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壎"의 두 판 사이의 차이
(→語源) |
(→語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語源== | ||
− | [[파일:질나발훈.png| | + | [[파일:질나발훈.png|600픽셀|오른쪽]] |
商代의 출토악기 중에는 壎(塤)이 있는데, 아직 갑골문에서 壎을 가리키는 것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 다만 여러가지 학설들이 존재하는데, 그 일부는 다음과 같다. | 商代의 출토악기 중에는 壎(塤)이 있는데, 아직 갑골문에서 壎을 가리키는 것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 다만 여러가지 학설들이 존재하는데, 그 일부는 다음과 같다. | ||
2018년 12월 16일 (일) 21:35 판
語源
商代의 출토악기 중에는 壎(塤)이 있는데, 아직 갑골문에서 壎을 가리키는 것으로 확정된 것은 없다. 다만 여러가지 학설들이 존재하는데, 그 일부는 다음과 같다.
宋鎮豪는 갑골복사의 기록 [1] 중 피리 모양의 글자가 壎을 나타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 글자 역시‘奏’자와 함께 등장하고 있으므로 악기 명칭인데, 이 글자의 윗부분은 입으로 부는 구멍 모양을 나타낸 것으로 주장된다. 따라서 도기 재질의 號角 혹은 壎 종류의 취주악기였을 것이라는 게 그 주장의 요지다. [2]
唐健垣이라는 학자는, 다음의 글자가 갑골문자형이었음을 주장한다. 상대의 塤은 5개의 음공이 있는데 그 중 세 개가 앞에 있다. 2개는 위에, 1개는 아래 있어 사람의 눈코입을 묘사한 듯한 형상이 된다. [3] 이를 단순화하면 品의 형이 된다. 또 그것을 간략화하여 구 대의 음공만을 사용하거나 뒤집은 형태, 오늘날 品으로 보이는 형상로 사용하기도 했다. 광동어의 방언연구에 따르면 塤(fen)과 品(ben)으로 끝이 en으로 끝날뿐 아니라 현 중국어의 f는 周 시대에는 b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두 단어는 塤을 나타내는 하나의 단어였으리라는 것이다. 더불어 고전 중국어에서 品은 입으로 연주하거나 음미하다는 뜻이다. 이 또한 品이 塤에서 발전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4]
출토
河南 輝縣 琉璃閣 150호 殷墓의 陶壎은 아랫부분이 평평하고 壎의 몸체가 계란형으로 되어있다. 壎이 세 개 있는데 하나가 크고 두 개는 작으며, 5개의 指孔을 열어 8개의 반음을 연속으로 연주할 수 있다. 이처럼 商代에 이미 이러한 질나팔의 제작이 규격화 되었고, 이렇듯 구조가 평면바닥에 계란형으로 정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언급
곽박, 『이아』(석악)에 의하면 "壎은 흙으로 만든다". "큰 壎은 嘂라 칭한다, 큰 것은 거위알만한데 위는 뾰족하고 아래는 평평하여 저울추모양이고 구멍이 6개이며, 작은 것은 달걀만하다고 하였다. 최초에는 구멍이 한 개 뿐이었으나 후에 증가했다." 라고 하고 있다. 塤은 篪(저이름 지)와 더불어 아악에서 사용하였는데, 화음이 좋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