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란문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거란대자)
43번째 줄: 43번째 줄:
 
<ref>吉池孝一, 契丹文字談義(契丹文字と東アジアの諸文字), 古代文字資料館発行『KOTONOHA』第 212 号, 2020, p.22</ref>
 
<ref>吉池孝一, 契丹文字談義(契丹文字と東アジアの諸文字), 古代文字資料館発行『KOTONOHA』第 212 号, 2020, p.22</ref>
  
[[파일:그림4.png|400px|섬네일|가운데]]
+
[[파일:그림4.png|400px|가운데]]
  
 
===거란소자===
 
===거란소자===

2022년 12월 16일 (금) 04:27 판

개요

거란어(契丹語)는 10~12세기에 걸쳐서, 현재의 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에 세운 요나라(遼=거란제국, 재위916-1125)에서 거란 민족이 사용된 언어다. 또 거란문자(契丹文字)는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 재위916-926)가 중국 문화에 대응하여 자국어 및 자국 고유 문자에 대한 민족적 자각에 바탕을 두어 기원후 920년에 만들어 공표한 문자이다. 거란대자와 거란소자라는 두 종류의 서로 다른 문자 체계가 알려져 있다. 이 중 거란소자는 태조의 동생 야율질라(耶律迭剌)가 위구르의 사자에게 그 언어와 문자를 배웠고, 그에 따라 다스렸다는 기술이 『요사(遼史)』에서 볼 수 있으며, 거란대소자는 요대를 통해 사용되었고, 금대(金代, 1115-1234)까지 사용된 후 사문자가 되었다. [1]

거란대자는 한자를 참고 혹은 한자의 글자 모양을 빌려서 만들어진 표의문자였기 때문에 거란어의 다음절 단어나 여러 가지 접사를 표기하는 데에 불편했다. 거란대자와 거란소자의 관계는 거란대자가 불편한 것으로 폐된 후 거란소자가 거란어에 적합한 문자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 아니라, 두 문자는 일정 기간 내내 요나라에서 병용되고 있었다. 상층사회에서는 상당히 유통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중국의 사서에는 두 문자에 의한 시험제도를 기재하고 있다. 1125년에 요나라가 멸망한 후에도 적어도 거란소자는 금대에서도 오랜 기간 유통되어 거란어가 하나의 문장어로서 존속하고 있어, 금대 1191년에 거란문자를 폐지하는 명이 내려질 때까지 전후 300년에 걸쳐 중국 북방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2]

거란에 대해

거란(契丹)은 요하(遼河) 상류 시람렌·라오하 양하 유역을 본거지로 하는 몽골계 수렵 유목민족이다. 10세기 초, (唐)말 5대의 혼란을 틈타, 일대의 영웅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나오자 금세 서로 다투던 부족들을 규합하자 군사를 주체로 하는 정치나 경제 조직을 구축하고 몽골에서 중국 동북구로 세력을 넓히자 요나라를 건국하기에 이르렀다.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의 영토 확장 의지는 그의 차남이자 제2대 황제인 태종 야율덕광(耶律徳光)에게도 받아들여져 태조 & 태종 2대 동안 요나라는 동투르키스탄에서 하북, 한반도까지 세력을 넓혀갔다. 중국의 북변을 수중에 둔 요나라남우(南郵)의 5대 제국, 즉 후량(後梁) · 후당(後唐)・후진(後晋)・후한(後漢)・후주(後周)의 사타(沙陀)·한이민족 왕조(漢二民族王朝)와 대립하여 중국의 재통일을 이룬 송나라(宋)와도 150여 년에 걸쳐 길항했다. 요나라는 이원적 지배체제의 모순과 불사조영 등으로 인한 재정난에서 쇠퇴하여 1125년 금나라의 여진족(女眞族)에 멸망당했다. [3]

거란문자의 계열

중국 문헌사료(『旧唐書(구당서)』巻199下, 北狄伝室韋条)에는 실위(室韋) 또는 실위(失韋)라고 불리는 민족집단 중에 '몽위 실위(蒙兀室韋)’라는 하위집단이 있었던 것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후의 몽골부의 모체가 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거란과 실위(室韋)가 언어계통을 같았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로 거란소자의 문헌에서 알려진 거란어의 적지 않은 수의 어휘가 몽골 제어와 공통되고 있으며, 그 범위는 기초어휘나 문법형태소에 이른다. 또 거란은 선비족(鮮卑族, 고대 남만주에서 몽골지방에 걸쳐 산 유목민족)의 후예를 자처하지만 북위(北魏, 386-534)을 건국한 선비족 탁발부의 언어도 몽골어와 공통 어휘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일부 어휘에서는 거란어와 탁발어(拓跋語)에 유사한 형식이 보이며 몽골 어족과는 크게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거란어와 몽골 제어의 사이에는 직접적인 조상과 후손 관계도 없고 거란어와 탁발어(拓跋語) 만큼 가까운 친연 관계도 없지만, 동일한 조상에 해당하는 언어를 공유하고 있다. [4]

