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筆"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ichujiezh (토론 | 기여)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죽(竹)이 의미를, 율(聿)이 소리를 나타낸다. 필기구인 붓을 나타낸다. 이 붓(筆)은 대나무로 만들...) |
Lichujiezh (토론 | 기여) (→語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붓필.png|500픽셀|오른쪽]] | [[파일:붓필.png|500픽셀|오른쪽]] | ||
− | 죽(竹)이 의미를, 율(聿)이 소리를 나타낸다. 필기구인 붓을 나타낸다. 이 붓(筆)은 대나무로 만들어진 붓대를 가진 필기구이다. 원래는 손으로 붓을 쥔 | + | 죽(竹)이 의미를, 율(聿)이 소리를 나타낸다. 필기구인 붓을 나타낸다. 이 붓(筆)은 대나무로 만들어진 붓대를 가진 필기구이다. 원래는 손으로 붓을 쥔 모습인 율(聿)을 사용하여 붓을 나타냈는데, 나중에 죽(竹)을 더해 筆이 되었다. 간화자에서서는 笔라고 표기한다. 붓을 뜻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필기구와 문구의 통칭이 되었으며, 붓으로 글을 쓴다는 의미에서 기술하다, 서사하다 등의 뜻이 파생되었다.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ref> |
− | + | ||
==文化== | ==文化== | ||
전통적으로 중국인들은 글을 쓸 때, 끝이 뾰족하고 부드러운 붓을 사용했다. 갑골문에도 붓과 관련된 글자들이 보이는데, 상나라 사람들도 붓을 보편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기구로 붓을 사용한 것은 한자의 형태나 구성, 그리고 쓰는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 붓을 사용할 때는 자획의 두께나 짜임새를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숙련된 서예인들만이 자유롭게 다양한 서체를 만들어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예술성을 평가받기도 하였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 영남대 중국문학연구실 역, ㈜지식산업사, 1969, p.20.</ref> | 전통적으로 중국인들은 글을 쓸 때, 끝이 뾰족하고 부드러운 붓을 사용했다. 갑골문에도 붓과 관련된 글자들이 보이는데, 상나라 사람들도 붓을 보편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기구로 붓을 사용한 것은 한자의 형태나 구성, 그리고 쓰는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 붓을 사용할 때는 자획의 두께나 짜임새를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숙련된 서예인들만이 자유롭게 다양한 서체를 만들어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예술성을 평가받기도 하였다.<ref>허진웅, 『중국고대사회』, 영남대 중국문학연구실 역, ㈜지식산업사, 1969, p.20.</ref> |
2016년 12월 25일 (일) 20:32 판
語源
죽(竹)이 의미를, 율(聿)이 소리를 나타낸다. 필기구인 붓을 나타낸다. 이 붓(筆)은 대나무로 만들어진 붓대를 가진 필기구이다. 원래는 손으로 붓을 쥔 모습인 율(聿)을 사용하여 붓을 나타냈는데, 나중에 죽(竹)을 더해 筆이 되었다. 간화자에서서는 笔라고 표기한다. 붓을 뜻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필기구와 문구의 통칭이 되었으며, 붓으로 글을 쓴다는 의미에서 기술하다, 서사하다 등의 뜻이 파생되었다. [1]
文化
전통적으로 중국인들은 글을 쓸 때, 끝이 뾰족하고 부드러운 붓을 사용했다. 갑골문에도 붓과 관련된 글자들이 보이는데, 상나라 사람들도 붓을 보편적으로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기구로 붓을 사용한 것은 한자의 형태나 구성, 그리고 쓰는 방향에 영향을 미쳤다. 붓을 사용할 때는 자획의 두께나 짜임새를 조절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숙련된 서예인들만이 자유롭게 다양한 서체를 만들어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예술성을 평가받기도 하였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