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의 제국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번째 줄: | 7번째 줄: | ||
==중국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 ==중국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 ||
− | 2차대전 이전 시기 미국의 중국사 연구는 서양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건들만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편전쟁, 태평천국운동, 의화단운동, 조계지의 생활이나 제도 등이 그러하였다. 이들은 '''근대적'''인것이 곧 '''서양적'''인 것이라 보았고, '''서양적'''인 것은 '''중요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들은 중국어 사료를 읽을 능력이 없었다. 2차 대전이 끝난 이후, 중국 현지에서 연구를 하던 전문 연구자들에 의해 기초가 마련되고 중국 연구가 비로소 학문으로서의 특을 갖추게 되었다. 중국어 교육이 개선되었으며 중문으로된 1차 자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는 중국 근현대사의 틀을 결정하는데 있어 '''서양이 침입이 수행한 역할을 압도적으로 강조'''하였다. 특히 이 시기 주요 쟁점은 1. <u>서양의 중격과 중국의 반응</u> 과 2. <u>중국의 전통적인 문화와 사회에 가해진 근대화의 충격</u>이었다. <br> | + | 2차대전 이전 시기 미국의 중국사 연구는 서양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건들만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편전쟁]], 태평천국운동, [[의화단운동]], 조계지의 생활이나 제도 등이 그러하였다. 이들은 '''근대적'''인것이 곧 '''서양적'''인 것이라 보았고, '''서양적'''인 것은 '''중요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들은 중국어 사료를 읽을 능력이 없었다. 2차 대전이 끝난 이후, 중국 현지에서 연구를 하던 전문 연구자들에 의해 기초가 마련되고 중국 연구가 비로소 학문으로서의 특을 갖추게 되었다. 중국어 교육이 개선되었으며 중문으로된 1차 자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는 중국 근현대사의 틀을 결정하는데 있어 '''서양이 침입이 수행한 역할을 압도적으로 강조'''하였다. 특히 이 시기 주요 쟁점은 1. <u>서양의 중격과 중국의 반응</u> 과 2. <u>중국의 전통적인 문화와 사회에 가해진 근대화의 충격</u>이었다. <br> |
+ | 60년대에 이르러 위에 충격-반응 접근법과 근대화 접근법은 비판을 받게 되는데, 그 이유는 서양의 역할을 과장한다는 것이 아닌 서양에 대한 중국인의 저항을 부정적으로만 파악했다는 것이었다. 이들은 서양의 제국주의가 중국의 발전에 끼친 부정적이고 방해적인 효과를 분명히 하려고 하였다. 이들은 아편전쟁, 의화단운동 등에 대해 재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중국의 역사가 '''본래 걸었어야 할 역사'''를 어떻게 제국주의가 방해하고 왜곡하였는가를 보려고 하였다. <br> | ||
− | + | 코헨은 위 세 가지 접근법은 서로 다르지만 중국 근현대사 인식 속에 서양중심적인 왜국을 심어주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고 본다. | |
+ | |||
+ | 서양에 | ||
+ | |||
2019년 1월 14일 (월) 15:37 판
개요
학문의 제국주의는 웰즐리 칼리지의 역사학 교수이자 하버드 대학교 페어뱅크 센터 연구위원인 폴,A코헨이 지은 책이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중국역사학계가 중국사를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그는 1980년대 『학문의 제국주의(Discovering History In China)』를 저술한다. 1950년대와 60년대의 주류였던 접근법은 (그가 지적하기로) 총 3가지이다. 첫 번째는 충격-반응 접근법. 두 번째는 근대화(전통-근대)접근법, 세 번째는 제국주의(제국주의와 혁명) 접근법이다. 그는 이를 서구중심적인 편견으로 바라보았고, 이를 교정하기 위해 '중국 자신에 입각한(China-centered) 접근법'이라고 이름 붙인 새로운 시각을 제안하였다. '중국 자신에 입각한(China-centered) 접근법'의 특징은 서구 역사로부터 비롯된 일련의 기대(즉, 근대화나 자유주의, 민주주의 등)보다는 중국의 역사적 궤적과 자신들의 문제에 대한 중국인들의 인식에 더 긴밀한 관심을 기울이는 접근법으로, 중국사 자체의 맥락에서 중국사를 이해하기 위해 진지한 노력을 하는 접근법이다. [1]
애초에 코헨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저술한 도서이기 때문에 읽기가 만만하지 않다. 중국 역사에 대한 어느 정도의 배경이 있다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중국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2차대전 이전 시기 미국의 중국사 연구는 서양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건들만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편전쟁, 태평천국운동, 의화단운동, 조계지의 생활이나 제도 등이 그러하였다. 이들은 근대적인것이 곧 서양적인 것이라 보았고, 서양적인 것은 중요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들은 중국어 사료를 읽을 능력이 없었다. 2차 대전이 끝난 이후, 중국 현지에서 연구를 하던 전문 연구자들에 의해 기초가 마련되고 중국 연구가 비로소 학문으로서의 특을 갖추게 되었다. 중국어 교육이 개선되었으며 중문으로된 1차 자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는 중국 근현대사의 틀을 결정하는데 있어 서양이 침입이 수행한 역할을 압도적으로 강조하였다. 특히 이 시기 주요 쟁점은 1. 서양의 중격과 중국의 반응 과 2. 중국의 전통적인 문화와 사회에 가해진 근대화의 충격이었다.