거란문자

거란대자

거란대자 수사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920년에 만들어 공표한 문자이며 나중에 만들어진 또 다른 거란 문자와 구별하기 위해 ‘거란대자’라고 부른다. 거란대자로 하는 자형은 1951년 여름 랴오닝성(遼寧省) 전시현(錦西県) 고산(孤山)의 요묘에서 출토된 거란문묘지명(契丹文墓志銘)로 대표된다. 비신은 녹사암으로 만들어져 한 줄에 30자 내외, 전체 18행의 거란문자가 새겨져 있다. 이 거란문은 아직까지 전부 해독되지 않았지만 필화가 단순하고 중복되는 글자수가 비교적 많아 여진문자(女真文字)와 많이 닮았다. [5]

契丹大字-北大王墓志

거란대자는 한자 계통의 단어 문자이며 수사나 날짜 표기 등에 분명히 한자를 참고한 것으로 보이는 문자가 있다. 이들은 아마도 한자를 바탕으로 개변된 것으로 생각되지만 한자와의 관련이 보이지 않는 문자도 많아 그 문자들의 기원에 관해서는 불분명하다. 지금까지 이체자(異體字)를 포함하여 1600∼1700자 정도가 알려져 있지만 그중 제대로 읽을 수 있는 글자는 188자에 불과하다. 거란대자가 쉽게 해독되지 않는 이유로서 현재 남아 있는 대부분의 자료들이 각종 비문이나 요나라 황실 기록 등 일부 한정된 분야의 것이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있다. 게다가 요나라 관료와 문인들은 한자에 대한 지식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대란문자가 제한적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이기도 하다. [6]


<거란대자 특징>

① 글자의 종류는 1800여 개 정도이다. 세로로 쓰여지고 행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간다. 겉모습은 한문과 흡사하다.

② 한자를 그대로 이용한 것은 약 1/5로, "皇帝、太皇、太王、一、二、三、五、十、 廿、月、日、東、南、西、北、住、仁、位、弟、工、已、百、未、高、乃、此、至、午、 田、亡、寸、殿” 등이 있다. 이들은 한자의 변용에 해당한다.

③ 한자 필화를 더해서 만든 것으로는 그림1.png등이 있다. 이는 한자 '대'에 필화를 더해 작자해 '크다'는 뜻을 나타낸 것. 이는 한자의 변형에 해당한다.

④ 한자 필화를 줄여 만든 것으로는 그림2.png등이 있다. 이는 한자 말의 필화를 줄여 작자하여 말이라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한자의 변형에 해당한다.

⑤ 한자를 조합하여 만든 것으로는 그림3.png등이 있다. 이는 한자의 '천(天)'과 '토(土)'를 조합해 '천(天)'이라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이 역시 한자의 변형에 해당한다.

⑥ 한자와의 관계를 명시하지 못하는 것이 많이 있다. [7]

그림4.png

거란소자

“위구르의 사자가 왔으나 그 말에 통하는 것이 없었다. 태후는 태조에게 말했다. 야율질라(耶律迭剌)는 총명하며 역할을 맡을 수 있다고. 그래서 야율질라을 사자로 내세웠다. 사자로 따르는 동안 위구르의 언어와 서에 통하게 되어 거란소자를 만들었다. 그것은 글자 수가 적어 통용될 수 있는 것이었다.” 『遼史』巻六十四「皇子表」

이에 따르면, 거란대자가 만들어진 5년 뒤인 925년에 (遼) 태조의 동생 야율질라(耶律迭剌)가 또 다른 거란 문자를 만든 데 이를 ‘거란소자’라고 부른다.

