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주대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어떤 착각에 빠져 되지도 않을 일을 공연히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이다.<br> 春...)
(차이 없음)

2016년 2월 16일 (화) 17:12 판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어떤 착각에 빠져 되지도 않을 일을 공연히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春秋時代 宋나라에 한 농부가 밭을 갈고 있었는데 토끼 한 마리가 달려오더니 밭 가운데 있는 나무에 부딪히고는 목이 부러져 죽었다. 이 일로 뜻밖의 횡재를 얻은 농부는 토끼가 또 그렇게 부딪히기를 기다리며 아예 농기구도 내팽개치고 나무를 지켰다. 하지만 두 번 다시 토끼를 얻지 못했고, 온 나라 사람들의 웃음거리만 되었다는 것이 韓非子 오두편에 나오는 수주대토에 얽힌 이야기이다.
한비자는 이 고사에 이어 ‘이제 선왕과 같은 정사로 백성을 다스리고자 한다면 나무그루를 지키는 것과 같다(今欲以先王之政治當世之民, 皆守株之類也)’며 요순(堯舜)의 이상적인 왕도정치를 시대에 뒤떨어진 사상이라고 주장하였다. 한비자가 살았던 시기는 戰國時代 말기인데, 이 때는 이전에 비해 기술도 진보하고 생산도 높아졌으며, 사회의 성격도 변해 있었다. 그런데도 정치가 중에는 옛날의 정치가 이상적이라 여기며 유가적 덕치를 중시하고, 낡은 제도로 돌아갈 것만을 주장하는 사람이 많았다. 한비자는 이 ‘수주대토’ 이야기로 언제까지나 낡은 습관에 묶여 세상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비꼬았던 것이고, 과거에 매달리지 말고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한비자는 ‘수주대토’를 이용하여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어 구습과 전례(前例)만 고집하는 것을 비판하였지만 지금 이 성어는 주도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우연한 행운 또는 불로소득을 기대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중국 고사성어 사전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