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69번째 줄: 69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1. 구성희,「한 권으로 읽는 중국여성사」, 2012, 이담북스<br>
 +
2. 중국사학회 엮음/강영매 옮김,「중국역사박물관5」, 2004, 범우사<br>
 +
3. 장숙연 지음/이덕모 옮김,「중국을 뒤흔든 불멸의 여인들2」, 2011, 글누림출판사<br>
 +
4. 민관동,「삼국지 인문학」, 2018, 학고방<br>
 +
5. [https://baike.baidu.com/item/%E6%9D%A8%E7%8E%89%E7%8E%AF/403348?fromtitle=%E6%9D%A8%E8%B4%B5%E5%A6%83&fromid=32218#9 杨玉环]<br>
 +
 
==각주==
 
==각주==
 
[[분류:당나라| ]]
 
[[분류:당나라| ]]
  
 
[[분류:인물]]
 
[[분류:인물]]

2019년 6월 25일 (화) 10:44 판

양귀비 (楊貴妃)

본명 양옥환 (楊玉環)
출생 719년
국적 당나라
별칭 비구니 시절 법명은 태진(太眞)
직업 당 현종의 후궁
배우자 수왕 이모→당 현종
친척 양국충(사촌), 양현교(숙부)

개요

양귀비는 당나라 때 현종의 귀비로 "경국지색(傾國之色)"으로 알려진 여인이다. 그는 절세미인에 총명했으며, 세계 3대 미녀, 중국 4대 미인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

생애

출생

양귀비는 본명을 양옥환(楊玉環)이라고 하며, 719년 당나라 촉주(蜀州)[1]에서 태어나 포주(蒲州)의 영락(永樂)[2]에서 자랐다.
양옥환의 부친 양현염(楊玄琰)과 모친은 양옥환이 어렸을 때 죽어서 양옥환은 하남성 낙양에서 하급관리를 하던 숙부 양현교(楊玄璬) 의 집에서 얹혀살게 되었다. 숙부는 가정교육에 엄격해 사서삼경을 가르치고 양옥환은 많은 시문을 외웠다. 어려서부터 뛰어난 미모와 음률, 가무에도 재주가 있었다.

왕비 시절

당시 현종무혜비 사이에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수왕 이모라고 했다. 수왕은 양옥환의 미모에 빠져 구애를 하였고, 양옥환은 수왕의 비가 되었다.

귀비 시절

개원 24년(736년), 무혜비가 서거하였다. 현종은 나이가 61세가 되던 해, 우연히 그의 며느리인 양옥환을 만났으며, 그의 아름다움에 빠지게 되었다. 현종은 양옥환이 자신에 아들의 비임에도 불구하고 그를 손에 넣었으며, 양옥환은 귀비가 되었다.
양옥환이 귀비가 되자 양씨 일종은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양옥환의 오빠 두 명이 관직을 받았고, 언니 3명은 부인에 봉해졌다. 먼 당형제인 양조는 금위군참군에 봉하였다. 양조는 훗날에 재상에 지위까지 올랐는데 이가 바로 양귀비의 외척 양국충이다. 양옥환과 현종은 음악을 좋아하여 자주 술을 마시며 가무를 즐겼다. 현종은 당나라가 위기에 직면하고 있어도 정치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양옥환과 함께 음주가무를 즐겼다.
또한 양옥환과 현종에는 수양아들이 있었다. 그는 안록산이라는 사람이인데, 당시 북부 변경의 군권을 장악하고 있으며, 양옥환보다 10세나 나이가 많았다.

서거

755년 안록산은 ‘간신 양국충을 주벌한다’는 명분으로 범양[3]에서 군사를 일으키고 남하하여 장안으로 향했다. 756년 6월 수도를 방어하는 최후의 거점을 함락하였다(안사의 난). 현종과 양옥환, 양국충 일족, 태자부부, 황족과 환관은 병사의 호위를 받아서 은밀히 궁을 빠져나가 촉으로 도망갔다. 다음 날 현종 일행이 장안 서쪽의 마외파라는 곳에 이르렀을 때 호위하던 병사들이 이번 전쟁의 원인이 된 양국충과 양귀비를 죽여야 한다고 요구했다. 신하들의 요구에 현종도 결단을 내릴 수 밖에 없었다. 현종은 양귀비를 껴안으며 이별을 한 뒤 신하인 고력사에게 그녀를 죽이라고 명령하였다. 양옥환은 현종이 무사한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하면서 비단에 목을 매달아 생을 마감했으니, 이때 양옥환은 38세였다.

