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골문의 발견시기와 발견과정 더보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갑골문의 발견시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1898년과 1899년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다. 즉, 글자가 있는 갑골의 발견은 1898년 후기에 이루어졌...)
 
1번째 줄: 1번째 줄:
갑골문의 발견시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1898년과 1899년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다. 즉, 글자가 있는 갑골의 발견은 1898년 후기에 이루어졌으며, 골동상들이 일부 갑골 조각을 천진의 맹정생(孟定生)과 왕양(王襄,1876~1965)등에게 가져다 보였는데 그들은 그것을 고대의 죽간으로 여겼다. 그 후 1899년 저명한 금석학자였던 왕의영(王懿榮,1845~1900)에 의해 이것이 거북 딱지에 새겨진 문자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갑골이라는 것이 세상에 비로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금석학자(金石學者)였던 왕의영은 병에 걸려 약재를 사서 병을 치료하고 있었다. 한약방에서 조제해 온 약재에는 '용골(龍骨)'이라는 뼈 조각이 있었다. 그런데 그 '용골'이라는 뼈에는 자신이 연구하던 금문과 비슷한 문자의 흔적을 발견했다.그는 바로 한약방에 '용골'을 판매한 약재상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고 얼마 후 한약방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산동(山東)의 골동상 범유경(范維卿)은 12관의 '용골', 즉 갑골을 가지고 베이징의 왕의영을 찾아왔다. 왕의영은 그 갑골에 새겨진 문자를 보고 감정한 결과 금문보다 훨씬 앞선 상나라 시대의 문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왕의영은 1900년에도 범유경와 조집제(趙執齊)로부터 수천 편의 갑골을 구입했다. 그러나 왕의영은 그해 사망을 했고, 그가 갖고 있있던 갑골은 그의 제자인 유악(劉鶚)이 입수했다. 유악은 1903년 왕의영으로부터 전해들은 갑골에 대한 이야기와 갑골편을 선별해 <철운장귀(鐵雲藏龜)>라는 최초의 갑골문에 관한 책을 펴냈다.<br>
+
갑골문의 발견시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1898년과 1899년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다. 즉, 글자가 있는 갑골의 발견은 1898년 후기에 이루어졌으며, 골동상들이 일부 갑골 조각을 천진의 맹정생(孟定生)과 왕양(王襄,1876~1965)등에게 가져다 보였는데 그들은 그것을 고대의 죽간으로 여겼다. 그 후 1899년 저명한 금석학자였던 왕의영(王懿榮,1845~1900)에 의해 이것이 거북 딱지에 새겨진 문자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갑골이라는 것이 세상에 비로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금석학자(金石學者)였던 왕의영은 병에 걸려 약재를 사서 병을 치료하고 있었다. 한약방에서 조제해 온 약재에는 '용골(龍骨)'이라는 뼈 조각이 있었다. 그런데 그 '용골'이라는 뼈에는 자신이 연구하던 금문과 비슷한 문자의 흔적을 발견했다.그는 바로 한약방에 '용골'을 판매한 약재상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고 얼마 후 한약방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산동(山東)의 골동상 범유경(范維卿)은 12관의 '용골', 즉 갑골을 가지고 베이징의 왕의영을 찾아왔다. 왕의영은 그 갑골에 새겨진 문자를 보고 감정한 결과 금문보다 훨씬 앞선 상나라 시대의 문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왕의영은 1900년에도 범유경와 조집제(趙執齊)로부터 수천 편의 갑골을 구입했다. 그러나 왕의영은 그해 사망을 했고, 그가 갖고 있있던 갑골은 그의 제자인 유악(劉鶚)이 입수했다. 유악은 1903년 왕의영으로부터 전해들은 갑골에 대한 이야기와 갑골편을 선별해 <철운장귀(鐵雲藏龜)>라는 최초의 갑골문에 관한 책을 펴냈다.<br />
