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양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춘추공양전]]이 공자 정치사상의 핵심을 담고 있다고 생각하여 [[동중서]]와 [[공손홍]]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무제가 공양학을 정치이론서로 채택하였다. | + | [[춘추공양전]]이 공자 정치사상의 핵심을 담고 있다고 생각하여 [[동중서]]와 [[공손홍]]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무제가 공양학을 정치이론서로 채택하였다. <br> |
+ | 심정 윤리를 중시하며 가족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공양학에서는 군신 관계에서 대부의 자의적인 권력 행사를 옹호하고 [[세경세록]]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는 사대부의 능력이나 군주에 대한 간언, 군주의 독단적인 권력 행사를 견제하는 등의 사대부의 책임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