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飛"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날 비.png|500픽셀|오른쪽]] | [[파일:날 비.png|500픽셀|오른쪽]] | ||
− | 소전의 飛자는, 새가 날개를 펴고 공중으로 비상하는 모양과 같다. 飛자의 본래 뜻은 비상(飛翔)이다. 말의 의미가 확대되어, 하늘에서 날리는 모든 것을 모두 '飛'라 부르게 됐다. 예를 들어 민망초(飛蓬), 흩날리는 눈(飛雪)등이다. 飛자는 또 빠른 속도, 촉박함이란 뜻을 나타내는 데 쓸 수도 있다. 나아가 飛閣(비각)에서처럼 날아오를 듯 ‘높게’ 지어진 건물을, 飛報(비보)처럼 날아갈 듯 ‘빠른’ 모습을 뜻하기도 했다. | + | 소전의 飛자는, 새가 날개를 펴고 공중으로 비상하는 모양과 같다. 飛자의 본래 뜻은 비상(飛翔)이다. 말의 의미가 확대되어, 하늘에서 날리는 모든 것을 모두 '飛'라 부르게 됐다. 예를 들어 민망초(飛蓬), 흩날리는 눈(飛雪)등이다.<br /> |
+ | 飛자는 또 빠른 속도, 촉박함이란 뜻을 나타내는 데 쓸 수도 있다. 나아가 飛閣(비각)에서처럼 날아오를 듯 ‘높게’ 지어진 건물을, 飛報(비보)처럼 날아갈 듯 ‘빠른’ 모습을 뜻하기도 했다. | ||
− | + | ==文化== | |
+ | 설문해자에선 “飛는 새가 翥(날아오를 저)하는 것이다.”라고 해석했다. 중심선은 몸체를, 아래는 양쪽으로 펼쳐진 새의 깃을, 윗부분은 머리와 새털을 형상화해 하늘을 향해 세차게 날아오르는 새의 모습을 잘 그렸다고 해석했다. <br /> | ||
+ | |||
+ | 본래 飛자는 非자와 고대에 같은 문자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전체부터 非에 따로 날개 하나를 더 붙여 飛란 글자가 분화되기 시작했고, 예서에서 두 글자를 나눠서 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ref> 熊國英,《圖釋古漢字》, 齊魯書社, 59쪽</ref> | ||
+ | 그런데 여기서는 翅(날개 시)자를 쓰고 있다. 그러나 자형을 볼 때 날개라기보단 새의 꼬리 깃털로 추정된다. 참고로, 이후에 다룰 羽(깃 우)항목에서 羽로 불리는 깃털이란 것이 새의 어느 부위의 털인지는 명백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br /> | ||
− | + | 날개를 강조한 것에 집중해 공작새가 나는 것처럼 화려한 깃털들을 가진 새가 날아오르는 모습으로 의미를 표현했다는 해석도 있다.<ref> 김인종, 『상형의 원리로 배우는 그림한자』, 바다출판사, p.292</ref> | |
− | + | 또 飛廉(비렴)은 고대 중국에서 바람을 관장하던 신을 말했는데, 이것을 우리말 ‘바람’의 어원으로 보기도 한다. 飛가 세차게 위로 날아오르는 것을 말한다면, 翔(빙빙 돌아 날 상)은 날갯짓을 하여 이리저리 빙빙 도는 것을 말하는데, 소리부로 쓰인 羊을 한나라 때의 ‘석명’이라는 책에서는 사람이 이리저리 배회하다는 뜻의 佯(헤맬 양)과 같은 것으로 풀이했다. 또 蜚(바퀴 비)는 원래 곤충이 날아오르는 것을 말했지만, 종종 飛와 같이 쓰인다. 간화자에서는 날개 털이 하나만 남긴 ‘飞’로 쓴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ref> | |
− | + | '飛'의 전서는 '升(오르다)'의 위에 날개를 펄럭이며 날아 오르다는 것을 표현한다. “飛”는 한 쌍의 비상하는 날개와 두 개의 '升(오르다)'로 구성되는데, 모두 새가 날아오르는 상황을 묘사한 것이다.<ref> 廖文豪, 《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ref> | |
− | |||
− | |||
− | |||
− | |||
− | |||
− | + | ==관련 단어== | |
+ | :비양(飛揚) 공중에 흩날리다. 휘날리다. 또 정신적으로 고무됨, 의지가 드높음을 비유한다. | ||
+ | :비양발호(飛揚跋扈) 교만하고 방자함, 법도를 지키지 않음을 가리킨다. | ||
+ | :비단유장(飛短流長) 유언비어, 남의 흉을 봄, 헛소문을 내 다른 사람을 중상모략함을 가리킨다. | ||
− | === | + | ==주석== |
− | |||
−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17년 12월 27일 (수) 00:16 기준 최신판
語源
소전의 飛자는, 새가 날개를 펴고 공중으로 비상하는 모양과 같다. 飛자의 본래 뜻은 비상(飛翔)이다. 말의 의미가 확대되어, 하늘에서 날리는 모든 것을 모두 '飛'라 부르게 됐다. 예를 들어 민망초(飛蓬), 흩날리는 눈(飛雪)등이다.