60년대에 이르러 위에 충격-반응 접근법과 근대화 접근법은 비판을 받게 되는데, 그 이유는 서양의 역할을 과장한다는 것이 아닌 서양에 대한 중국인의 저항을 부정적으로만 파악했다는 것이었다. 이들은 서양의 제국주의가 중국의 발전에 끼친 부정적이고 방해적인 효과를 분명히 하려고 하였다. 이들은 아편전쟁, 의화단운동 등에 대해 재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중국의 역사가 본래 걸었어야 할 역사를 어떻게 제국주의가 방해하고 왜곡하였는가를 보려고 하였다.
코헨은 위 세 가지 접근법은 서로 다르지만 중국 근현대사 인식 속에 서양중심적인 왜국을 심어주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고 본다.
서양에
시기 접근법(쟁점) 비판 2차 대전 이후 충격-반응 접근법 2차 대전 이후 근대화 접근법 1960년대 제국주의와 관련된 접근법
서양의 충격-중국의 반응
전통과 근대성
제국주의와 혁명
비판과 한계
비판
물론, 폴 코헨의 관점에 대해 많은 역사학자들이 비판을 가해왔다. 주요 비판은 다음과 같다.
- 마이클 개스터(Michael Gaster)
"단일적이고 통합된 중국이라는 옛 그림 대신 다양한 중국이라는 새 그림을 수용하기 위해서 어떤 분석적 도구를 개발하고 있는가"
- 대니스 그래플린(Dennis Grafflin)
"일단 중국을 시간, 공간, 문화, 사회 등에 따라 해체해버린다면, 코헨이 요구하는 중국 자신에 입각한 역사 서술이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 중국을 다시 묶어야 하지 않을까?"
- 필자의 생각
"기존의 주류 관점에서 탈피하여 접근한다는 점에는 의의가 있지만, '중국 자신에 입각한 접근법'이 에서의 '중국'은 어떤 것을 이야기 하는가. 광대한 영토의 중국은 지역마다 기억하는 역사가 다를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은 누구를 대표하게 되는가. 지역적으로 볼 때, 민족을 고려하여 볼 때, 중국은 베이징인가? 한족인가? "
코헨의 반론
"2차 대전이후, 20년동안 인문학 전체에서는 중국을 일반화하는 작업에 지나치게 치중되어 있었다. 이는 그것을 바로잡으려는 시도이다."
"물론 중국에서의 이질적인 성격의 민족들에게는 중국 자신에 입각한 접근법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다. 하지만 좀 더 동화된 경우에는 들어맞을 것이다. 또한 이 접근법의 핵심적인 특징은, 중국 세계를 보다 작고, 보다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부분적인 단위들로 나누고, 또 그렇게 해서 종교, 인종, 그리고 사회적 차이를 포함한 지역적인 변형의 전체적인 범주를 더 긴밀하고 용이하게 탐구함으로써 중국의 방대한 다양성과 복합성에 적절하게 대처하려는 것이다.[2]"
"모든 사례에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은 맞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법은 중국에 관한 역사적인 연구의 상당히 실질적인 부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때문에 여전히 유용하다고 생각한다.[3] "
한계
중국 자신에 입각한 접근법이 가지는 한계는 무엇보다 이러한 접근법으로 설명되지 않는 역사적 사실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우선 중국사를 넘어서는 것들, 예컨대 주변 국가와의 관계사나 비교사 등은 단순히 중국 자신에 입각한 접근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한족이 아닌 그룹인 소수민족에 관한 연구 또한 중국 자신에 입각한 분석으로 잘 설명되지 않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