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모든 국가는 국가의 기원과 정통에 대한 서사가 있다. 국가라는 집단은 경계를 가진다. 국가는 안과 밖을 구분하는 가장 강력한 울타리로 작용한다. 한편, 이러한 집단의 경계를 나누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다. 물질적인 것으로 나눈다고 나누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늘날 국가들은 물질적인 국경과 더불어 사상적인 잣대로 이를 표현한다. 고대 중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특히 고대의 경우 오늘날과는 달리 명확한 국경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사상적인 경계가 더욱 중요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대 중국부터 명, 청 교체기 그리고 나아가 오늘날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상이 바로 화이론이라 할 수 있다. 화이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송대이지만, 이는 송대, 그 중에서도 북송 시기에 이르러서 이러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는 뜻이지, 그 이전에는 논의가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ref>손애리, 구양수의 ‘정통론’읽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p.3-4.</ref>
 
모든 국가는 국가의 기원과 정통에 대한 서사가 있다. 국가라는 집단은 경계를 가진다. 국가는 안과 밖을 구분하는 가장 강력한 울타리로 작용한다. 한편, 이러한 집단의 경계를 나누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다. 물질적인 것으로 나눈다고 나누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늘날 국가들은 물질적인 국경과 더불어 사상적인 잣대로 이를 표현한다. 고대 중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특히 고대의 경우 오늘날과는 달리 명확한 국경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사상적인 경계가 더욱 중요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대 중국부터 명, 청 교체기 그리고 나아가 오늘날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상이 바로 화이론이라 할 수 있다. 화이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송대이지만, 이는 송대, 그 중에서도 북송 시기에 이르러서 이러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는 뜻이지, 그 이전에는 논의가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ref>손애리, 구양수의 ‘정통론’읽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p.3-4.</ref>
  
===송대 이전의 중국===
+
===송대 이전 중국의 사상 - 정통론 - ===
 +
 
 +
전근대시기에 건국과 통치를 정당화하는 방식은 우선 서주에서 확립된 천명(天命)과 덕을 둘러싼 관념으로 정리할 수 있다.<ref>손애리, 구양수의 ‘정통론’읽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p.6.</ref> 상나라에서 천명의 개념은 특정 통치 집단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것이었다. 이는 상나라 사회의 신권적 특징과 연결 지어 해석할 수 있는데, 당시 지도자의 정통성을 보장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비이성적인 해석과 제사였다. 한편, 상-주 교체기에 이르러, 상나라를 멸망시킨 주나라는 이와 대비되는 새로운 개념의 천(天)을 제시하였다. 바로 천명은 특정 통치 집단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기 보다는, 덕이 있는 자(有德者)에게 수탁된다는 것이다. 이는 천명을 그 활동 범위는 합리적인 측면에 제한시키고, 신비적 분위기에서 벗어나 인간의 합리적 행위를 보장하는 최후의 근거로 인식했음을 의미한다. 유가 역시 이러한 사상에 동의하였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은 구절에서 찾을 수 있다.
 +
 
 +
  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天何言哉 하늘이 어찌 말을 하더냐? 사시가 운행이 되고 온갖 사물이 자라는데,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더냐?<ref>논어, 양화편 中</ref>
 +
 
 
===송대 이후의 중국===
 
===송대 이후의 중국===
 
==사이'四夷' 와 아'亞'==
 
==사이'四夷' 와 아'亞'==

2022년 12월 23일 (금) 01:15 판

화이론의 개념

華夷論. 전통적인 중원의 중국인들과 사이로 대표되는 각 소수민족들 간의 관계에 대한 유가적 견해를 말한다.[1]본 문서에서는 송나라 이전, 중국의 전통적인 화이론과 송대 이후 이것이 변형되어 가는 과정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중화를 존중하고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뜻의 조선의 대외정책에 골자가 된 사상인 '화이론'과는 한자는 같지만 다른 내용이니 혼돈이 없길 바란다.

민족의 경계와 국가, 그리고 화이론

모든 국가는 국가의 기원과 정통에 대한 서사가 있다. 국가라는 집단은 경계를 가진다. 국가는 안과 밖을 구분하는 가장 강력한 울타리로 작용한다. 한편, 이러한 집단의 경계를 나누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다. 물질적인 것으로 나눈다고 나누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늘날 국가들은 물질적인 국경과 더불어 사상적인 잣대로 이를 표현한다. 고대 중국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특히 고대의 경우 오늘날과는 달리 명확한 국경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사상적인 경계가 더욱 중요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고대 중국부터 명, 청 교체기 그리고 나아가 오늘날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상이 바로 화이론이라 할 수 있다. 화이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송대이지만, 이는 송대, 그 중에서도 북송 시기에 이르러서 이러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는 뜻이지, 그 이전에는 논의가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2]

송대 이전 중국의 사상 - 정통론 -

전근대시기에 건국과 통치를 정당화하는 방식은 우선 서주에서 확립된 천명(天命)과 덕을 둘러싼 관념으로 정리할 수 있다.[3] 상나라에서 천명의 개념은 특정 통치 집단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것이었다. 이는 상나라 사회의 신권적 특징과 연결 지어 해석할 수 있는데, 당시 지도자의 정통성을 보장하는 것은 자연에 대한 비이성적인 해석과 제사였다. 한편, 상-주 교체기에 이르러, 상나라를 멸망시킨 주나라는 이와 대비되는 새로운 개념의 천(天)을 제시하였다. 바로 천명은 특정 통치 집단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기 보다는, 덕이 있는 자(有德者)에게 수탁된다는 것이다. 이는 천명을 그 활동 범위는 합리적인 측면에 제한시키고, 신비적 분위기에서 벗어나 인간의 합리적 행위를 보장하는 최후의 근거로 인식했음을 의미한다. 유가 역시 이러한 사상에 동의하였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은 구절에서 찾을 수 있다.

 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天何言哉 하늘이 어찌 말을 하더냐? 사시가 운행이 되고 온갖 사물이 자라는데, 하늘이 무슨 말을 하더냐?[4]

송대 이후의 중국

사이'四夷' 와 아'亞'

  1. 출처: 바이두 지식백과. 다음 링크 참조 https://baike.baidu.com/item/%E5%8D%8E%E5%A4%B7%E8%AE%BA/62345986?fr=aladdin
  2. 손애리, 구양수의 ‘정통론’읽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p.3-4.
  3. 손애리, 구양수의 ‘정통론’읽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2, p.6.
  4. 논어, 양화편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