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보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천보다의 생애)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천보다(陳伯達: 1904~1989)는 중앙문혁소조의 일원이었다가 훗날 소조장까지 역임했으나 1970년 자아비판과 함께 숙청되었다. 천보다는 일찍이 1930년 후반에서 1940년 초 옌안 시절,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중국혁명의 결합으로서 마오쩌둥 사상’이라는 체계를 정식화해내고 이를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라는 당내 공식노선으로 정립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냈고, 옌안 정풍운동을 통해 당내 마오의 이론/이데올로기적 위치를 견고하게 만든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천보다는 하나의 확고한 기준에 따라 문화대혁명을 이끌었는데, 이것이 바로 '파리코뮨 원칙' 이다.그는 또한 『마오쩌뚱 선집』의 편집자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의 골간인 인민정치협상회의 공동강령과 헌법안을 작성한 인물이고, 문화대혁명 시기에 오면 문혁의 핵심 강령이라 할 수 있는 <문혁 16조>의 초안 또한 그의 작품이었다. | 천보다(陳伯達: 1904~1989)는 중앙문혁소조의 일원이었다가 훗날 소조장까지 역임했으나 1970년 자아비판과 함께 숙청되었다. 천보다는 일찍이 1930년 후반에서 1940년 초 옌안 시절,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중국혁명의 결합으로서 마오쩌둥 사상’이라는 체계를 정식화해내고 이를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라는 당내 공식노선으로 정립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냈고, 옌안 정풍운동을 통해 당내 마오의 이론/이데올로기적 위치를 견고하게 만든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천보다는 하나의 확고한 기준에 따라 문화대혁명을 이끌었는데, 이것이 바로 '파리코뮨 원칙' 이다.그는 또한 『마오쩌뚱 선집』의 편집자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의 골간인 인민정치협상회의 공동강령과 헌법안을 작성한 인물이고, 문화대혁명 시기에 오면 문혁의 핵심 강령이라 할 수 있는 <문혁 16조>의 초안 또한 그의 작품이었다. | ||
== 천보다의 생애 == | == 천보다의 생애 == | ||
− | + | 천보다는 1904년 7월 29일 푸젠성 후이안 현에서 태어났다. 15세에 지메이 사범학교에 입학하였으나 학업을 다 마치지 못하고 17세에 고향에 돌아와 초등학교 교사일을 하였다. 1925년 '5.30 운동' 에 참여하였고, 1926년 광저우 중산대학에서 잠시 수학하였다. 같은 해에 '북벌'에 가담하여 푸젠성 지역의 '개혁적' 군벌인 장전의 휘하에 소속되었으며, 장전의 부대는 국민혁명군 제 1군 독립 제 4사단으로 편제되었고, 여기서 사단부 비서를 맡았다. 푸젠성의 반공테러가 심해짐에 따라 1927년 상하이로 피신하였다. 이 때 본격적으로 중국공산당에 입당하게 되었다. 당이 소련의 중산대학으로 파견하였고, 1927~1930년동안 이곳에서 수학했다. 이 시기에 '스파르타쿠스' 영화를 보고 감동하여, '파다'라는 필명을 지었다가 좀더 중국 이름에 가까운 필명인 보다로 바꾸었고, 이는 훗날 자신의 이름이 되었다. | |