飛자는 또 빠른 속도, 촉박함이란 뜻을 나타내는 데 쓸 수도 있다. 나아가 飛閣(비각)에서처럼 날아오를 듯 ‘높게’ 지어진 건물을, 飛報(비보)처럼 날아갈 듯 ‘빠른’ 모습을 뜻하기도 했다.
文化
설문해자에선 “飛는 새가 翥(날아오를 저)하는 것이다.”라고 해석했다. 중심선은 몸체를, 아래는 양쪽으로 펼쳐진 새의 깃을, 윗부분은 머리와 새털을 형상화해 하늘을 향해 세차게 날아오르는 새의 모습을 잘 그렸다고 해석했다.
본래 飛자는 非자와 고대에 같은 문자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전체부터 非에 따로 날개 하나를 더 붙여 飛란 글자가 분화되기 시작했고, 예서에서 두 글자를 나눠서 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1]
그런데 여기서는 翅(날개 시)자를 쓰고 있다. 그러나 자형을 볼 때 날개라기보단 새의 꼬리 깃털로 추정된다. 참고로, 이후에 다룰 羽(깃 우)항목에서 羽로 불리는 깃털이란 것이 새의 어느 부위의 털인지는 명백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날개를 강조한 것에 집중해 공작새가 나는 것처럼 화려한 깃털들을 가진 새가 날아오르는 모습으로 의미를 표현했다는 해석도 있다.[2]
또 飛廉(비렴)은 고대 중국에서 바람을 관장하던 신을 말했는데, 이것을 우리말 ‘바람’의 어원으로 보기도 한다. 飛가 세차게 위로 날아오르는 것을 말한다면, 翔(빙빙 돌아 날 상)은 날갯짓을 하여 이리저리 빙빙 도는 것을 말하는데, 소리부로 쓰인 羊을 한나라 때의 ‘석명’이라는 책에서는 사람이 이리저리 배회하다는 뜻의 佯(헤맬 양)과 같은 것으로 풀이했다. 또 蜚(바퀴 비)는 원래 곤충이 날아오르는 것을 말했지만, 종종 飛와 같이 쓰인다. 간화자에서는 날개 털이 하나만 남긴 ‘飞’로 쓴다.[3]
'飛'의 전서는 '升(오르다)'의 위에 날개를 펄럭이며 날아 오르다는 것을 표현한다. “飛”는 한 쌍의 비상하는 날개와 두 개의 '升(오르다)'로 구성되는데, 모두 새가 날아오르는 상황을 묘사한 것이다.[4]
관련 단어
- 비양(飛揚) 공중에 흩날리다. 휘날리다. 또 정신적으로 고무됨, 의지가 드높음을 비유한다.
- 비양발호(飛揚跋扈) 교만하고 방자함, 법도를 지키지 않음을 가리킨다.
- 비단유장(飛短流長) 유언비어, 남의 흉을 봄, 헛소문을 내 다른 사람을 중상모략함을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