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語源== 600픽셀|오른쪽 ==文化== ==주석==) |
(→語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파일:마구간 구(廐).png|600픽셀|오른쪽]] | [[파일:마구간 구(廐).png|600픽셀|오른쪽]] | ||
+ | '집 막 아래에서 손에 긴 막대기를 쥐고 식기 속 여물을 정리한다.'는 의미에서 지금의 '동물을 사육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생겼다. [[갑골문]]과 [[금문]]에 있는 皀(고소할 급)과 殳(몽둥이 수)는 각각 식기와 긴 막대기를 뜻하고, 소전에서 广(집 엄)을 더해 집에서 막대기로 동물을 사육하는 것을 표현했다. 글자 廐는 '소나 말이 모여 있음'을 말하기도 하고, 소나 말 키우는 것을 담당하던 관직 이름으로도 쓰였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85</ref> 관련 단어로는 마구간(馬廏間), 실우칠구(失牛治厩,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가 있다. | ||
==文化== | ==文化== | ||
==주석== | ==주석== |
2018년 12월 16일 (일) 02:52 판
語源
'집 막 아래에서 손에 긴 막대기를 쥐고 식기 속 여물을 정리한다.'는 의미에서 지금의 '동물을 사육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생겼다. 갑골문과 금문에 있는 皀(고소할 급)과 殳(몽둥이 수)는 각각 식기와 긴 막대기를 뜻하고, 소전에서 广(집 엄)을 더해 집에서 막대기로 동물을 사육하는 것을 표현했다. 글자 廐는 '소나 말이 모여 있음'을 말하기도 하고, 소나 말 키우는 것을 담당하던 관직 이름으로도 쓰였다.[1] 관련 단어로는 마구간(馬廏間), 실우칠구(失牛治厩,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가 있다.
文化
주석
-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