1937년 당의 지시로 옌안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국민당 지역에서 지하 활동을 하던 시기에, 심한 푸젠 사투리 때문에 대중사업보다는 선전,이론 사업에 주로 참여하였다. 옌안에서는 산베이 공학 및 중앙당교의 교원과 마르크스-레닌주의 학원 부원장을 맡아 중국 고대 철학사 등을 강의하였다. 이 시기에 마오쩌둥을 만나 교류하면서 마오의 정치,이데올로기 비서를 맡게 되었다. 이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마오쩌둥과의 공동의 이론작업에 몰두하게 된다. 1945년 중국공산당 7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고,, 7기 2중전회에서는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56년 8차 당대회에서는 중앙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중공중앙 선전부 부부장, 중국과학원 부원장, 당기관지 '홍기' 총편집인을 역임했고, 당내 최고 이론가로 '노 선생님' 으로 지칭되기도 했다. | 1937년 당의 지시로 옌안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국민당 지역에서 지하 활동을 하던 시기에, 심한 푸젠 사투리 때문에 대중사업보다는 선전,이론 사업에 주로 참여하였다. 옌안에서는 산베이 공학 및 중앙당교의 교원과 마르크스-레닌주의 학원 부원장을 맡아 중국 고대 철학사 등을 강의하였다. 이 시기에 마오쩌둥을 만나 교류하면서 마오의 정치,이데올로기 비서를 맡게 되었다. 이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마오쩌둥과의 공동의 이론작업에 몰두하게 된다. 1945년 중국공산당 7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고,, 7기 2중전회에서는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56년 8차 당대회에서는 중앙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중공중앙 선전부 부부장, 중국과학원 부원장, 당기관지 '홍기' 총편집인을 역임했고, 당내 최고 이론가로 '노 선생님' 으로 지칭되기도 했다. | ||
1966년 5월, 문화대혁명 개시와 더불어 중앙문혁소조 소조장을 맡았으며, 1966년 8월 8기 11중전회에서는 당서열 5위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 1969년 4월 개최된 9차 당대회의 정치보고 초안 작성을 두고 장춘차오와 대립하였다. 1970년 8월 말~9월 초 루산에서 열린 9기 2중전회에서 린뱌오와 동맹을 맺어 '천재론'과 '국가주석 지위 부활' 등을 주장하면서 장춘차오 등의 '상하이방'을 공격하다가 마오쩌둥의 비판을 받아 실각하고, 가택연금 당했다. | 1966년 5월, 문화대혁명 개시와 더불어 중앙문혁소조 소조장을 맡았으며, 1966년 8월 8기 11중전회에서는 당서열 5위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 1969년 4월 개최된 9차 당대회의 정치보고 초안 작성을 두고 장춘차오와 대립하였다. 1970년 8월 말~9월 초 루산에서 열린 9기 2중전회에서 린뱌오와 동맹을 맺어 '천재론'과 '국가주석 지위 부활' 등을 주장하면서 장춘차오 등의 '상하이방'을 공격하다가 마오쩌둥의 비판을 받아 실각하고, 가택연금 당했다. |
2019년 6월 6일 (목) 10:03 판
천보다(陳伯達: 1904~1989)는 중앙문혁소조의 일원이었다가 훗날 소조장까지 역임했으나 1970년 자아비판과 함께 숙청되었다. 천보다는 일찍이 1930년 후반에서 1940년 초 옌안 시절,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중국혁명의 결합으로서 마오쩌둥 사상’이라는 체계를 정식화해내고 이를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라는 당내 공식노선으로 정립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냈고, 옌안 정풍운동을 통해 당내 마오의 이론/이데올로기적 위치를 견고하게 만든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천보다는 하나의 확고한 기준에 따라 문화대혁명을 이끌었는데, 이것이 바로 '파리코뮨 원칙' 이다.그는 또한 『마오쩌뚱 선집』의 편집자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의 골간인 인민정치협상회의 공동강령과 헌법안을 작성한 인물이고, 문화대혁명 시기에 오면 문혁의 핵심 강령이라 할 수 있는 <문혁 16조>의 초안 또한 그의 작품이었다.
