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番"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番은 ‘蹯’의 본자다. 금문의 番자는, 윗부분은 들짐승의 발바닥 자국이고, 아랫부분은 밭(田)...)
 
14번째 줄: 14번째 줄:
 
육식동물의 발자국을 나타낸 釆자와 초식동물의 발자국을 나타낸 田의 형태가 합쳐진 글자다. 땅에 찍힌 발자국으로 짐승이 지나친 차례를 알 수 있다 하여 그 뜻이 차례가 된단 해석이 있다.<ref> 김종혁, 『부수로 아는 한자』, 중앙에듀북스, p.15</ref>
 
육식동물의 발자국을 나타낸 釆자와 초식동물의 발자국을 나타낸 田의 형태가 합쳐진 글자다. 땅에 찍힌 발자국으로 짐승이 지나친 차례를 알 수 있다 하여 그 뜻이 차례가 된단 해석이 있다.<ref> 김종혁, 『부수로 아는 한자』, 중앙에듀북스, p.15</ref>
 
   
 
   
논에 물을 대기 위해서 마을에서 돌려가며 사용하는 무자위(釆변. 발로 밟는 물레방아)를 표현하거나, 또는 반복해서 밭에 씨앗을 뿌리는 모습으로 의미를 표현한 것이란 해석도 있다.<ref><ref>  김인종, 『상형의 원리로 배우는 그림한자』, 바다출판사, p.234</ref>
+
논에 물을 대기 위해서 마을에서 돌려가며 사용하는 무자위(釆변. 발로 밟는 물레방아)를 표현하거나, 또는 반복해서 밭에 씨앗을 뿌리는 모습으로 의미를 표현한 것이란 해석도 있다.<ref>  김인종, 『상형의 원리로 배우는 그림한자』, 바다출판사, p.234</ref>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2016년 9월 6일 (화) 19:50 판

語源

차례 번.png

番은 ‘蹯’의 본자다. 금문의 番자는, 윗부분은 들짐승의 발바닥 자국이고, 아랫부분은 밭(田)을 따른다. 들짐승이 밭 사이에 남긴 족적(발자국)을 나타낸다. 番의 본래 의미는 짐승의 발인데, 파생되어 교체하다. 교대하다란 뜻이 되었다. 또 양사로도 쓰여, 次(차), 種(종)의 뜻과 같다. 이전엔 한족이 다른 민족을 멸시해서, 소수민족 혹은 외국을 ‘번방(番邦)’이라 불렀다. 즉 금수와 같고 야만스러운 나라란 뜻이다.

[번지(番地)] 예전엔 아국의 서부 변두리 지구를 가리켰다. 당나라 때엔 吐蕃(토번족)을 많이 가리켰다.

[번역(番役)] 교대로 복역하다. 또 붙잡힌 죄인의 부역을 가리킨다. 또 ‘번자(番子)’라고도 한다.

文化

짐승의 손바닥을 番(손바닥, 갈마들 번)이라고 하며, 뒷날 膰(제사고기 번)으로 적게 되었다. 웅장(熊掌:곰발바닥)은 특히 맛있다고 한다. 다시 말하지만 번은 짐승의 발톱과 손바닥을 말한다.[1]

釆(변)은 설문해자에서 “변별이다.” 라고 풀이하지만, 짐승의 발톱 모양으로 보아야 한다. 여기에 짐승의 발바닥 모양을 더한 것은 番으로 설문해자에서는 “짐승의 발을 番이라고 한다.“라고 하며, 그 살을 膰(제사고기 번)이라고도 한다. 熊掌은 熊番(『국어』「초어楚語」 하)이라고도 한다.[2]

육식동물의 발자국을 나타낸 釆자와 초식동물의 발자국을 나타낸 田의 형태가 합쳐진 글자다. 땅에 찍힌 발자국으로 짐승이 지나친 차례를 알 수 있다 하여 그 뜻이 차례가 된단 해석이 있다.[3]

논에 물을 대기 위해서 마을에서 돌려가며 사용하는 무자위(釆변. 발로 밟는 물레방아)를 표현하거나, 또는 반복해서 밭에 씨앗을 뿌리는 모습으로 의미를 표현한 것이란 해석도 있다.[4]

  1.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한자- 백가지 이야기』, 황소자리, p.171
  2.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한자의 세계』, 솔, p.334
  3. 김종혁, 『부수로 아는 한자』, 중앙에듀북스, p.15
  4. 김인종, 『상형의 원리로 배우는 그림한자』, 바다출판사, p.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