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律"의 두 판 사이의 차이
(→語源) |
(→語源)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파일:법 률.png|500픽셀|오른쪽]] | [[파일:법 률.png|500픽셀|오른쪽]] | ||
갑골문에서, 길과 손에 붓을 쥔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을 만들기 위해 붓으로 도면을 그리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길을 건설하는 데 일정한 규범이 있었으므로 '규범'. '규율'을 의미하게 된다.<br> | 갑골문에서, 길과 손에 붓을 쥔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을 만들기 위해 붓으로 도면을 그리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길을 건설하는 데 일정한 규범이 있었으므로 '규범'. '규율'을 의미하게 된다.<br> | ||
− | 王祥之의 또다른 해석이 있다. 聿은 붓이고, 책에 쓰여진 법률 조문을 의미한다. 彳는 집행을 공포할 것을 의미한다. 즉 책에 쓰여진 법률 | + | 王祥之의 또다른 해석이 있다. 聿은 붓이고, 책에 쓰여진 법률 조문을 의미한다. 彳는 집행을 공포할 것을 의미한다. 즉 책에 쓰여진 법률 조문 집행을 공포하는 것을 의미한다. <ref>王祥之, 『图解汉字起源』,北京大学出版社, 2009, p.114</ref> |
==文化== | ==文化== |
2019년 12월 8일 (일) 12:44 기준 최신판
語源
갑골문에서, 길과 손에 붓을 쥔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길을 만들기 위해 붓으로 도면을 그리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길을 건설하는 데 일정한 규범이 있었으므로 '규범'. '규율'을 의미하게 된다.
王祥之의 또다른 해석이 있다. 聿은 붓이고, 책에 쓰여진 법률 조문을 의미한다. 彳는 집행을 공포할 것을 의미한다. 즉 책에 쓰여진 법률 조문 집행을 공포하는 것을 의미한다. [1]
文化
마차가 발명되자 빠르고 쉽게 나아가기 위해, 특히 명령의 신속한 전달과 군사적 목적을 위해 평탄하고 곧게 길을 만들어야만 했었다. 따라서 길을 건설하는데의 생기는 일정한 규범, 규율을 의미한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