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畯"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語源== 섬네일|오른쪽|畯 "畯"은 고대에 농사일을 담당하는 공무원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상나라 갑골문, 주나라 금문, 그...)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파일:畯.png|섬네일|오른쪽|畯]] | [[파일:畯.png|섬네일|오른쪽|畯]] | ||
"畯"은 고대에 농사일을 담당하는 공무원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상나라 갑골문, 주나라 금문, 그리고 진나라 소전 모두 왕관을 쓴 인물이 농지를 바라보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인물의 체형이 약간 다르지만, 둘 다 농지에 집중하는 모습으로 전문가의 신분을 나타낸다. 금문에서의 인물 형상은 앉거나, 서거나, 걷거나 뛰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畯"이 농지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을 나타내며, 또한 글자가 통일되기전에 다양한 형태로 쓰였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편, 한예서<孔宙碑>에서는 소전의 필획을 개혁할 때, 호, 붓, 원을 최대한 평평하게 처리함으로써, 상형자의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 "畯"은 고대에 농사일을 담당하는 공무원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상나라 갑골문, 주나라 금문, 그리고 진나라 소전 모두 왕관을 쓴 인물이 농지를 바라보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인물의 체형이 약간 다르지만, 둘 다 농지에 집중하는 모습으로 전문가의 신분을 나타낸다. 금문에서의 인물 형상은 앉거나, 서거나, 걷거나 뛰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畯"이 농지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을 나타내며, 또한 글자가 통일되기전에 다양한 형태로 쓰였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편, 한예서<孔宙碑>에서는 소전의 필획을 개혁할 때, 호, 붓, 원을 최대한 평평하게 처리함으로써, 상형자의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 ||
− | 畯의 구성요소인 田은 『역해』에 따르면 곡식을 심는 곳, 즉 밭을 상형한 글자이다. 특히 ‘十’ 부분은 밭 안에 난 밭두둑을 의미한다.<ref> 염정삼 저,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13, pp.659~660</ref | + | 畯의 구성요소인 田은 『역해』에 따르면 곡식을 심는 곳, 즉 밭을 상형한 글자이다. 특히 ‘十’ 부분은 밭 안에 난 밭두둑을 의미한다.<ref>염정삼 저,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13, pp.659~660</ref>『图释古汉字』에서 畯의 기본적인 뜻을 농사일을 담당하는 관리로 설명하고 있는데, 田이 그러한 畯의 의미를 보조하고 있는 것이다. |
==文化== | ==文化== | ||
중국에서 "畯(준)"의 본래 의미는 고대에 농사를 담당하는 관리자였다. "畯"이 형용사로 사용될 때에는 뛰어난 지성을 가진 사람을 형용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畯民(준민)"은 현명한 사람을 의미하며, "畯臣(준신)"은 현명한 신하를 나타낸다. 故宫고궁 박물관 소장의 《田畯醉归图》(전준취귀도)에서“田畯(전준)”은 농사를 괸리하는 관직, “田官(전관)”을 가리키며, 그림에는 한 전관이 취해서 황소를 타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 중국에서 "畯(준)"의 본래 의미는 고대에 농사를 담당하는 관리자였다. "畯"이 형용사로 사용될 때에는 뛰어난 지성을 가진 사람을 형용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畯民(준민)"은 현명한 사람을 의미하며, "畯臣(준신)"은 현명한 신하를 나타낸다. 故宫고궁 박물관 소장의 《田畯醉归图》(전준취귀도)에서“田畯(전준)”은 농사를 괸리하는 관직, “田官(전관)”을 가리키며, 그림에는 한 전관이 취해서 황소를 타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
2023년 12월 23일 (토) 15:17 판
語源
"畯"은 고대에 농사일을 담당하는 공무원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상나라 갑골문, 주나라 금문, 그리고 진나라 소전 모두 왕관을 쓴 인물이 농지를 바라보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인물의 체형이 약간 다르지만, 둘 다 농지에 집중하는 모습으로 전문가의 신분을 나타낸다. 금문에서의 인물 형상은 앉거나, 서거나, 걷거나 뛰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畯"이 농지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을 나타내며, 또한 글자가 통일되기전에 다양한 형태로 쓰였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편, 한예서<孔宙碑>에서는 소전의 필획을 개혁할 때, 호, 붓, 원을 최대한 평평하게 처리함으로써, 상형자의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畯의 구성요소인 田은 『역해』에 따르면 곡식을 심는 곳, 즉 밭을 상형한 글자이다. 특히 ‘十’ 부분은 밭 안에 난 밭두둑을 의미한다.[1]『图释古汉字』에서 畯의 기본적인 뜻을 농사일을 담당하는 관리로 설명하고 있는데, 田이 그러한 畯의 의미를 보조하고 있는 것이다.
文化
중국에서 "畯(준)"의 본래 의미는 고대에 농사를 담당하는 관리자였다. "畯"이 형용사로 사용될 때에는 뛰어난 지성을 가진 사람을 형용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畯民(준민)"은 현명한 사람을 의미하며, "畯臣(준신)"은 현명한 신하를 나타낸다. 故宫고궁 박물관 소장의 《田畯醉归图》(전준취귀도)에서“田畯(전준)”은 농사를 괸리하는 관직, “田官(전관)”을 가리키며, 그림에는 한 전관이 취해서 황소를 타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 ↑ 염정삼 저,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부, 2013, pp.659~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