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語源== 500픽셀|오른쪽 '共'은 '拱(둘러싸다)'와 '供(바치다)'의 원래 글자이다. 초기금문의 '共'은, 사람이 두 손으로 한...)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共'은 '拱(둘러싸다)'와 '供(바치다)'의 원래 글자이다. 초기금문의 '共'은, 사람이 두 손으로 한 덩어리의 옥벽을 받쳐 들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 것이다. 옥벽은 귀중한 것으로, 늘상 종묘 제사의 공양하는 물건으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전에는 '共'이 손으로 옥벽을 받들어 바치다, 공양하다 의미가 있었다. '둘러싸다(环抱)', '둘러싸서 지키다(供卫)', '공급하다(供给)' 등의 의미로 파생되었다. 두 손이 함께 한 물건을 받들기 때문에, 또한 '공동(共同)', '함께(在一起)', '일제히(一齐)' 등의 의미로도 파생되었다. 예를 들어 '同舟共濟' (같은 배로 함께 건너다 ; 같은 상황에 놓인 사람들은 서로 돕는다) 가 있다. | '共'은 '拱(둘러싸다)'와 '供(바치다)'의 원래 글자이다. 초기금문의 '共'은, 사람이 두 손으로 한 덩어리의 옥벽을 받쳐 들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 것이다. 옥벽은 귀중한 것으로, 늘상 종묘 제사의 공양하는 물건으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전에는 '共'이 손으로 옥벽을 받들어 바치다, 공양하다 의미가 있었다. '둘러싸다(环抱)', '둘러싸서 지키다(供卫)', '공급하다(供给)' 등의 의미로 파생되었다. 두 손이 함께 한 물건을 받들기 때문에, 또한 '공동(共同)', '함께(在一起)', '일제히(一齐)' 등의 의미로도 파생되었다. 예를 들어 '同舟共濟' (같은 배로 함께 건너다 ; 같은 상황에 놓인 사람들은 서로 돕는다) 가 있다. | ||
+ | 설문해자에 따르면 “共, 같다” 라고 한다. 갑골문, 금문, 소전 등의 글자형에서 모두 양 손을 받들어 올리며, 공통의 의미를 구성하고 있다. 이는 두 손을 마주잡고 팔을 가슴께로 올려 경의나 존중을 표시하는 것을 가리킨다. 특히 금문에서 양 손에 물건 하나를 받들어 올리는 형상으로 보아 공양의 의미도 있음을 알 수 있다. | ||
==文化== | ==文化== | ||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과거에는 玉과 제사와의 관련이 상당히 깊었다. 설문해자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과거에는 玉과 제사와의 관련이 상당히 깊었다. 설문해자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
2022년 12월 22일 (목) 11:39 판
語源
'共'은 '拱(둘러싸다)'와 '供(바치다)'의 원래 글자이다. 초기금문의 '共'은, 사람이 두 손으로 한 덩어리의 옥벽을 받쳐 들고 있는 모습을 상형한 것이다. 옥벽은 귀중한 것으로, 늘상 종묘 제사의 공양하는 물건으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전에는 '共'이 손으로 옥벽을 받들어 바치다, 공양하다 의미가 있었다. '둘러싸다(环抱)', '둘러싸서 지키다(供卫)', '공급하다(供给)' 등의 의미로 파생되었다. 두 손이 함께 한 물건을 받들기 때문에, 또한 '공동(共同)', '함께(在一起)', '일제히(一齐)' 등의 의미로도 파생되었다. 예를 들어 '同舟共濟' (같은 배로 함께 건너다 ; 같은 상황에 놓인 사람들은 서로 돕는다) 가 있다.
설문해자에 따르면 “共, 같다” 라고 한다. 갑골문, 금문, 소전 등의 글자형에서 모두 양 손을 받들어 올리며, 공통의 의미를 구성하고 있다. 이는 두 손을 마주잡고 팔을 가슴께로 올려 경의나 존중을 표시하는 것을 가리킨다. 특히 금문에서 양 손에 물건 하나를 받들어 올리는 형상으로 보아 공양의 의미도 있음을 알 수 있다.
文化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과거에는 玉과 제사와의 관련이 상당히 깊었다. 설문해자에서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설문』 示部 : "祠, 봄제사를 祠라고 한다. 제품이 적고 제문이 길다. 의부 示와 성부 司로 구성된다. 2월에 지내는 제사에는 희생을 사용하지 않고 옥 및 짐승의 가죽이나 비단을 사용한다. (祠, 春祭曰祠. 品物少, 多文祠也. 從示司聲仲春之月, 祠不用犧牲, 用圭璧及皮弊.)"[1]
2월 제사는 희생을 피하기 위해, 옥이나 짐승의 가죽 혹은 비단을 사용한다는 말에서, 제사에 옥을 올리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共' 뿐만 아니라, '靈', '禮'에서도 제사에 옥을 사용하는 관습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부는 사람이 죽으면, 죽은 이의 입 안에 옥을 넣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일부는 옥이 그 부드럽게 빛이 나는 외형 때문에 고대부터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 ↑ 왕닝·시에똥위엔·리우팡 저, 김은희 역, 《설문해자와 중국 고대문화》, p.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