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鼖"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語源== 갑골문의 ‘(鼖)’자는 큰 북을 나타낸다.『說文』에서는 “大鼓謂之鼖。鼖八尺而兩面。큰 북을 ‘鼖’이라고 한다. 8척 크기이...)
 
(語源)
1번째 줄: 1번째 줄:
 
==語源==
 
==語源==
 +
[[파일:큰 북.PNG|600픽셀|오른쪽]]
 
갑골문의 ‘(鼖)’자는 큰 북을 나타낸다.『說文』에서는 “大鼓謂之鼖。鼖八尺而兩面。큰 북을 ‘鼖’이라고 한다. 8척 크기이고 양면이다.”라 하며 ‘鼖’자를 풀이하고 있다. 唐蘭의 주장에 따르면, 표에 제시된 갑골문자형들이 ‘鼖’의 본래 형태라고 하였으며, 글자의 윗부분은 북 장식이 많은 것을 표현함으로써 큰 북을 나타낸 것이라 주장하였다.
 
갑골문의 ‘(鼖)’자는 큰 북을 나타낸다.『說文』에서는 “大鼓謂之鼖。鼖八尺而兩面。큰 북을 ‘鼖’이라고 한다. 8척 크기이고 양면이다.”라 하며 ‘鼖’자를 풀이하고 있다. 唐蘭의 주장에 따르면, 표에 제시된 갑골문자형들이 ‘鼖’의 본래 형태라고 하였으며, 글자의 윗부분은 북 장식이 많은 것을 표현함으로써 큰 북을 나타낸 것이라 주장하였다.
 
반면, 李純一이순일은 唐蘭과 달리 이 자형이 큰 북의 정면이 아니라 측면을 형상화 한 것이고, 윗부분은 장식이 많은 것이 아니라 북을 매다는 밧줄이 많은 것이라고 하였다. 만일 큰 북을 하나의 밧줄로 매단다면 북을 두드릴 때 흔들리고 불안정할 것이다. 따라서 2, 3개의 밧줄을 사용했는데, 李純一은 이 형태가 글자에 상형적으로 반영되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ref>실제 매달 수 있는 형태의 鼓가 출토된 바 있기도 하다.</ref> 李純一, <ref>『中國上古出土樂器總論』, 北京: 文物出版社, 1996, p.4.</ref>
 
반면, 李純一이순일은 唐蘭과 달리 이 자형이 큰 북의 정면이 아니라 측면을 형상화 한 것이고, 윗부분은 장식이 많은 것이 아니라 북을 매다는 밧줄이 많은 것이라고 하였다. 만일 큰 북을 하나의 밧줄로 매단다면 북을 두드릴 때 흔들리고 불안정할 것이다. 따라서 2, 3개의 밧줄을 사용했는데, 李純一은 이 형태가 글자에 상형적으로 반영되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ref>실제 매달 수 있는 형태의 鼓가 출토된 바 있기도 하다.</ref> 李純一, <ref>『中國上古出土樂器總論』, 北京: 文物出版社, 1996, p.4.</ref>
 +
 
==文化==
 
==文化==
 
종교적 제의의 영향력과 중요성이 아주 컸던 상대에는 여러가지 악기를 활용하였고, 그런 만큼 크기나 모양에 따라 명칭을 달리 했다. 여기서의 큰 북 鼖도 이런 맥락에서 파생된 글자라고 할 수 있다.
 
종교적 제의의 영향력과 중요성이 아주 컸던 상대에는 여러가지 악기를 활용하였고, 그런 만큼 크기나 모양에 따라 명칭을 달리 했다. 여기서의 큰 북 鼖도 이런 맥락에서 파생된 글자라고 할 수 있다.

2018년 12월 16일 (일) 20:58 판

語源

큰 북.PNG

갑골문의 ‘(鼖)’자는 큰 북을 나타낸다.『說文』에서는 “大鼓謂之鼖。鼖八尺而兩面。큰 북을 ‘鼖’이라고 한다. 8척 크기이고 양면이다.”라 하며 ‘鼖’자를 풀이하고 있다. 唐蘭의 주장에 따르면, 표에 제시된 갑골문자형들이 ‘鼖’의 본래 형태라고 하였으며, 글자의 윗부분은 북 장식이 많은 것을 표현함으로써 큰 북을 나타낸 것이라 주장하였다. 반면, 李純一이순일은 唐蘭과 달리 이 자형이 큰 북의 정면이 아니라 측면을 형상화 한 것이고, 윗부분은 장식이 많은 것이 아니라 북을 매다는 밧줄이 많은 것이라고 하였다. 만일 큰 북을 하나의 밧줄로 매단다면 북을 두드릴 때 흔들리고 불안정할 것이다. 따라서 2, 3개의 밧줄을 사용했는데, 李純一은 이 형태가 글자에 상형적으로 반영되었다고 판단한 것이다. [1] 李純一, [2]

文化

종교적 제의의 영향력과 중요성이 아주 컸던 상대에는 여러가지 악기를 활용하였고, 그런 만큼 크기나 모양에 따라 명칭을 달리 했다. 여기서의 큰 북 鼖도 이런 맥락에서 파생된 글자라고 할 수 있다.

출처

김혜진, 「甲骨文을 통해서 본 商代의 音樂과 舞踊,」,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pp.36.

国学大师,贲, 賁,鼖에 대한 설명 <http//m.guoxuedashi.com/xiangxingzi/36bk/>

  1. 실제 매달 수 있는 형태의 鼓가 출토된 바 있기도 하다.
  2. 『中國上古出土樂器總論』, 北京: 文物出版社, 1996, p.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