왕의영이 감정했던 당시만 해도 이런 갑골이 어디에서 출토 되었으며, 그것의 성질에 대해서는 전혀 알 길이 없었다. 1908년애 이르러서야 라진옥(羅振玉)이 처음으로 갑골의 출토지점이 하남성 안양(安陽)의 은허(殷墟)라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이어서 그와 왕국유(王國維)는 은허라는 곳이 바로 상나라의 후기 수도였다는 사실을 고증해 내었다. 갑골의 발견과 은허의 성질에 대한 추정은 드디어 1928년부터 은허에 대한 대대적이고도 종합적인 발굴이 이루어지도록 했으며, 중앙연구원 역사연구소에서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총 15차례에 걸친 발굴을 했다. 이 은허의 대대적인 발굴은 바로 중국 현대고고학의 시발점이 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갑골의 발굴은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고고학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발굴 결과 은허에서는 상나라 때의 갑골이 대량으로 발견되었으며, 은허는 원수(洹水) 남쪽 강변의 소둔(小屯)마을을 중심으로 하여 그 면적이 약 24 ㎢에 이르는 대형 유적지였다. 이곳은 일찍이 북송시기 때부터 이미 명문을 지닌 상나라 때의 청동기가 출토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는 곳이기도 했다.<br>
+
왕의영이 감정했던 당시만 해도 이런 갑골이 어디에서 출토 되었으며, 그것의 성질에 대해서는 전혀 알 길이 없었다. 1908년에 이르러서야 라진옥(羅振玉)이 처음으로 갑골의 출토지점이 하남성 안양(安陽)의 [[은허]](殷墟)라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이어서 그와 왕국유(王國維)는 은허라는 곳이 바로 [[상]]나라의 후기 수도였다는 사실을 고증해 내었다. 갑골의 발견과 은허의 성질에 대한 추정은 드디어 1928년부터 은허에 대한 대대적이고도 종합적인 발굴이 이루어지도록 했으며, 중앙연구원 역사연구소에서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총 15차례에 걸친 발굴을 했다.<br />
1953년 정주의 이리강(二里崗)상나라 유적지에서도 상나라 때의 갑골이 발견되었고, 이곳에서 발견된 갑골 중 2편에서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하지만 글자가 새겨진 갑골의 수가 너무 적어 문구를 해독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이는 발굴이 아닌 채집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오늘날 상나라 때의 갑골 연구는 은허에서 출토된 갑골이 실제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정주 지역의 갑골의 발견은 상나라 때의 갑골문이 은허 지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다. 그 이후, 주나라 유적지에서도 서주시대의 갑골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1954년 산동성 홍동현의 방퇴 마을을 시작으로 북경 창평현의 백부, 섬서성 장안현의 풍호 유적지, 부풍현과 기산현 사이에 광범위하게 위치한 주원(周原)유적지 등 지금까지 모두 네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그중에서도 1977년부터 출토된 주원 유적지에서 발견된 수량이 가장 많다. 기산현의 봉추 마을에서 출토된 갑골은 무려 1만여 편에 이르며, 그 중 글자가 새겨진 것만 해도 3백여 편에 달한다. 서주 갑골문의 발견은 갑골학 연구의 범위를 한층 확대시켜 주었다.
+
이 은허의 대대적인 발굴은 바로 중국 현대고고학의 시발점이 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갑골의 발굴은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고고학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발굴 결과 은허에서는 상나라 때의 갑골이 대량으로 발견되었으며, 은허는 원수(洹水) 남쪽 강변의 소둔(小屯)마을을 중심으로 하여 그 면적이 약 24 ㎢에 이르는 대형 유적지였다. 이곳은 일찍이 [[북송]]시기 때부터 이미 명문을 지닌 상나라 때의 청동기가 출토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는 곳이기도 했다.<br />
 +
 
