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 2번째 줄: | ||
[[파일:깃 우.png|500픽셀|오른쪽]] | [[파일:깃 우.png|500픽셀|오른쪽]] | ||
갑골문의 羽자는, 조류의 날개 깃털 모양이다. 기본적으로 날짐승 날개 윗부분의 털이란 뜻이다. 그래서 羽 자로 구성된 글자들은 대부분 깃털 혹은 날개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習(익힐 습), 翎(깃털 령), 翔(빙빙 돌아 날 상), 翻(뒤집을 번), 翼(날개 익) 등이 그렇다.<br /> | 갑골문의 羽자는, 조류의 날개 깃털 모양이다. 기본적으로 날짐승 날개 윗부분의 털이란 뜻이다. 그래서 羽 자로 구성된 글자들은 대부분 깃털 혹은 날개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習(익힐 습), 翎(깃털 령), 翔(빙빙 돌아 날 상), 翻(뒤집을 번), 翼(날개 익) 등이 그렇다.<br /> | ||
− | 날짐승의 털을 羽, 길짐승의 털을 毛라 했다. 새의 깃털은 날 수 있는 날개이자 자신을 뽐내는 수컷의 상징물이었으며, 활이나 붓을 만드는 재료가 되기도 했다.< | + | 날짐승의 털을 羽, 길짐승의 털을 毛라 했다. 새의 깃털은 날 수 있는 날개이자 자신을 뽐내는 수컷의 상징물이었으며, 활이나 붓을 만드는 재료가 되기도 했다.<ref> 세실리아 링크비스트, 『한자왕국』, 청년사, p.103</ref> |
− | 羽는 또 조류의 | + | 羽는 또 조류의 별칭이며 羽는 또 화살(箭矢)의 별칭으로도 사용된다. 고대 화살 꼬리 윗부분에 묶어놓은 깃털이 있어, 이것으로 화살이 날아갈 때 방향을 정했기에, ‘조령전(雕翎箭:장식용 수리 깃털 화살)’이라 불렀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끔 羽자를 화살을 대신 쓰기도 했다. 예를 들어 “부우종군(負羽從軍)”은 깃털을 매고 싸운다는 뜻이 아니라, 등에 화살을 메고 군대에 들어가 전투를 벌인단 뜻이다.<ref> 廖文豪, 《漢字樹 4》, 甘肅人民美術出版社, 2015, p.38~39 </ref> |
− | 羽는 또 화살(箭矢)의 | ||
==文化== | ==文化== | ||
− | 새 날개와 날개위의 길고 납작한 털이다. 설문해자에선 ”우는, 새의 긴 털이다. 상형자다.”라고 해석했다. '깃털'의 갑골문은 새 몸의 한 쌍의 날개와 두 개의 털로 자신의 털을 대표한다. 전서 에서는 미세한 깃털을 생략하고 한 쌍의 날개만을 표현하였다.< | + | 새 날개와 날개위의 길고 납작한 털이다. 설문해자에선 ”우는, 새의 긴 털이다. 상형자다.”라고 해석했다. '깃털'의 갑골문은 새 몸의 한 쌍의 날개와 두 개의 털로 자신의 털을 대표한다. 전서 에서는 미세한 깃털을 생략하고 한 쌍의 날개만을 표현하였다.<ref>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ref> |
이 글자가 꼬리깃털을 말하는지, 날개깃털을 말하는지, 아니면 새 깃을 그대로 그린 것인지는 알 길이 없으며 전문가들의 견해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 이 글자가 꼬리깃털을 말하는지, 날개깃털을 말하는지, 아니면 새 깃을 그대로 그린 것인지는 알 길이 없으며 전문가들의 견해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 | ||
==주석== | ==주석== | ||
− | |||
− | |||
− | |||
− | |||
− |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분류:한자어원문화사전]] |
2017년 12월 27일 (수) 00:21 판
語源
갑골문의 羽자는, 조류의 날개 깃털 모양이다. 기본적으로 날짐승 날개 윗부분의 털이란 뜻이다. 그래서 羽 자로 구성된 글자들은 대부분 깃털 혹은 날개와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習(익힐 습), 翎(깃털 령), 翔(빙빙 돌아 날 상), 翻(뒤집을 번), 翼(날개 익) 등이 그렇다.
날짐승의 털을 羽, 길짐승의 털을 毛라 했다. 새의 깃털은 날 수 있는 날개이자 자신을 뽐내는 수컷의 상징물이었으며, 활이나 붓을 만드는 재료가 되기도 했다.[1]
羽는 또 조류의 별칭이며 羽는 또 화살(箭矢)의 별칭으로도 사용된다. 고대 화살 꼬리 윗부분에 묶어놓은 깃털이 있어, 이것으로 화살이 날아갈 때 방향을 정했기에, ‘조령전(雕翎箭:장식용 수리 깃털 화살)’이라 불렀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끔 羽자를 화살을 대신 쓰기도 했다. 예를 들어 “부우종군(負羽從軍)”은 깃털을 매고 싸운다는 뜻이 아니라, 등에 화살을 메고 군대에 들어가 전투를 벌인단 뜻이다.[2]
文化
새 날개와 날개위의 길고 납작한 털이다. 설문해자에선 ”우는, 새의 긴 털이다. 상형자다.”라고 해석했다. '깃털'의 갑골문은 새 몸의 한 쌍의 날개와 두 개의 털로 자신의 털을 대표한다. 전서 에서는 미세한 깃털을 생략하고 한 쌍의 날개만을 표현하였다.[3] 이 글자가 꼬리깃털을 말하는지, 날개깃털을 말하는지, 아니면 새 깃을 그대로 그린 것인지는 알 길이 없으며 전문가들의 견해 또한 일치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