수화(羞花)

"浸魚落雁,閉月羞花"
폐월수화는 침어낙안(浸魚落雁)의 대구로 쓰는 고사성어이다.
폐월은 <<삼국지>>의 초선을 지칭하는 말이며, 수화는 양옥환의 별칭이다. 수화는 꽃이 부끄러워한다는 뜻으로 그만큼 양옥환이 아름다웠던 것을 표현한 말이다.
양옥환은 수왕의 비가 된 후 궁궐에서 살게 되었으며 고향을 그리워하였다. 어느 날 그녀는 화원에서 꽃을 감상하다 마음이 산란해져 꽃을 향해 말했다. “나는 어느 세월에 세상에 나설 수 있을까?” 말을 마치고 나니 눈물이 흘렀다. 그녀가 꽃을 한 번 만지니 꽃은 이내 시들어 버리고, 잎은 오그라들었다. 이 모습을 한 궁녀가 보았는데 그는 “양옥환이 꽃과 아름다움을 견주니 꽃도 부끄러워서 고개를 숙인다”고 하였다. ‘수화’라는 말은 이에 유래한다.

평가

양귀비는 흔히 “경국지색(傾國之色)”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아름다움 때문에 나라를 기울게 하였다고 평가를 받는다. 양옥환의 미모에 빠진 현종이 정치를 잘 못한 것이 원인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종의 사치한 생활이 나라를 망치게 할 정도로 중대한 문제였는지 확실하지 않다. 오히려 현종의 시기에는 당나라 초기에 비해서 세 배나 증가한 호가 기록되어 있으며, 중앙정부의 통제는 강화되어 있었다. 당 나라 때 정부는 전통적인 통치방식을 벗어나서 통치공식을 만들고 이를 강제로 확대 적용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관료들의 반발이 나타났다. 또한 정부는 새롭게 변화된 환경에 걸맞은, 숫자를 통한 관리를 제대로 실시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이 당나라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당나라의 멸망은 그 원인을 양옥환에게 뒤집어씌운 것이다.[4]

유적

양귀비 무덤.jpg

무덤

양옥환의 무덤은 산시성(陝西省) 함양(咸陽) 흥평시(興平市) 에서 서쪽으로 500 미터 지점에 있다. 무덤은 반구형이고 높이는 3 미터이며, 전체 무덤은 푸른 벽돌로 덮여 있습니다. 무덤 뒤 약 6m에 달하는 양옥환의 대리석 동상이 있다.



화청지(華淸池)

화청지.jpg

화청지는 산시성(陝西省)에 있는 여산(驪山) 서북 기슭에 위치한다. 당 태종이 탕천궁(湯泉宮)을 건설하였고, 현종이 궁을 확장해서 화청궁(華淸宮)으로 개명했다.궁전이 온천에 건립되었기에 화청지라고도 한다. 현종은 매년 음력 10월에 양귀비를 데리고 이곳에 와서 겨울을 지냈다.



관련 작품

청평조사 삼수(淸平調詞三首)

청평조사 삼수는 이백이 지은 악부시로, 제1수는 모란과 양옥환의 아름다움을 비교하고, 제2수는 총애 받는 양옥환을 표현하고, 재3수는 현종과 양옥환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제1수>
雲想衣裳花想容 웃은 꽃구름 같고, 얼굴은 꽃을 생각케 하네.
春風拂檻露華濃 봄바람이 스치니 난간의 이슬이 더욱 영롱해진다.
若非群玉山頭見 군옥산을 처음 보는 것이 아니라면
會向瑤臺月下逢 달밤에 요대를 마주하고 만나게 되리.
<제2수>
一枝濃艶露凝香 한 가지 이슬 먹은 붉은 모란이 향기로 응결되니 雲雨巫山枉斷腸 운남의 무산신녀를 보지 못해 간장이 끊어진다. 借問漢宮誰得似 묻노니 한나라 궁에 그 누가 비슷하기라도 할쏘냐? 可憐飛燕倚新粧 가련한 비연[5]도 다시 화장해야 하리.
<제3수>
名花傾國兩相歡 명화와 경국의 미인이 함께하니 더욱 아름다워
長得君王帶笑看 오래도록 군왕이 웃으며 보네.
解釋春風無限恨 끝없는 한을 봄바람이 해소하리
沈香亭北倚欄干 침향정 북쪽 난간에 (황제와 귀비가) 기대어 있네.

기타

  • 그녀의 키는 155cm였는데 몸무게가 65kg에 달했다고 한다. 아주 건강한 체형이다.
  • 역사서의 기록에 따르면, 양귀비는 전족의 영향으로 현종의 발 위에서 놀 수 있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1. 구성희,「한 권으로 읽는 중국여성사」, 2012, 이담북스
2. 중국사학회 엮음/강영매 옮김,「중국역사박물관5」, 2004, 범우사
3. 장숙연 지음/이덕모 옮김,「중국을 뒤흔든 불멸의 여인들2」, 2011, 글누림출판사
4. 민관동,「삼국지 인문학」, 2018, 학고방
5. 杨玉环

각주

  1. 현 산서성 성도
  2. 현 산서성 영제
  3. 현 베이징 서남쪽
  4. 구성희, 『한 권으로 읽는 중국여성사』 참고
  5. 한나라 성제의 애비로 황후가 된 조비연(趙飛燕)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