1920년 전후에 현재의 중국 네이몽고자치구(蒙古自治区) 적봉시(赤峰市)의 백탑자(白塔子) 부근에서 경릉(慶陵)이 발굴되었고, 1922년 여름에는 적봉 일대에서 전파하던 켈빈(L. Kervyn)이 중릉 묘소에서 발견된 흥종비(興宗碑)와 그 비인의황후(妃仁懿皇后碑文) 비문(애책-황제의 묘지)을 모사시켜 1923년에 공표한 이후 거란문자의 실체가 뚜렷해졌다. 그 후 1930년에 경릉이 대규모로 발굴되어 동릉(東陵)과 서릉(西陵)에서 2조 4면의 거란문 애책(哀冊)과 5 10면의 한문 애책을 파내어 경릉에서 봉천으로 운반하게 하였다. 1932년에 일본인 타무라 지츠조오탕옥링의 아들 자택에서 그 4면의 거란문 애책과 11면의 한문 애책을 발견함에 따라 2천여자의 정확한 자형의 거란문자가 연구 대상으로 등장했다. [8]


기본자의 형태는 한자유래처럼 보인다. 기본자(표음문자)를 맞춤형 단어를 표기하는 블록을 만들고 그 블록을 공간으로 구분하여 세로로 배열하는 부분은 위구르 문자에 의한 위구르문과 유사한다. 외관은 한자계 문자로는 보이지 않다. 하지만 기본자 철자법은 좌우, 위아래다. 이 순서는 한자의 필순과 같다. 세로로 쭉 써내려가고, 행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는 곳도 한자와 같다.

거란소자는 기본자(원자 380정도)를 표음적으로 이용하여 그것을 좌우 상하로 조합하여 블록을 만들고, 단어를 표기한다.

그림5.pngs/ts와 그림6.pngiaŋ를 좌우로 배열하여 1블록으로 하고, 한자어 차용어인 '장군'의 '将(장) tsiaŋ를 그림7.png로 음사한다.

그림8.pngxa와 그림9.pngɣa를 좌우로 배열하고 그 아래에 그림10.pngas를 두어 1블록으로 하고 거란어의 '호랑이' xaɣaas를 그림11.png로 표기한다.


<거란소자 기본자 4종>

① 거란대자와 같은 것 : 그림12.png등.

② 한자와 같은 것 : 그림13.png등. 이들은 한자의 변용에 해당한다.

③ 거란대자 및 한자와 같은 것 : 그림14.png이들은 거란대자에 의한 것인지 한자에 의한 것인지 분명하지 않으나 직간접의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한자의 변용에 해당한다.

④ 그 외 : 그림15.png이들 중에는 거란대자나 한자의 변형이 포함될 것이다.[9]


<조합 양식>

거란 문자의 최소 단위를 대표하고 있으며, 그것을 단어마다 마치 한자 한 자와 같은 틀로 묶어서 쓴 것이 거란 문자이다. 애책문(哀冊文)의 거란문자를 모두 똑같이 일반적으로 원자라고 불리는 최소단위로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원자 한 글자로 나타내는 단어 외에 명사 접사·동사 어미·소유격 조사를 포함하여 원자를 좌우 2자를 한도로 하여 나열하고, 여백을 두지 않고 아래에 이어서 하나의 의미 단위로서 쓰는 것이 원칙이다. 조합 양식은 7 가지가 있다.[10]

조합 양식.jpg

한국의 거란문자 자료

契丹小字七言絶句銅鏡.png

한국국립중앙박물관에는 『契丹小字七言絶句銅鏡(거란 소자 칠언 절구동경)』이 소장되어 있으며, 청동 거울은 구멍이 뚫린 반구체로, 부각된 77개의 표음자로 28개의 단어를 구성하고 7행이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 거울은 고려가 거란과 교류할 때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11]

참고문헌

  1. OTAKE Masami, Intervocalic‘g’in the Khitan Small Script, Kyoto University, 2016, p.20-21
  2. 西田龍雄 (2001)「契丹文字」河野六郎 他 編著『言語学大辞典 別巻 (世界文字辞典)』省堂, p.297.
  3. 長田 夏樹, 契丹語解読方法論序説, 神戸市外国語大学外国学研究, 1984, p.1
  4. OTAKE Masami,Intervocalic ‘g’ in the Khitan Small Script, Kyoto University, 2016, p.20-21
  5. 地球ことば村・世界言語博物館, 契丹文字 英 Khitan spripts (large and small), 2022
  6. as朝日新聞社:謎の契丹文字 刻む石碑 日本・モンゴル合同隊が新発見[1]
  7. 吉池孝一, 契丹文字談義(契丹文字と東アジアの諸文字), 古代文字資料館発行『KOTONOHA』第 212 号, 2020, p.22
  8. 長田 夏樹, 第一部 契丹語解読方法論序説, 1984, p7-8
  9. 吉池孝一, 契丹文字談義(契丹文字と東アジアの諸文字), 古代文字資料館発行『KOTONOHA』第 212 号, 2020, p.23-24
  10. 西田龍雄,契丹文字解読の新展開 -アジア古代文字の解読-, 中公文庫, p.202
  11. 한국국립중앙박물관의 거란소자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