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樊"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 樊 == == 【語源】 == 600픽셀|오른쪽 두 나무 사이의 나뭇가지를 양손을 모아 엮어 울타리를 만드는 것을 나...)
 
(【語源】)
 
8번째 줄: 8번째 줄:
 
두 나무 사이의 나뭇가지를 양손을 모아 엮어 울타리를 만드는 것을 나타낸다. “棥”자와 동자이며 이 글자 역시 ‘두 나무 사이에 나뭇가지가 엇갈려 울타리가 완성되다’라는 뜻을 지닌다.
 
두 나무 사이의 나뭇가지를 양손을 모아 엮어 울타리를 만드는 것을 나타낸다. “棥”자와 동자이며 이 글자 역시 ‘두 나무 사이에 나뭇가지가 엇갈려 울타리가 완성되다’라는 뜻을 지닌다.
  
<廣韻>: “번”은 울타리 담장이기도 하다  
+
<廣韻>: “번”은 울타리 담장이기도 하다
 
 
 
 
  
 +
[樊巖集] 조선 후기 문신(文臣)·학자인 채제공(蔡濟恭)의 시문집.
  
 
== 【文化】 ==
 
== 【文化】 ==
  
 
오늘날 수레 몸체의 양옆 가로나무에 붙어 있는 손잡이를 뜻하는 각(較)자의 금문에 효(爻)가 들어있다. 아마 이 글자와 爻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레에서는 노끈이 앞쪽 가로대의 여러 가지 수평 수직의 버팀목을 교차된 모양으로 묶는 데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효(爻)’는 이러한 노끈이 묶인 모양의 상형문자일 것이다. 樊의 금문에서도 노끈으로 나무기둥들을 묶어서 만든 울타리를 나타낸다. 이를 미루어 짐작해보아 爻는 확실히 노끈을 교차하여 묶은 모양을 나타내고, 교차 모양 하나만을 사용하면 5를 의미하는 고대 글자와 혼동될 것이므로 교차모양 두 개를 썼을 것이다. <ref>허진웅(1993),『중국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p.334</ref>
 
오늘날 수레 몸체의 양옆 가로나무에 붙어 있는 손잡이를 뜻하는 각(較)자의 금문에 효(爻)가 들어있다. 아마 이 글자와 爻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레에서는 노끈이 앞쪽 가로대의 여러 가지 수평 수직의 버팀목을 교차된 모양으로 묶는 데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효(爻)’는 이러한 노끈이 묶인 모양의 상형문자일 것이다. 樊의 금문에서도 노끈으로 나무기둥들을 묶어서 만든 울타리를 나타낸다. 이를 미루어 짐작해보아 爻는 확실히 노끈을 교차하여 묶은 모양을 나타내고, 교차 모양 하나만을 사용하면 5를 의미하는 고대 글자와 혼동될 것이므로 교차모양 두 개를 썼을 것이다. <ref>허진웅(1993),『중국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p.334</ref>

2016년 12월 24일 (토) 02:53 기준 최신판

【語源】

울타리번캡쳐.PNG

두 나무 사이의 나뭇가지를 양손을 모아 엮어 울타리를 만드는 것을 나타낸다. “棥”자와 동자이며 이 글자 역시 ‘두 나무 사이에 나뭇가지가 엇갈려 울타리가 완성되다’라는 뜻을 지닌다.

<廣韻>: “번”은 울타리 담장이기도 하다

[樊巖集] 조선 후기 문신(文臣)·학자인 채제공(蔡濟恭)의 시문집.

【文化】

오늘날 수레 몸체의 양옆 가로나무에 붙어 있는 손잡이를 뜻하는 각(較)자의 금문에 효(爻)가 들어있다. 아마 이 글자와 爻 사이에는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레에서는 노끈이 앞쪽 가로대의 여러 가지 수평 수직의 버팀목을 교차된 모양으로 묶는 데에 사용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효(爻)’는 이러한 노끈이 묶인 모양의 상형문자일 것이다. 樊의 금문에서도 노끈으로 나무기둥들을 묶어서 만든 울타리를 나타낸다. 이를 미루어 짐작해보아 爻는 확실히 노끈을 교차하여 묶은 모양을 나타내고, 교차 모양 하나만을 사용하면 5를 의미하는 고대 글자와 혼동될 것이므로 교차모양 두 개를 썼을 것이다. [1]

  1. 허진웅(1993),『중국고대사회: 문자학과 고고학적 해석에 입각하여』, 지식산업사, p.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