베를 다루는 문화를 편리하게 살펴볼 수 있는 일이다. [1]

  1. 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