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嚴: 채광하는 모습)
 
1번째 줄: 1번째 줄:
 +
==語源==
 
[[파일:嚴이미지.png|500픽셀|오른쪽]]
 
[[파일:嚴이미지.png|500픽셀|오른쪽]]
==語源==
+
'嚴'은 긴급하고 급박한 것을 말한다. 이로부터 엄준하다, 위엄있다, 엄숙하다는 의미도 파생되었다. 嚴의 [[금문]]([[파일:嚴1.png|20픽셀]])은 형성자로, 두 개의 입([[파일:嚴2.png|20픽셀]]) 혹은 세 개의 입([[파일:嚴3.png|20픽셀]])을 형태부로 삼아 긴급하게 외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세 개의 입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파일:嚴4.png|20픽셀]])(yín으로 읽는다)은 성부로 쓰인다.
'嚴'은 긴급하고 급박한 것을 말한다. 이로부터 엄준하다, 위엄있다, 엄숙하다는 의미도 파생되었다. 嚴의 금문([[파일:嚴1.png|20픽셀]])은 형성자로, 두 개의 입([[파일:嚴2.png|20픽셀]]) 혹은 세 개의 입([[파일:嚴3.png|20픽셀]])을 형태부로 삼아 긴급하게 외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세 개의 입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파일:嚴4.png|20픽셀]])(yín으로 읽는다)은 성부로 쓰인다.
 
  
 
==文化==
 
==文化==
===嚴: 채광하는 모습===
+
<big>'''嚴: 채광하는 모습'''</big><br>
 +
 
 
허진웅은 嚴의 입 구(口) 자를 바구니의 형상으로 보았다. 嚴이 '산암(山巌)'과 '엄격함' 두 가지 뜻을 가진다고 이야기 한다.  
 
허진웅은 嚴의 입 구(口) 자를 바구니의 형상으로 보았다. 嚴이 '산암(山巌)'과 '엄격함' 두 가지 뜻을 가진다고 이야기 한다.  
 
문자의 성부인 "[[파일:嚴4.png|20픽셀]]"를 보고, 한 손에 채굴 연장을 잡고 산 속에서 무엇을 파내어 하나의 바구니에 담고 있는 모습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두 바구니([[파일:嚴2.png|20픽셀]], 혹은 세 개의 바구니([[파일:嚴3.png|20픽셀]]))는 이미 동굴 밖으로 운반되었음을 보여주는 한자라고 한다.  
 
문자의 성부인 "[[파일:嚴4.png|20픽셀]]"를 보고, 한 손에 채굴 연장을 잡고 산 속에서 무엇을 파내어 하나의 바구니에 담고 있는 모습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두 바구니([[파일:嚴2.png|20픽셀]], 혹은 세 개의 바구니([[파일:嚴3.png|20픽셀]]))는 이미 동굴 밖으로 운반되었음을 보여주는 한자라고 한다.  
10번째 줄: 11번째 줄:
 
채광은 산속에서 행해졌기 때문에, 嚴이 '산암'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채광의 관리는 엄격해야 하고 그 일이 힘들었기 때문에, '엄격함'이라는 의미로 이어지게 되었다. 작가는 후에 이들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의부 산(山)이 산암의 뜻에 첨가된 것이라 이야기하고 있다.
 
채광은 산속에서 행해졌기 때문에, 嚴이 '산암'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채광의 관리는 엄격해야 하고 그 일이 힘들었기 때문에, '엄격함'이라는 의미로 이어지게 되었다. 작가는 후에 이들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의부 산(山)이 산암의 뜻에 첨가된 것이라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금문 [[敢]]([[파일:嚴5.png|16픽셀]])은 금문 嚴([[파일:嚴1.png|20픽셀]])에서 '산암'([[파일:嚴2.png|20픽셀]]) 성분을 제외한 것과 같다. 따라서 작가는 감([[敢]])도 채광과 관련이 있는 문자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리고 '감히 할'이란 뜻이 채광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이야기 한다. 당시 채광은 강제노동이나 높은 임금을 받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일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오직 용기 있는 자만이 채광에 착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용감하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고 해석한다.
+
또한 [[금문]]의 [[敢]]([[파일:嚴5.png|16픽셀]])은 금문 嚴([[파일:嚴1.png|20픽셀]])에서 '산암'([[파일:嚴2.png|20픽셀]]) 성분을 제외한 것과 같다. 따라서 작가는 감([[敢]])도 채광과 관련이 있는 문자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리고 '감히 할'이란 뜻이 채광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이야기 한다. 당시 채광은 강제노동이나 높은 임금을 받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일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오직 용기 있는 자만이 채광에 착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용감하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고 해석한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 王样之, 《图解汉字起源》, 北京大学出版社, 2009, p.67. <br>
 
# 王样之, 《图解汉字起源》, 北京大学出版社, 2009, p.67. <br>
 
# 허진웅, 《중국고대사회 -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주)지식산업사, 1993, p.138.
 
# 허진웅, 《중국고대사회 -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주)지식산업사, 1993, p.138.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9년 12월 25일 (수) 17:12 기준 최신판

語源

嚴이미지.png

'嚴'은 긴급하고 급박한 것을 말한다. 이로부터 엄준하다, 위엄있다, 엄숙하다는 의미도 파생되었다. 嚴의 금문嚴1.png)은 형성자로, 두 개의 입(嚴2.png) 혹은 세 개의 입(嚴3.png)을 형태부로 삼아 긴급하게 외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세 개의 입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嚴4.png)(yín으로 읽는다)은 성부로 쓰인다.

文化

嚴: 채광하는 모습

허진웅은 嚴의 입 구(口) 자를 바구니의 형상으로 보았다. 嚴이 '산암(山巌)'과 '엄격함' 두 가지 뜻을 가진다고 이야기 한다. 문자의 성부인 "嚴4.png"를 보고, 한 손에 채굴 연장을 잡고 산 속에서 무엇을 파내어 하나의 바구니에 담고 있는 모습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리고 두 바구니(嚴2.png, 혹은 세 개의 바구니(嚴3.png))는 이미 동굴 밖으로 운반되었음을 보여주는 한자라고 한다.

채광은 산속에서 행해졌기 때문에, 嚴이 '산암'이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채광의 관리는 엄격해야 하고 그 일이 힘들었기 때문에, '엄격함'이라는 의미로 이어지게 되었다. 작가는 후에 이들의 의미를 구별하기 위해 의부 산(山)이 산암의 뜻에 첨가된 것이라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금문(嚴5.png)은 금문 嚴(嚴1.png)에서 '산암'(嚴2.png) 성분을 제외한 것과 같다. 따라서 작가는 감()도 채광과 관련이 있는 문자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리고 '감히 할'이란 뜻이 채광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것이라 이야기 한다. 당시 채광은 강제노동이나 높은 임금을 받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일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오직 용기 있는 자만이 채광에 착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용감하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고 해석한다.

참고자료

  1. 王样之, 《图解汉字起源》, 北京大学出版社, 2009, p.67.
  2. 허진웅, 《중국고대사회 -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주)지식산업사, 1993, p.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