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來"의 두 판 사이의 차이
(→文化) |
(→文化)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文化== | ==文化== | ||
설문에서는 “주나라 땅에 떨어진 좋은 보리. 하나의 줄기에서 두 이삭이 나오며, 까끄라기가 찌른 형상을 본떴다. 하늘이 내려주신 것이라 하여 ‘오다가다’의 來로 가차되었다.”<ref> 이돈주, 《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고대 문화》, 2006, 태학사, p.165에서 재인용.</ref>고 해설한다. 물론 갑골문자에도 麥자가 있다. 이 자 역시 보리가 본뜻으로 보릿대의 뿌리와 잎, 줄기, 이삭을 본뜬 상형자. 따라서 기원적으로 來와 麥은 동의 이체자로서 두 자는 다 명사이던 것이 ‘來’자가 동사로 쓰이게 되자 후세에 麥자가 보리를 전칭하게 되었다. 보리 래(來)자가 ‘오다’의 뜻을 지니게 된 것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 설문에서는 “주나라 땅에 떨어진 좋은 보리. 하나의 줄기에서 두 이삭이 나오며, 까끄라기가 찌른 형상을 본떴다. 하늘이 내려주신 것이라 하여 ‘오다가다’의 來로 가차되었다.”<ref> 이돈주, 《한자, 한어의 창으로 보는 중국고대 문화》, 2006, 태학사, p.165에서 재인용.</ref>고 해설한다. 물론 갑골문자에도 麥자가 있다. 이 자 역시 보리가 본뜻으로 보릿대의 뿌리와 잎, 줄기, 이삭을 본뜬 상형자. 따라서 기원적으로 來와 麥은 동의 이체자로서 두 자는 다 명사이던 것이 ‘來’자가 동사로 쓰이게 되자 후세에 麥자가 보리를 전칭하게 되었다. 보리 래(來)자가 ‘오다’의 뜻을 지니게 된 것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 ||
+ | |||
(1) 보리는 식량 혁명을 일으킬 정도의 변혁을 가져다준 중앙아시아로부터 들어온 외래종이었기에 ‘오다’의 뜻을 갖게 되었고 이로부터 다가올 미래라는 시간적 개념을 말하였고, 또 숫자에서의 개략 수를 지칭하기도 한다. | (1) 보리는 식량 혁명을 일으킬 정도의 변혁을 가져다준 중앙아시아로부터 들어온 외래종이었기에 ‘오다’의 뜻을 갖게 되었고 이로부터 다가올 미래라는 시간적 개념을 말하였고, 또 숫자에서의 개략 수를 지칭하기도 한다. | ||
(2)중국의 신석기 유적에서는 단지 신장 부근에서만 보리의 흔적이 일부 발견되는데, 상고시대에는 화북지구에서 보리가 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갑골의 각사에 ‘정월에 보리를 먹는다’ 라는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보리는 시절에 따른 특별한 음식이며 일상적으로 먹는 식품이 아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ref> 許進雄 지음, 洪熹 옮김, 《중국고대사회》, 1991, 동문선, p.139</ref> 이와 같은 정황상, 외부에서 들어온 곡물인 보리가 ‘오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지 않았나 하는 학설이 존재하며 단지 음의 가차라는 학설도 있다. | (2)중국의 신석기 유적에서는 단지 신장 부근에서만 보리의 흔적이 일부 발견되는데, 상고시대에는 화북지구에서 보리가 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갑골의 각사에 ‘정월에 보리를 먹는다’ 라는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보리는 시절에 따른 특별한 음식이며 일상적으로 먹는 식품이 아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ref> 許進雄 지음, 洪熹 옮김, 《중국고대사회》, 1991, 동문선, p.139</ref> 이와 같은 정황상, 외부에서 들어온 곡물인 보리가 ‘오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지 않았나 하는 학설이 존재하며 단지 음의 가차라는 학설도 있다.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23년 12월 24일 (일) 01:33 판
語源
갑골문의 來는 뿌리와 잎, 줄기를 모두 갖춘 모종의 형상과 같다. 그 본래의미는 보리를 뜻하는 것이었다. 보리는 하늘에서 내려져 오는 것으로, 한 줄의 보리가 두개로 갈라져 이삭이 서로 묶이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바로 밀과 보리는 하늘로부터 온다는 것이었으며 훗날 ‘오고가다’의 ‘오다’의 뜻으로 차용되었다. 이에 저곳에서 이곳으로,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의 의미를 가지며, 이는 去와 상반된다. 또한 來의 본래의미(보리/밀)는 훗날 麥(보리 맥)으로 대체되었다.
文化
설문에서는 “주나라 땅에 떨어진 좋은 보리. 하나의 줄기에서 두 이삭이 나오며, 까끄라기가 찌른 형상을 본떴다. 하늘이 내려주신 것이라 하여 ‘오다가다’의 來로 가차되었다.”[1]고 해설한다. 물론 갑골문자에도 麥자가 있다. 이 자 역시 보리가 본뜻으로 보릿대의 뿌리와 잎, 줄기, 이삭을 본뜬 상형자. 따라서 기원적으로 來와 麥은 동의 이체자로서 두 자는 다 명사이던 것이 ‘來’자가 동사로 쓰이게 되자 후세에 麥자가 보리를 전칭하게 되었다. 보리 래(來)자가 ‘오다’의 뜻을 지니게 된 것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다.
(1) 보리는 식량 혁명을 일으킬 정도의 변혁을 가져다준 중앙아시아로부터 들어온 외래종이었기에 ‘오다’의 뜻을 갖게 되었고 이로부터 다가올 미래라는 시간적 개념을 말하였고, 또 숫자에서의 개략 수를 지칭하기도 한다.
(2)중국의 신석기 유적에서는 단지 신장 부근에서만 보리의 흔적이 일부 발견되는데, 상고시대에는 화북지구에서 보리가 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갑골의 각사에 ‘정월에 보리를 먹는다’ 라는 말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보리는 시절에 따른 특별한 음식이며 일상적으로 먹는 식품이 아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2] 이와 같은 정황상, 외부에서 들어온 곡물인 보리가 ‘오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지 않았나 하는 학설이 존재하며 단지 음의 가차라는 학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