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광핑
쉬광핑(许广平, xǔ guǎng píng) | |
---|---|
출생 |
1898년 2월 12일 청나라 광둥 성 광저우 부 판위 현 (現 중화인민공화국 광둥 성 광저우 시 판위 구) |
사망 |
1968년 3월 3일 (70세)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
학력 |
중화민국 허베이 성 톈진 즈리 제1여자사범학교 전문학사 졸업 중화민국 허베이 성 베이징 여자사범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졸업 |
직업 | 문필가, 사회운동가, 정치가 |
활동 기간 | 1932년 ~ 1968년 |
가족 | 배우자 루쉰, 아들 저우하이잉 |
목차
개요
쉬광핑(중국어간체: 许广平, 정체: 許廣平, 병음: xǔ guǎng píng, 1898~1968)은 '쉬징송(许景宋)'이란 필명으로 활동한 중화인민공화국의 문필가, 사회운동가, 정치가이다. 광둥 성의 판위 구에서 태어났고, 루쉰의 두 번째 아내로 알려져 있다. 1917년 톈진 즈리 제1여자 사범학교에서 공부하였고, 톈진 애국 동지회(天津爱国同志会)의 간행물인 《醒世周刊》의 편집을 맡았다. 또한 저우언라이(周恩来)의 지도하에 5.4운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923년 베이징 여자고등사범학교 국문과에 입학하여, 루쉰의 학생이 되었다. 1927년 1월에 루쉰이 중산대학의 교수직을 맡게 되었고, 이때 쉬광핑은 루쉰과 白云路에서 동거를 시작하였으며, 조교가 되어 광둥어 통역을 도와주기도 했다. 10월에는 루쉰과 함께 상해로 가서 정식으로 동거를 시작했다. 1929년, 아들인 저우하이잉(周海婴)을 낳았다. 1932년 12월에는 루쉰과 주고받았던 편지들을 모아 《两地书》를 편집, 출간하기도 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성립된 이후에는 중국공산당 인민정치협상회의 상임위원, 중국공산당 전국인민대표대회 상임위원, 중국공산당 민주촉진회 부주석, 부녀연합 부주석 등 고위직을 지냈다. 1968년 3월, "四人帮"의 협박을 받기도 했으며, 베이징에서 심장병으로 7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1]
신여성과 쉬광핑
중국에서는 ‘신여성’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다. 전통 가족제도를 부정하고 단발 등 외모상의 새로움을 추구했던 신식 교육 수혜자로 새로운 직업에 진출하거나 조직적인 행동으로 여성해방을 추구하는 여성들을 일컬었다. 또한 반봉건 의식, 애정과 결혼에 대한 진취성, 자유, 평등, 박애를 숭배하는 인도주의자라는 의미의 ‘모던 걸(modern girl)’을 번역한 말이라는 설명도 있다. 쉬광핑은 신식 교육을 받고, 반봉건적인 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여성해방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신여성에 부합하는 조건들을 갖추고 있었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여성으로서 강한 자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결국 구국을 위해 여권을 혁명에 종속시켰다는 남다른 신여성의 표본이 되기도 한다. [2]
여성으로서의 자의식 고취
- 쉬광핑의 아버지가 본래 그녀에게 지어주려 했던 이름은 ‘쉬총첸(徐崇媊)’이다. 그러나 쉬광핑은 ‘계집 여 변’이 있는 이름이 싫다며 불평했고, 그녀의 아버지는 결국 그녀의 이름을 ‘쉬광핑’으로 바꾸어 주었다. 또한 어느 날 오빠들이 장기 두는 것을 보고 따라 배우려다 여자 주제에 장기를 배우려 하느냐는 조롱 어린 말을 들은 뒤로 장기 두는 근처에도 가지 않았고, 평생 장기를 배우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어렸을 때부터 여성이라서 은연중에 받게 되는 차별에 대한 반발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아버지가 미리 정해놓은 혼처를 계속 거부하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에 결국 파혼하게 된다.
가족관계
쉬광핑은 자신의 집안에 대해 ‘봉건적인 사회에서 반쯤 개화된 가정’이라고 표현한다. [3]
- 아버지: 쉬광핑의 어머니가 그녀의 발을 묶자(전족) 이를 내팽개칠 정도로는 개화되어 있었다. 하지만 술김에 딸의 혼처를 미리 정해놓았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인습을 따라가는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 어머니: 딸의 귀를 뚫어 귀걸이를 걸게 하고, 전족을 행하는 등 전통적인 인습을 어느 정도 따르는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그녀는 쉬광핑이 여덟 살이 되던 해에 사망했다.
