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Qkrwjddbs17 (토론 | 기여) (새 문서: 춘추시대때 일종의 질서를 유지하던 장치였다. 패권을 쥐고 있는 제후국이 명분을 가지고 회맹을 소집하면 다른 제후국은 이 소집에 응하...)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춘추시대때 일종의 질서를 유지하던 장치였다. 패권을 쥐고 있는 제후국이 명분을 가지고 회맹을 소집하면 다른 제후국은 이 소집에 | + | 주왕의 권위가 떨어져 주왕 중심의 봉건적 질서가 무너지자 이를 대신한 것으로, 춘추시대때 일종의 질서를 유지하던 장치였다. 패권을 쥐고 있는 제후국이 명분을 가지고 회맹을 소집하면 다른 제후국은 이 소집에 응하고 맹약을 맺는다. 이 과정은 패자가 여러 제후들에게 자신의 권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했다. 회맹을 소집하는데 나름의 명분이 있었던 만큼 초기의 회맹은 도덕적, 명분적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제후국이 아닌 초가 패권을 잡은 이후로는 명분의 중요성이 약화되고 실리가 강조되었다. |
2016년 6월 21일 (화) 22:30 기준 최신판
주왕의 권위가 떨어져 주왕 중심의 봉건적 질서가 무너지자 이를 대신한 것으로, 춘추시대때 일종의 질서를 유지하던 장치였다. 패권을 쥐고 있는 제후국이 명분을 가지고 회맹을 소집하면 다른 제후국은 이 소집에 응하고 맹약을 맺는다. 이 과정은 패자가 여러 제후들에게 자신의 권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기도 했다. 회맹을 소집하는데 나름의 명분이 있었던 만큼 초기의 회맹은 도덕적, 명분적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제후국이 아닌 초가 패권을 잡은 이후로는 명분의 중요성이 약화되고 실리가 강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