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獎"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번째 줄: | 7번째 줄: | ||
고대에는 개고기가 양고기나 돼지고기보다 더욱 가치 있었다. 공을 세운 전사들에게 자주 개고기를 상으로 주었다. 춘추시절의 월왕 구천은 심지어 개고기로 출산을 장려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개고기는 신에게 바치는 훌륭한 제물이기도 했다. | 고대에는 개고기가 양고기나 돼지고기보다 더욱 가치 있었다. 공을 세운 전사들에게 자주 개고기를 상으로 주었다. 춘추시절의 월왕 구천은 심지어 개고기로 출산을 장려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개고기는 신에게 바치는 훌륭한 제물이기도 했다. | ||
《예기》:"凡祭宗庙之札:牛曰一元大武,……犬曰羹献"(종묘에 제사지내는 제물로 소는 一元大武일원대무라 불렸고 개는 羹献갱헌(종묘(宗廟)나 그 밖의 제사(祭祀)에 쓰기 위(爲)하여 삶은 개고기)이라 하였다.) | 《예기》:"凡祭宗庙之札:牛曰一元大武,……犬曰羹献"(종묘에 제사지내는 제물로 소는 一元大武일원대무라 불렸고 개는 羹献갱헌(종묘(宗廟)나 그 밖의 제사(祭祀)에 쓰기 위(爲)하여 삶은 개고기)이라 하였다.) | ||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17년 12월 21일 (목) 13:55 판
語源
형성. 원래는 犬이 의미부고 將(장차 장)이 소리부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개고기를 주어 ‘격려하고’ ‘장려함’을 나타냈다. 이후 犬을 大로 바꾸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크게 권하고 ‘장려하다’는 뜻으로 그렸으며, 이로부터 찬미하다, 표창하다, 賞狀(상장)등의 뜻이 나왔다. 간화자에서는 將을 간단하게 줄인 奖으로 쓴다.[1]
文化
고대에는 개고기가 양고기나 돼지고기보다 더욱 가치 있었다. 공을 세운 전사들에게 자주 개고기를 상으로 주었다. 춘추시절의 월왕 구천은 심지어 개고기로 출산을 장려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개고기는 신에게 바치는 훌륭한 제물이기도 했다.
《예기》:"凡祭宗庙之札:牛曰一元大武,……犬曰羹献"(종묘에 제사지내는 제물로 소는 一元大武일원대무라 불렸고 개는 羹献갱헌(종묘(宗廟)나 그 밖의 제사(祭祀)에 쓰기 위(爲)하여 삶은 개고기)이라 하였다.)
-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