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한

ChineseWiki
WL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5월 14일 (토) 02:55 판 (역사)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후한의 건국

유현은 유수 형제의 공을 질시하여 유연을 죽이고 도읍을 낙양으로, 다시 장안으로 옮기고 유수를 하북으로 보냈다. 결국 유수가 그 곳에서 세력을 점차 키워 서기 25년에 호(鄗)에서 제위에 올랐다. 이 때 적미병이 장안으로 들어가 유현을 죽이자 유수는 적미병을 토벌하고 도읍을 낙양으로 옮겼다. 이 나라를 후한이라 부르며, 왕망의 신나라를 무너뜨리고 한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운 한나라 황실의 후예인 유수가 바로 후한의 광무제이다.

=후한의 쇠망

통치체제

국가유교

군현제

사회제도

외교

서역 경영

장건으로부터 서역의 사정이 중국에 알려지게 되면서, 무제는 서역 지배에 욕심을 냈다. 특히, 흉노가 남북으로 분열된 이후 북흉노와 후한은 서역에 대한 지배권을 다투었다, B.C.108년에 무제는 표기장군 이광리를 보내 대완국을 정벌하였고, 대완국이 한에 투항해 오자 그 밖의 서역의 각국도 한에 조공을 바쳤다. B.C.119년에는 오손과 연합하여 흉노를 치고자 장건을 재차 서역에 파견하였고, 장건은 오손에서 다시 부사를 대원, 강거, 대월지, 대하 등에 파견하여 이 지역 국가들과 정식으로 교통했다. 이후 무제는 해마다 사신을 이들 국가에 파견하였고, 이들도 한에 사신을 보내왔다. 그런데 왕망 때 중국의 국력이 약화되면서 이 기회를 틈타 흉노는 다시 서역을 침략하기 시작했다. 후한의 성립 이후에 정부는 왕망시대에 실추된 주변 민족에 대한 권위를 회복하는데 주력했다. 한이 다시 서역을 장악하게 되는 것은 73년 북흉노를 토벌하기 위해 파견된 장군 두고가 서역 제국의 설득을 위해 부하인 반초를 파견한 데서 비롯되었다. 반초는 왕망정권 이후 60년 만에 부활된 서역도호로서 30년간 서역 땅에서 지내며 동서 교통로의 재확보에 주력했다. 그 사이 대월지의 침입을 저지했고, 파미르고원 동서의 50여 개국을 한에 조공국으로 복속시켰다. 그러나 반초 이후 강족의 침입과 반란에 시달리면서 서역에 대한 영향력을 계속 후퇴했다.

사회

후한대의 호족

후한이 성립되자 호족은 세력을 더욱 넓혔다. 그들은 토지문제에 대한 중앙정부의 무관심을 틈타 토지를 계속 겸병했다. 이와 함께 호족은 종족과 향당사회를 토대로 관리로 선발되어 중앙과 지방의 정계로 진출했다. 관리가 되는 방법에는 지방관리의 추천을 받거나 시험에 급제하는 방법이 있다. 또 직접 향리에서 관리 후보자를 추천하는 방법도 있는데, 호족의 자제나 유력호족의 일원을 추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상호 통혼 등을 통해 지역을 초월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권력을 키워나갔다. 호족이 지방에서 세력을 확장해 점차 중앙의 정계에 등장한 데 반해, 황제의 측근에서 외척과 환관이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환관은 외척보다 황제의 권력이 더 클 경우, 외척을 억제하기 위해 이용하는 세력이다. 후한 후반기는 외척과 환관의 정쟁과 전횡으로 황제권이 쇠락해 갔다. 후한 말에 환관세력의 전횡과 매관매직 등의 부패상에 대한 맹렬한 비난이 일었다. 지방호족과 사인도 이러한 환관세력의 부정부패를 비판했다. 정의파 지식인들은 환관과 결탁한 세력을 탁류라 부르고 자신들을 청류라 불러 구분하고 정치적으로 대립했으며, 이들의 정치적 대립은 당고사건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2차에 걸친 탄압은 청류파운동을 재기불능의 상황까지 위축시켰고, 결국 청류파운동이 실패한 후 후환왕조와 지식인층 사이의 괴리감은 심화되었다. 이로 인해 정치에 대한 관심을 끊고 속세를 벗어나 은둔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지식인층이 생기게 되었고, 한제국은 호족의 지지를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문화

과학문명의 발전

후한대에는 과학기술 면에서 눈부신 성과를 올렸다. 후한의 장형은 혼천의를 제작했는데, 혼천의는 모든 항성이 천구상에 있고, 일월오성도 천구상을 운행하고 있다는 생각에서 만들어진 장치이다. 동력을 이용해 밀실 안에 있는 누각의 물을 하루에 1회 자동으로 회전시켜 하늘의 상태와 부합하도록 만든 자동식 천구의이다. 장형은 관측을 거듭해 월식의 원리와 달빛이 태양의 반사광임을 밝혀냈고, 지동의라는 지진계를 제작하기도 했다. 지동의는 나무통 모양을 한 기구의 8면에 용머리를 매달아 지진이 나면 진원지 방향의 용의 입에서 동구슬이 그 아래의 개구리의 입으로 떨어져 들어가도록 설계되었으며, 지진의 강도도 측정이 가능했다. 후한의 채륜이라는 농민 출신의 환관은 현재 쓰이는 종이의 원형을 만들어냈다. 중국에서는 처음에 동물의 뼈나 청동기에 문자를 새긴 기록이 있었는데, 그후에 목간이나 죽간, 그리고 베도 사용되었다. 그러나 모두 불편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채륜은 기록을 써서 남기기 위한 재료를 만들어내려고 연구를 거듭하여 나무껍질, 마 부스러기, 어망을 재료로 하는 종이의 제조에 성공하였다. 채륜의 제지법은 한국과 일본에 곧 전파되었으며, 당대에 중앙아시아를 거쳐 아라비아로, 그곳에서 다시 유럽으로 전파되었다. 후한 말기에 장중경은 열병학설을 발전시켜 상한론을 지었다. 그는 이 책에서 증상에 따른 치료법을 체계적으로 서술하여 한방의약의 기반을 마련했다. 후한 말의 화타는 마비신이라는 일종의 마취제를 사용한 외과수술에 매우 뛰어났다고 한다. 이렇게 한방의학의 기초가 후한대에 이미 확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