천보다의 생애
천보다는 1904년 7월 29일 푸젠성 후이안 현에서 태어났다. 15세에 지메이 사범학교에 입학하였으나 학업을 다 마치지 못하고 17세에 고향에 돌아와 초등학교 교사일을 하였다. 1925년 '5.30 운동' 에 참여하였고, 1926년 광저우 중산대학에서 잠시 수학하였다. 같은 해에 '북벌'에 가담하여 푸젠성 지역의 '개혁적' 군벌인 장전의 휘하에 소속되었으며, 장전의 부대는 국민혁명군 제 1군 독립 제 4사단으로 편제되었고, 여기서 사단부 비서를 맡았다. 푸젠성의 반공테러가 심해짐에 따라 1927년 상하이로 피신하였다. 이 때 본격적으로 중국공산당에 입당하게 되었다. 당이 소련의 중산대학으로 파견하였고, 1927~1930년동안 이곳에서 수학했다. 이 시기에 '스파르타쿠스' 영화를 보고 감동하여, '파다'라는 필명을 지었다가 좀더 중국 이름에 가까운 필명인 보다로 바꾸었고, 이는 훗날 자신의 이름이 되었다. 1937년 당의 지시로 옌안으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국민당 지역에서 지하 활동을 하던 시기에, 심한 푸젠 사투리 때문에 대중사업보다는 선전,이론 사업에 주로 참여하였다. 옌안에서는 산베이 공학 및 중앙당교의 교원과 마르크스-레닌주의 학원 부원장을 맡아 중국 고대 철학사 등을 강의하였다. 이 시기에 마오쩌둥을 만나 교류하면서 마오의 정치,이데올로기 비서를 맡게 되었다. 이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마오쩌둥과의 공동의 이론작업에 몰두하게 된다. 1945년 중국공산당 7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고,, 7기 2중전회에서는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56년 8차 당대회에서는 중앙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중공중앙 선전부 부부장, 중국과학원 부원장, 당기관지 '홍기' 총편집인을 역임했고, 당내 최고 이론가로 '노 선생님' 으로 지칭되기도 했다. 1966년 5월, 문화대혁명 개시와 더불어 중앙문혁소조 소조장을 맡았으며, 1966년 8월 8기 11중전회에서는 당서열 5위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 1969년 4월 개최된 9차 당대회의 정치보고 초안 작성을 두고 장춘차오와 대립하였다. 1970년 8월 말~9월 초 루산에서 열린 9기 2중전회에서 린뱌오와 동맹을 맺어 '천재론'과 '국가주석 지위 부활' 등을 주장하면서 장춘차오 등의 '상하이방'을 공격하다가 마오쩌둥의 비판을 받아 실각하고, 가택연금 당했다. 1971년 린뱌오 사건(9.13 사건) 이후에는 진청감옥에 수감되었고, 1973년 10차 당대회에서 당적이 박탈되었다. 1976년 '4인방 체포'와 더불어 공식 체포된 것으로 기록되고, 1981년 '4인방'과 함께 재판이 진행되어 18년형을 선고받았다. 1981년 8월 병으로 가석방되어 집필활동을 재개하였으며 1988년 형기가 만료되어 베이징시 문사관 관할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이후 1989년 9월 20일, 생을 마감하였다.
천보다와 덩샤오핑
천보다와 덩샤오핑 사이에는 갈등이 있었는데,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천보다가 덩샤오핑 실각을 주도했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그가 문혁 촉발의 핵심인물이었다는 점이라는 두가지 배경 때문인지, 그는 아직도 복권되지 않은 문제인물이며 금기시되는 인물에 속하고 있다. 더욱 주목할만한 것은, 천보다가 1957년 반우파투쟁과 문화대혁명 초기 공작조 파견 두 가지가 덩샤오핑에 의해 연결된다고 주장했다는 점이다. 천보다는 류사오치와 덩샤오핑 모두를 비판하긴 했지만, 류사오치를 비판할 때는 마오에게 등을 떠밀린 듯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덩샤오핑에 대해서는 일관적으로 비판적 태도를 유지하였다. 천보다와 덩샤오핑 둘은 서로에 대해 "덩은 잘못된 노선의 최선봉", "덩, 이 자는 총명함을 믿고 타고난 백과사전인 양 모르는 것이 없고 깨닫지 못한 것이 없어 조사연구도 하지 않고 그대로 문제를 결정해 버린다", "덩과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참으로 하늘에 올라가기보다 어렵다", "천보다 이 인간에 대한 내 인상은 아주 자만감이 넘치고 허세를 떨치며 종래 자아비판을 한 적이 없다는 것", "천보다는 여러 해 동안 어떤 일도 맡은 게 없고, 이런 붓쟁이들은 늘 이해해 달라고 해서, 그에 대한 인상은 별다른 게 없다", "이런 나쁜 놈의 과거가 그렇게 드러난 것이 그리 이상한 일도 아니다" 라는 등 신랄하게 공격했다.
천보다-덩샤오핑, 공업문제에 대하여
천보다와 홍위병
천보다와 마오쩌둥
천보다와 중앙문혁소조
참고자료
백승욱, 「천보다를 통해 본 중앙문혁소조와 문화대혁명」
백승욱, 『중국 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