 +
1953년 정주의 이리강(二里崗)상나라 유적지에서도 상나라 때의 갑골이 발견되었고, 이곳에서 발견된 갑골 중 2편에서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하지만 글자가 새겨진 갑골의 수가 너무 적어 문구를 해독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이는 발굴이 아닌 채집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오늘날 상나라 때의 갑골 연구는 은허에서 출토된 갑골이 실제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정주 지역의 갑골의 발견은 상나라 때의 갑골문이 은허 지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다. <br />
 +
그 이후, 주나라 유적지에서도 서주시대의 갑골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1954년 산동성 홍동현의 방퇴 마을을 시작으로 북경 창평현의 백부, 섬서성 장안현의 풍호 유적지, 부풍현과 기산현 사이에 광범위하게 위치한 주원(周原)유적지 등 지금까지 모두 네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그중에서도 1977년부터 출토된 주원 유적지에서 발견된 수량이 가장 많다. 기산현의 봉추 마을에서 출토된 갑골은 무려 1만여 편에 이르며, 그 중 글자가 새겨진 것만 해도 3백여 편에 달한다. 서주 갑골문의 발견은 갑골학 연구의 범위를 한층 확대시켜 주었다.

2018년 10월 1일 (월) 13:16 판

갑골문의 발견시점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1898년과 1899년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다. 즉, 글자가 있는 갑골의 발견은 1898년 후기에 이루어졌으며, 골동상들이 일부 갑골 조각을 천진의 맹정생(孟定生)과 왕양(王襄,1876~1965)등에게 가져다 보였는데 그들은 그것을 고대의 죽간으로 여겼다. 그 후 1899년 저명한 금석학자였던 왕의영(王懿榮,1845~1900)에 의해 이것이 거북 딱지에 새겨진 문자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갑골이라는 것이 세상에 비로소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당시 금석학자(金石學者)였던 왕의영은 병에 걸려 약재를 사서 병을 치료하고 있었다. 한약방에서 조제해 온 약재에는 '용골(龍骨)'이라는 뼈 조각이 있었다. 그런데 그 '용골'이라는 뼈에는 자신이 연구하던 금문과 비슷한 문자의 흔적을 발견했다.그는 바로 한약방에 '용골'을 판매한 약재상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고 얼마 후 한약방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산동(山東)의 골동상 범유경(范維卿)은 12관의 '용골', 즉 갑골을 가지고 베이징의 왕의영을 찾아왔다. 왕의영은 그 갑골에 새겨진 문자를 보고 감정한 결과 금문보다 훨씬 앞선 상나라 시대의 문자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왕의영은 1900년에도 범유경와 조집제(趙執齊)로부터 수천 편의 갑골을 구입했다. 그러나 왕의영은 그해 사망을 했고, 그가 갖고 있있던 갑골은 그의 제자인 유악(劉鶚)이 입수했다. 유악은 1903년 왕의영으로부터 전해들은 갑골에 대한 이야기와 갑골편을 선별해 <철운장귀(鐵雲藏龜)>라는 최초의 갑골문에 관한 책을 펴냈다.
왕의영이 감정했던 당시만 해도 이런 갑골이 어디에서 출토 되었으며, 그것의 성질에 대해서는 전혀 알 길이 없었다. 1908년에 이르러서야 라진옥(羅振玉)이 처음으로 갑골의 출토지점이 하남성 안양(安陽)의 은허(殷墟)라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이어서 그와 왕국유(王國維)는 은허라는 곳이 바로 나라의 후기 수도였다는 사실을 고증해 내었다. 갑골의 발견과 은허의 성질에 대한 추정은 드디어 1928년부터 은허에 대한 대대적이고도 종합적인 발굴이 이루어지도록 했으며, 중앙연구원 역사연구소에서 1928년부터 1937년까지 총 15차례에 걸친 발굴을 했다.
이 은허의 대대적인 발굴은 바로 중국 현대고고학의 시발점이 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갑골의 발굴은 중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고고학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발굴 결과 은허에서는 상나라 때의 갑골이 대량으로 발견되었으며, 은허는 원수(洹水) 남쪽 강변의 소둔(小屯)마을을 중심으로 하여 그 면적이 약 24 ㎢에 이르는 대형 유적지였다. 이곳은 일찍이 북송시기 때부터 이미 명문을 지닌 상나라 때의 청동기가 출토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는 곳이기도 했다.

1953년 정주의 이리강(二里崗)상나라 유적지에서도 상나라 때의 갑골이 발견되었고, 이곳에서 발견된 갑골 중 2편에서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하지만 글자가 새겨진 갑골의 수가 너무 적어 문구를 해독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이는 발굴이 아닌 채집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오늘날 상나라 때의 갑골 연구는 은허에서 출토된 갑골이 실제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정주 지역의 갑골의 발견은 상나라 때의 갑골문이 은허 지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다.
그 이후, 주나라 유적지에서도 서주시대의 갑골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1954년 산동성 홍동현의 방퇴 마을을 시작으로 북경 창평현의 백부, 섬서성 장안현의 풍호 유적지, 부풍현과 기산현 사이에 광범위하게 위치한 주원(周原)유적지 등 지금까지 모두 네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그중에서도 1977년부터 출토된 주원 유적지에서 발견된 수량이 가장 많다. 기산현의 봉추 마을에서 출토된 갑골은 무려 1만여 편에 이르며, 그 중 글자가 새겨진 것만 해도 3백여 편에 달한다. 서주 갑골문의 발견은 갑골학 연구의 범위를 한층 확대시켜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