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기여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19년 12월 21일 (토) 00:52 (차이 | 역사) . . (+39) . . 各 (→語源)
- 2019년 12월 21일 (토) 00:50 (차이 | 역사) . . (+347) . . 各 (→語源)
- 2019년 12월 19일 (목) 17:33 (차이 | 역사) . . (+514) . . 새글 衡 (새 문서: ==語源== 衡은 고대에 소뿔 위에를 묶어서 소뿔이 사람을 찌르는 것을 방지하는 횡목(가로질러 놓은 나무)이다. 금문 衡( )은 회의자이고,...)
- 2019년 12월 19일 (목) 17:29 (차이 | 역사) . . (+389) . . 새글 退 (새 문서: ==語源== 退( )는 회의자이다. 물러나는 것은 행동을 필요로 하므로, 행주(걸어가는)부호와 돌아오는 방향을 향해 걸어오는 ( )을 형부로 한...)
- 2019년 12월 19일 (목) 17:27 (차이 | 역사) . . (+256) . . 새글 遠 (새 문서: ==語源== 금문 遠( )은 형성자이다. 형태부호는 도로( )와 발( )로 구성되어있다. 합쳐쓰면 ( )이고 걷는 것을 뜻한다. ( )로 성부를 하고, 袁은...)
- 2019년 12월 19일 (목) 17:23 (차이 | 역사) . . (+294) . . 새글 通 (새 문서: ==語源== 갑골문 通( )은 형성자이고, 通은 즉 걸어갈 필요가 있는 것이므로,( )를 형부로 하고, 用( )를 성부로 한다. 用은 통(桶)의 상형인...)
- 2019년 12월 19일 (목) 17:02 (차이 | 역사) . . (+255) . . 새글 越 (새 문서: ==語源== 갑골문은 무기 鋮을 빌려 越가 되었다. 소전에서는 행주(걷는) 부호 走 가 더해져서 “越“글자가 걷고 행동하는 것이 명확해져서...)
- 2019년 12월 19일 (목) 16:59 (차이 | 역사) . . (+256) . . 새글 起 (새 문서: ==語源== 고문 起( )은 형성자이다. 서있어야지만 걸을 수 있어서, 走와 起는 가깝게 서로 연결되있다. 그러므로 走( )으로 형부를 하고 巳(...)
- 2019년 12월 19일 (목) 16:57 (차이 | 역사) . . (0) . . 새글 파일:1517F30D-673A-4D40-8B07-01CE45233018.jpeg (최신)
- 2019년 12월 18일 (수) 12:33 (차이 | 역사) . . (+8) . . 회의자 (→개요)
- 2019년 12월 18일 (수) 12:33 (차이 | 역사) . . (-2) . . 회의자 (→특징)
- 2019년 12월 18일 (수) 12:33 (차이 | 역사) . . (-30) . . 회의자 (→특징)
- 2019년 12월 18일 (수) 12:33 (차이 | 역사) . . (+39) . . 회의자 (→특징)
- 2019년 12월 18일 (수) 12:27 (차이 | 역사) . . (+4) . . 회의자 (→편방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한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6 (차이 | 역사) . . (+4) . . 회의자 (→같은 편방을 중복시켜 만든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5 (차이 | 역사) . . (+44) . . 회의자 (→편방을 연독하여 말을 이루는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3 (차이 | 역사) . . (+1) . . 회의자 (→도형식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3 (차이 | 역사) . . (+1) . . 회의자 (→편방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한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2 (차이 | 역사) . . (-3) . . 회의자 (→편방을 연독하여 말을 이루는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2 (차이 | 역사) . . (+3) . . 회의자 (→편방을 연독하여 말을 이루는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2 (차이 | 역사) . . (+5) . . 회의자 (→편방을 연독하여 말을 이루는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1 (차이 | 역사) . . (-3) . . 회의자 (→편방을 연독하여 말을 이루는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1 (차이 | 역사) . . (-4) . . 회의자 (→편방을 연독하여 말을 이루는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12:21 (차이 | 역사) . . (+738) . . 회의자 (→편방을 연독하여 말을 이루는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44 (차이 | 역사) . . (+4) . . 회의자 (→도형식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43 (차이 | 역사) . . (+16) . .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42 (차이 | 역사) . . (+4) . . 회의자 (→도형식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36 (차이 | 역사) . . (-4) . . 회의자 (→같은 편방을 중복시켜 만든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35 (차이 | 역사) . . (+4) . . 회의자 (→같은 편방을 중복시켜 만든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35 (차이 | 역사) . . (+5) . . 회의자 (→같은 편방을 중복시켜 만든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33 (차이 | 역사) . . (+20) . . 회의자 (→편방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한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31 (차이 | 역사) . . (+18) . . 회의자 (→도형식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30 (차이 | 역사) . . (+12) . . 회의자 (→이체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28 (차이 | 역사) . . (-75) . . 회의자 (→이체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27 (차이 | 역사) . . (+95) . . 회의자 (→이체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25 (차이 | 역사) . . (+2) . . 회의자 (→도형식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25 (차이 | 역사) . . (+7) . . 회의자 (→도형식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17 (차이 | 역사) . . (+18) . .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16 (차이 | 역사) . . (+2) . . 회의자 (→같은 편방을 중복시켜 만든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15 (차이 | 역사) . . (+7) . . 회의자 (→편방 사이의 위치 관계를 이용한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12 (차이 | 역사) . . (-120) . . 회의자 (→개요)
- 2019년 12월 18일 (수) 01:11 (차이 | 역사) . . (+2) . .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10 (차이 | 역사) . . (-55) . . 회의자 (→같은 편방을 중복시켜 만든 회의자)
- 2019년 12월 18일 (수) 01:10 (차이 | 역사) . . (+4,659) . . 새글 회의자 (새 문서: ==개요== 회의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상형자를 이용하여 하나의 글자를 만들고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글자이다. 회의자를 만드는...)
- 2019년 12월 17일 (화) 15:45 (차이 | 역사) . . (0) . . 중국문자의이해 (→위키문서)
- 2019년 12월 17일 (화) 15:28 (차이 | 역사) . . (0) . .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17일 (화) 15:27 (차이 | 역사) . . (0) . .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17일 (화) 15:23 (차이 | 역사) . . (-39) . .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2월 9일 (월) 13:22 (차이 | 역사) . . (+109) . . 중국문자의이해 (→2019년)
- 2019년 11월 13일 (수) 12:23 (차이 | 역사) . . (+29) . . 중국문자의이해 (→위키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