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晉.JPG"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useok님이 파일:晉.JPG의 새 판을 올렸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語源== | ||
+ | “진(晋)"은 “진(进)”과 같으며, 오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입경하다(晋京), 진급하다(晋级)과 같은 표현이 있다. 《설문해자》에는 “진(晋)은 나아가는 것이다”고 설명되어 있다. | ||
+ | 갑골문과 금문(金文)의 자형(1-2)은 유사한 모양이다. 두 개의 화살이 목표에 도달하는 모습을 형상하며, 아래쪽의 "日"은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들어가다(进), 오르다(升)'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金文(3-4)는 아래쪽의 "日"을 점차 용기 형태로 변형시켜, 화살이 꽂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고대의 던지기 놀이인 투호(投壺)의 모습을 형상한 것이다. 소전은“日” “臸”에서 유래된 것이다. 글자의 의미는 갑골문과 같다. 예서(隸書)(한 <장천비>)는 이미 상형을 잃었고, 현대의 글자 형태가 되었다. | ||
+ | ==文化== | ||
+ | 회의자이다. 화살촉을 만드는 거푸집에 청동 용액을 붓는 모습을 그렸으나 예서 이후 자형이 변해 지금처럼 되었다. 이로부터 거꾸로 ‘붓다’나 ‘넣다’, ‘나아가다’ 등의 뜻을 그렸으며, 그 이후 나라의 이름으로 쓰이게 되었다. 그러자 원래 뜻은 손동작을 강조한 手(손 수)를 더해 搢(꽂을 진)로 분화했다.<ref>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2014). P617</ref> 지명으로 경상남도 진주시가 晉州市로 晉를 사용하고 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벼슬아치의 품계(品階)가 오른다는 뜻으로 진질(晉秩)이라는 표제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
+ | |||
+ | 일본에서는 중국 춘추시대의 나라 이름, 삼국시대와 남북조시대 사이의 왕조의 이름을 의미하거나 육십사괘 중 하나, 나아가다라는 뜻을 가진 상형문자이다. 사람 이름에 주로 사용되며 그 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ref>mojinavi, https://mojinavi.com/d/u664b</ref> |
2023년 12월 22일 (금) 16:51 판
語源
“진(晋)"은 “진(进)”과 같으며, 오르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입경하다(晋京), 진급하다(晋级)과 같은 표현이 있다. 《설문해자》에는 “진(晋)은 나아가는 것이다”고 설명되어 있다. 갑골문과 금문(金文)의 자형(1-2)은 유사한 모양이다. 두 개의 화살이 목표에 도달하는 모습을 형상하며, 아래쪽의 "日"은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들어가다(进), 오르다(升)'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金文(3-4)는 아래쪽의 "日"을 점차 용기 형태로 변형시켜, 화살이 꽂혀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고대의 던지기 놀이인 투호(投壺)의 모습을 형상한 것이다. 소전은“日” “臸”에서 유래된 것이다. 글자의 의미는 갑골문과 같다. 예서(隸書)(한 <장천비>)는 이미 상형을 잃었고, 현대의 글자 형태가 되었다.
文化
회의자이다. 화살촉을 만드는 거푸집에 청동 용액을 붓는 모습을 그렸으나 예서 이후 자형이 변해 지금처럼 되었다. 이로부터 거꾸로 ‘붓다’나 ‘넣다’, ‘나아가다’ 등의 뜻을 그렸으며, 그 이후 나라의 이름으로 쓰이게 되었다. 그러자 원래 뜻은 손동작을 강조한 手(손 수)를 더해 搢(꽂을 진)로 분화했다.[1] 지명으로 경상남도 진주시가 晉州市로 晉를 사용하고 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벼슬아치의 품계(品階)가 오른다는 뜻으로 진질(晉秩)이라는 표제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중국 춘추시대의 나라 이름, 삼국시대와 남북조시대 사이의 왕조의 이름을 의미하거나 육십사괘 중 하나, 나아가다라는 뜻을 가진 상형문자이다. 사람 이름에 주로 사용되며 그 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2]
-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3(2014). P617
- ↑ mojinavi, https://mojinavi.com/d/u664b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 | 섬네일 | 크기 | 사용자 | 설명 | |
---|---|---|---|---|---|
현재 | 2023년 12월 22일 (금) 16:42 | 726 × 265 (27 KB) | Juseok (토론 | 기여) | ||
2023년 12월 22일 (금) 16:38 | 729 × 266 (28 KB) | Juseok (토론 | 기여) |
- 이 파일을 덮어쓸 수 없습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는 문서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가리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