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結繩의 정의== 숫자나 역사적 사건 등을 새끼나 가죽끈을 매어 그 매듭의 수효나 간격에 따라서 나타낸 일종의 문자.<br>글자가 없었던 미...)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남미의 結繩== | ==남미의 結繩== | ||
− | + | [[파일:결승문자.jpeg|200픽셀|섬네일|오른쪽|고대 페루와 전남 장성의 결승문자]] | |
+ | 페루의 키푸의 전통은 지금도 아메리카 인디언 사이에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결승에 대해서도 상세한 연구의 결과가 남아 있다. 잉카제국시대에 이 결승은 모든 물건의 수량을 기록하였고, 특히 납세사무에서는 필요불가결한 것이었다. | ||
+ | 이러한 기록뿐 아니라, 비록 한정되기는 했으나 몇몇 추상관념도 이것으로 표시하고 역사적인 사건이나 법률의 포고를 기록 ·기억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보조수단이었다. 키푸는 길이 1m 안팎의 양모로 만든 가느다란 끈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 ||
+ | 각각 1 ·10 ·100 ·1,000의 단위를 나타내는 정해진 매듭을 만들어 구성한 표현수단이다. 이 키푸는 빛깔에 따라 내용을 구별하였는데, 예를 들면 빨강이면 군대를, 노랑 ·초록 ·흰색이면 각각 황금 ·백은(白銀) ·곡물을 표시한다는 방법으로, 여러 지방의 인구 ·생산물 및 그 수입 등의 수량이 키푸의 보관자들에 의하여 중앙에 집계되었다. 그러나 결승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추상적 관념을 표시하기란 매우 어려워 소수의 관념만을 겨우 추상적으로 표시할 따름이었다. 예를 들면 흰 매듭이 평화를, 붉은 매듭이 전쟁을 나타내게 한다든가, 매듭의 단단함과 그 위치로 애정의 확실성 또는 일치감을 표시하는 따위가 그 한도일 것이다. 따라서 아메리카 인디언에서 알파벳을 표시하는 매듭을 만들어낸 사실은 오히려 드물게 보는 실례이다. | ||
+ | ==기타 結繩 사용 사례== | ||
+ | 한국에서는 1910년대 말까지 전남의 농촌에서 결승이 사용되었는데, 지방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원칙적으로 5진법원리를 적용했다.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두산동아 백과사전연구소,『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2nd, 1998<br> | * 두산동아 백과사전연구소,『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2nd, 1998<br> |
2017년 11월 25일 (토) 21:35 판
結繩의 정의
숫자나 역사적 사건 등을 새끼나 가죽끈을 매어 그 매듭의 수효나 간격에 따라서 나타낸 일종의 문자.
글자가 없었던 미개사회에서 역일(曆日)이나 인원수 및 물건의 수량 등을 기록하는 수단으로 각목(刻木)이나 결승을 사용한 실례는 많이 발견되는데, 고대 페루의 결승인 키푸(quipu)와 ‘결승의 제사’라는 말로 알려진 고대 중국의 결승이 그 전형적인 예이다.
중국의 結繩
남미의 結繩
페루의 키푸의 전통은 지금도 아메리카 인디언 사이에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결승에 대해서도 상세한 연구의 결과가 남아 있다. 잉카제국시대에 이 결승은 모든 물건의 수량을 기록하였고, 특히 납세사무에서는 필요불가결한 것이었다. 이러한 기록뿐 아니라, 비록 한정되기는 했으나 몇몇 추상관념도 이것으로 표시하고 역사적인 사건이나 법률의 포고를 기록 ·기억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보조수단이었다. 키푸는 길이 1m 안팎의 양모로 만든 가느다란 끈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각각 1 ·10 ·100 ·1,000의 단위를 나타내는 정해진 매듭을 만들어 구성한 표현수단이다. 이 키푸는 빛깔에 따라 내용을 구별하였는데, 예를 들면 빨강이면 군대를, 노랑 ·초록 ·흰색이면 각각 황금 ·백은(白銀) ·곡물을 표시한다는 방법으로, 여러 지방의 인구 ·생산물 및 그 수입 등의 수량이 키푸의 보관자들에 의하여 중앙에 집계되었다. 그러나 결승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추상적 관념을 표시하기란 매우 어려워 소수의 관념만을 겨우 추상적으로 표시할 따름이었다. 예를 들면 흰 매듭이 평화를, 붉은 매듭이 전쟁을 나타내게 한다든가, 매듭의 단단함과 그 위치로 애정의 확실성 또는 일치감을 표시하는 따위가 그 한도일 것이다. 따라서 아메리카 인디언에서 알파벳을 표시하는 매듭을 만들어낸 사실은 오히려 드물게 보는 실례이다.
기타 結繩 사용 사례
한국에서는 1910년대 말까지 전남의 농촌에서 결승이 사용되었는데, 지방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원칙적으로 5진법원리를 적용했다.
참고문헌
- 두산동아 백과사전연구소,『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2nd,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