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語源== | | ==語源== |
| [[파일:나라 방.PNG|500픽셀|오른쪽]] | | [[파일:나라 방.PNG|500픽셀|오른쪽]] |
− | 형성자이다. 고을 읍(邑)이 의미부이고 예쁠 봉(丰)이 소리부로, 읍으로 둘러싸인 영토로 구성된 '나라'를 말했다. 갑골문에서는 밭(田)에 초목이 무성한(丰) 모습으로, 아직 개간되지 않은 새로운 땅을 의미했다.
| + | [[갑골문]]의 邦자는 밭 위로 나무를 심어 영토의 경계를 표시한 것이다. <br> |
| + | 밭(田)에 초목이 무성한(丰) 모습으로, 아직 개간되지 않은 새로운 땅을 의미한다는 주장도 있다. |
|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269</ref> | | <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269</ref> |
| | | |
2021년 4월 20일 (화) 14:41 판
語源
갑골문의 邦자는 밭 위로 나무를 심어 영토의 경계를 표시한 것이다.
밭(田)에 초목이 무성한(丰) 모습으로, 아직 개간되지 않은 새로운 땅을 의미한다는 주장도 있다.
[1]
文化
이후에 田이 邑으로 변해 제후들에게 새로 개척하도록 제공된 땅(封邑-봉읍)임을 상징했으며, 이로부터 봉건(封建)이라는 뜻도 나왔다. 이후 邦은 의미가 확대되어 '나라'까지 뜻하게 되었으나, 한나라에 들면서 태조 유방(劉邦)의 이름을 피하고자 같은 뜻인 나라 국(國)으로써 邦을 대신했고 國이 邦보다 더 유행하게 되었다.[2]
-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269
-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 2014, p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