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Lichujiezh (토론 | 기여) |
Lichujiezh (토론 | 기여) (→語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웃을소.png|500픽셀|오른쪽]] | [[파일:웃을소.png|500픽셀|오른쪽]] | ||
− | 竹이 의미부, 夭가 소리부이다. 관악기(竹)으로 연주되는 곡을 듣고 몸을 구부려 웃는 것(夭)을 의미한다. 배를 잡고 몸을 구부려가며 웃고 있는 사람을 표현 것이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 + | 竹이 의미부, 夭가 소리부이다. 관악기(竹)으로 연주되는 곡을 듣고 몸을 구부려 웃는 것(夭)을 의미한다. 배를 잡고 몸을 구부려가며 웃고 있는 사람을 표현 것이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ref> |
− | + | ||
==文化== | ==文化== | ||
웃을 소(笑)에 관한 해석은 중국에서도 오래 전부터 의견이 분분하다. 당대의 이양빙(李陽冰)은 바람에 불어와 대나무가 휘어지는 모습이 배를 잡고 웃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설하였다. 또 청대의 문학자 주준성(朱駿聲)은 竹은 대나무로 만든 악기라고 해석하였다. <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ref> | 웃을 소(笑)에 관한 해석은 중국에서도 오래 전부터 의견이 분분하다. 당대의 이양빙(李陽冰)은 바람에 불어와 대나무가 휘어지는 모습이 배를 잡고 웃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설하였다. 또 청대의 문학자 주준성(朱駿聲)은 竹은 대나무로 만든 악기라고 해석하였다. <ref>廖文豪, 『汉字树 3』, 吉西平, 2015 </ref>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