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여성 운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Chines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번째 줄: 16번째 줄:
 
  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여성을 교육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신이 실패로 끝나자 양계초와 강유위에 의해 주도되던 이 시기의 여성운동은 막을 내리게 된다.
 
  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여성을 교육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신이 실패로 끝나자 양계초와 강유위에 의해 주도되던 이 시기의 여성운동은 막을 내리게 된다.
 
   
 
   
 
 
  제 2기- 무술유신 이후
 
  제 2기- 무술유신 이후
  

2016년 5월 23일 (월) 20:45 판

정의

신여성 운동은 중국에서 청말부터 시작된 여성 평등 운동을 지칭한다. 신여성 운동의 시작을 보는 관점을 다양하지만, 대체로 아편 전쟁 후 서양의 문물 수용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기를 시발점으로 생각하고
5.4 운동을 절정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신여성이라는 단어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신청년이라는 잡지가 창간된 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에 대한 인식변화는 그 이전부터 진행되고 있었으며, 맹아기를 걸쳐
5.4운동에 이르러 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여성 운동의 등장을 5.4 시기로 정의하고 무술유신 이전부터 5.4 운동까지의 여성평등 사상을 신여성 사상의 맹아로 정의하겠다.

신여성 맹아의 등장

제 1기- 무술유신 이전

무술년 이전 까지의 신여성 운동이 진행된 이유는 중국의 문제를 전통에서 찾은 까닭에 있다. 즉 전통적인 여성상은 낙후된 중국 문화이며, 중국이 발전하기 위해선 발전된 서양의 여성 문화를 받아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시기 진행된 신여성 운동 중 대표적인 것은 전족 반대운동과 여성 교육 운동이다. 강유위의 주도로 시작된 전족 반대 운동은 양계초에 의해 구체화 되었고 <전족반대동맹조례>로 구체화된다.
이 시기 전까지 진행되던 중국에서의 여성교육은 서양 선교사들에 의한 것이었다. 대표적으로 1884년에 미국 감리교가 진강 보개산에 설립한 여숙을 들 수 있는데, 이 여숙의 규정을 살펴보면, 여숙에서 진행되던 교육이 근대적인 평등 교육이었다기 보다는 
중국의 봉건적 여성교육에 더 가까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여숙에서 전족을 한 여성을 그대로 받아드려 교육을 했으며, 중국인에 의해 전족을 금지하자는 주장이 나왔을 때에야 전족을 금지시켰다. 따라서 이 시기 이전까지의 중국 여성교육은 
완전한 여성 평등운동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청일 전쟁이 지나고 1903년이 지나서야, 양계초에 의해 중국 여성 교육의 필요성인 중국인에 의해 대두되기 시작된다. 양계초는 중국이 여성을 교육시켜야 하는 이유를 '소득을 나누어쓰는 폐단을 극복해야함'
, '여성의 재주없음을 극복해야 함', '교육을 통해 좋은 어머니가 되야 함', '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태교를 해야 함'으로 정의한다. 종합해 볼 때 이 시기에 등장한 여성운동은 부국에 있다. 이 부국에 도달하기 위해선 여성의 경제적 독립과 현모양처가 
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여성을 교육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신이 실패로 끝나자 양계초와 강유위에 의해 주도되던 이 시기의 여성운동은 막을 내리게 된다.

제 2기- 무술유신 이후
무술유신이 서태후에 의해 허무하게 실패로 끝나고, 연합군이 북경을 점거해 서태후가 도망가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부터 만주족 정부인 청에 대한 무능력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고, 중국 전역에서는 혁명 사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 시기 급진적인 
신여성 운동을 주장하는 김일에 의한 여계종이라는 책 한 권이 발간된다. 그에게 중국 여성의 대표적인 문제는 전족, 몸치장, 미신에 빠지는 것, 구속되어 사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여성의 능력이 저하됨을 서술했다. 그의 주장 중 
흥미로운 것은 네번 째 구속되어 사는 것인데 그에게 있어 여성 구속의 근본전인 원인은 결혼이었다. 그에게 전통적인 결혼이랑 남성에 의한 여성의 구속이며, 이를 타파하기 위해 남녀간의 교제를 공개적으로 하고 혼인을 개인의 선택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 한다. 이는 당시로써는 매우 진보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이런 사상은 무술유신 이후 지배적인 담론이 아니였다. 무술 유신 이후 부국을 위해 여성에 대한 교육을 확대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이 평등을 위한 교육이라고 보긴 힘들다. 
실제로 무술유신  시기 전국적으로 여학당이 세워지긴 했으나, 이 학교들의 입학총의를 살펴보면 여성 교육의 목표를 교사를 양성하고 유아 보육 방법을 익힘으로써 가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정의를 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평등을 위한 교육이라기 보단 
부국을 위한 교육이라 고 할 수 있다. 즉 이 시기 국가나 민간에 의해 실시된 여성교육은 신여성을 위한 교육이라기 보단 현모양처를 만들기 위한 전통적인 여성상에 연장선에 불과했다. 


제 3기- 신해혁명 

청조가 몰락하고 신사상이 대두되긴 했지만, 신해혁명 이후에도 신여성이라는 담론은 체계화 되지 않았다. 하지만 신여성의 맹아는 신해혁명에서도 발견된다. 혁명군이 무한에서 세 곳의 진영을 점령하고 병력이 부족해 징집 광고를 내자
오숙경이라는 여성은 무한 혁명 정부의 대도독이었던 여원홍에게 편지를 써서 자신도 군대에 들어와 힘을 보태고 싶다고 주장했다. 여원홍은 완곡하게 거절했으나 오숙경은 혁명에서 남녀간의 차별이 있어선 안된다고 여원홍을 설득해
여원홍은 여군을 모집하게 된다. 이런 여군에 대한 대중의 반응은 뜨거웠으나, 신해혁명 간부들에게는 조롱거리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여군은 곧 해산되었고, 신여성의 맹아는 발현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남경 임시정부에 여성 평등을 위해
여성의 참정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게 되었다. 실제로 신주여계참정동맹회, 여자동맹회 같은 단체가 생겼다. 이런 상황에서 당군영 등 20인이 약법에 남녀 평등 조문을 넣어줄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임시 약법에 이런 내용은 들어가지
않게 되고 여권 운동가들은 분노하여 여자참정동맹회의 당군영을 대표로 손문에게 편지를 보내 항의한다. 이들의 항의는 여기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참의원의 유리창을 깨고 경비를 걷어차는 등의 난폭한 행동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는 신여성 사상의 맹아가 발현될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탄 같은 것이었다.

신여성사상의 등장

제 1기- 신문화동운(잡지 신청년)

 



활동 영역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