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文化)
4번째 줄: 4번째 줄:
  
 
==文化==
 
==文化==
狄은 고대에 사냥을 생계를 유지하던 북방민족이며 상과 주 시대에는 귀방, 융적, 견적이라 불렸다. 한나라 시대에는 흉노라 불리기도 하였다. <br>[[한서]]/[[흉노전]]에서는 이 북방민족을 표현하기를 "贪而好利,被发左衽,……辟居北垂寒露之野,逐草随畜,射猎为生。”(탐욕적이고 욕심이 많으며 산발을 하고 옷깃을 왼쪽으로 하며......북쪽 변방에 추운바람이 부는 평야에 살며 풀 자라나는 곳을 따라가며 짐승을 거느리고 활을 이용한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한다.)라고 하였다.<br><br>고대에는 사냥개를 전견(田犬)이라고 불렀다. 전견을 이용한 사냥 방법에는 화전이 있다. 화전(火田)은 화공을 통해 동물을 사냥하는 방식으로 도망갈 수 있는 입구를 하나 남겨두고 불로 사냥감의 서식지를 전면을 둘러싸고 입구에 매복해서 사냥개로 사냥감을 포획하는 것이다. 한자 중에서 狄오랑캐 적과 狩사냥할 수는 이런 사냥 풍습을 엿볼 수 있다. <br> 화전에 관한 문화는 다양한 서적에 그 기록이 남겨져 있다. <br>[[예기]]에서는 “昆虫未挚,不以火田”(곤충이 잠들지 않으면, 화전을 해서는 안 된다.)라고 했고, <br>[[노자]]에서는 “不凅泽而渔,不焚林而猎"(강을 말리지 않고 물고기를 잡고, 숲을 태우지 않고 사냥을 해라)라고 하였으며, <br>[[이아]]에서는 "火田为狩"(화전이란 사냥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
狄은 고대에 사냥을 생계를 유지하던 북방민족이며 상과 주 시대에는 귀방, 융적, 견적이라 불렸다. 한나라 시대에는 흉노라 불리기도 하였다. <br>[[한서]]/[[흉노전]]에서는 이 북방민족을 표현하기를 "贪而好利,被发左衽,……辟居北垂寒露之野,逐草随畜,射猎为生。”(탐욕적이고 욕심이 많으며 산발을 하고 옷깃을 왼쪽으로 하며......북쪽 변방에 추운바람이 부는 평야에 살며 풀 자라나는 곳을 따라가며 짐승을 거느리고 활을 이용한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한다.)라고 하였다.<br><br>고대에는 사냥개를 전견(田犬)이라고 불렀다. 전견을 이용한 사냥 방법에는 화전이 있다. 화전(火田)은 화공을 통해 동물을 사냥하는 방식으로 도망갈 수 있는 입구를 하나 남겨두고 불로 사냥감의 서식지를 전면을 둘러싸고 입구에 매복해서 사냥개로 사냥감을 포획하는 것이다. 한자 중에서 狄오랑캐 적과 狩사냥할 수는 이런 사냥 풍습을 엿볼 수 있다. <br> 화전에 관한 문화는 다양한 서적에 그 기록이 남겨져 있다. <br><<[[예기]]>>에서는 “昆虫未挚,不以火田”(곤충이 잠들지 않으면, 화전을 해서는 안 된다.)라고 했고, <br><<[[노자]]>>에서는 “不凅泽而渔,不焚林而猎"(강을 말리지 않고 물고기를 잡고, 숲을 태우지 않고 사냥을 해라)라고 하였으며, <br><<[[이아]]>>에서는 "火田为狩"(화전이란 사냥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7년 12월 22일 (금) 12:54 판

오랑캐 적.PNG

語源

형성. 금문에서 犬과 大로 구성되었으나, 이후 大가 火로 바뀌어 지금처럼 되었다. 원래는 적적(赤狄)이라는 큰 개를 말했으나, 이후 개를 키우며 사는 북방 이민족을 지칭했으며, 또 빠른 속도로 오고 감을 말하기도 했다. [1] 또 다른 자료에서는 狄을 “화”공(불을 이용한 공격) 및 사냥개(田犬)를 통해 사냥하는 것에 뛰어난 민족이라고 풀이한다.

文化

狄은 고대에 사냥을 생계를 유지하던 북방민족이며 상과 주 시대에는 귀방, 융적, 견적이라 불렸다. 한나라 시대에는 흉노라 불리기도 하였다.
한서/흉노전에서는 이 북방민족을 표현하기를 "贪而好利,被发左衽,……辟居北垂寒露之野,逐草随畜,射猎为生。”(탐욕적이고 욕심이 많으며 산발을 하고 옷깃을 왼쪽으로 하며......북쪽 변방에 추운바람이 부는 평야에 살며 풀 자라나는 곳을 따라가며 짐승을 거느리고 활을 이용한 사냥으로 생계를 유지한다.)라고 하였다.

고대에는 사냥개를 전견(田犬)이라고 불렀다. 전견을 이용한 사냥 방법에는 화전이 있다. 화전(火田)은 화공을 통해 동물을 사냥하는 방식으로 도망갈 수 있는 입구를 하나 남겨두고 불로 사냥감의 서식지를 전면을 둘러싸고 입구에 매복해서 사냥개로 사냥감을 포획하는 것이다. 한자 중에서 狄오랑캐 적과 狩사냥할 수는 이런 사냥 풍습을 엿볼 수 있다.
화전에 관한 문화는 다양한 서적에 그 기록이 남겨져 있다.
<<예기>>에서는 “昆虫未挚,不以火田”(곤충이 잠들지 않으면, 화전을 해서는 안 된다.)라고 했고,
<<노자>>에서는 “不凅泽而渔,不焚林而猎"(강을 말리지 않고 물고기를 잡고, 숲을 태우지 않고 사냥을 해라)라고 하였으며,
<<이아>>에서는 "火田为狩"(화전이란 사냥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1.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