- 할아버지(쉬잉쭝): 쉬광핑이 태어나던 당시 저장 성의 순무(巡撫), 즉 지금의 도지사 정도 되는 관리직을 맡고 있었다.
생애
유년시절
무술변법의 해였던 1898년, 광저우 부근의 판위 현(番禺县)에서 태어났다. 1901년 행해진 신정개혁 덕분에 여성들도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 쉬광핑은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에 따라 그녀의 오빠들과 함께 가숙(家塾), 즉 집안 서당에 나가 교육을 받았다. 남자 아이들과 함께 공부하며 관화(官話)를 배우고, 다양한 종류의 고전들을 읽는 등 당시 다른 여자 아이들보다 폭넓은 학문을 배울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은 후에 루쉰과 소통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하기도 했다.
톈진 즈리 여자 사범 학교
쉬광핑은 톈진의 즈리여자사범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당시 신문화 운동이 일어났고, 백화문의 보급이 성행했는데, 이에 따라 쉬광핑도 전람회에 백화문 작품을 출품하여 선생님의 노여움을 산 적이 있다. 그녀가 제작한 글들의 내용에는 국가나 천하를 위해 고민한 것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의 다른 여성들과는 달리, 더 나아가 보통 청년들보다 더 진취적으로 천하의 일에 대해 고민하고 책임감을 느꼈던 것이다. 이후 5.4 운동이 일어나게 되고, 쉬광핑의 학교인 톈진즈리여사자범학교의 학생들은 이러한 애국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 한다. 이때 쉬광핑은 당시 선전 기구였던 《여사주간(女师周刊)》과 《성세주간(醒世周刊)》의 편집자로 활동했다. 이는 그녀가 당시의 애국 운동에서 지도적인 역할을 맡았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애국 운동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베이징 여자 사범 대학
1922년 톈진의 여자 사범 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에 여성 최고학부인 베이징 여자 사범 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당시 5.4의 자유로운 분위기가 남녀 교제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쉬광핑은 베이징대의 동향 사람이었던 리샤오후이(李小辉)가 병사하기 전까지 그와 내왕하기도 했다. 1924년 베이징 여자 사범 대학의 교장의 보수적이고 불공평한 태도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이 점점 커져 폭발하게 되었다. 1925년 교장 배척 운동이 진행되었고, 이 운동에서 쉬광핑은 중심적인 역할을 맡게 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한 그녀는, 1925년 3월 11일 결국 루쉰에게 편지를 보내 도움을 청하게 된다.
시대적 배경
루쉰과 쉬광핑
쉬광핑과 루쉰은 스승과 제자 관계로 처음 만났다. 이들은 베이징 여자 사범 대학에서 일어났던 교장 배척 사건을 계기로 그 사이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작품 목록
시간 | 작품명 | 비고 |
---|---|---|
1925년 10월 12일 | 《동행자(同行者)》 | 발간 당시 필명“平林”을 사용, 루쉰이 편집한 《국민신보(国民新报)》의 부록으로 실림. |
1937년 4월 | 《야기(夜记)》 | 루쉰의 1934년부터 1936년까지의 잡문 13편을 정리하여 발간한 것. |
1937년 | 《노신서간(鲁迅书简)》영인본 | 삼한서옥(三闲书屋) 명의로 자비 출간. |
《조개정잡문말편(且介亭杂文末编)》 | ||
1938년 4월 | 《집외집습유(集外集拾遗)》 | |
1938년 8월 | 《노신전집(鲁迅全集)》(총 20권) | 胡愈之을 시작으로, 쉬광핑, 郑振铎 등 20명의 사람이 “复社”를 조직하여 공통 편집. |
1941년 | 《조난전후(遭难前后)》 | 1941년 쉬광핑이 일본 헌병에게 잡혀가 고문을 당한 일을 바탕으로 쓴 책. |
1959년 10월 | 《노신회의록(鲁迅回忆录)》 | |
1961년 8월 22일 | 《허광평대노신박물관적의견(许广平对鲁迅博物馆的意见)》 | “전시방침”, “조직의 리더”, “진열 내용”, “인사 안배 문제” 네 가지 방면에서, 구체적이고 적절한 의견과 건의를 날카롭게 제시함. |
후대의 기념자료
- 上海鲁迅纪念馆 编, 《许广平纪念集》, 百家出版社, 2000.
참고자료
- 윤혜영, 『(루쉰의 사랑 중국의 자랑)쉬광핑』, 서해문집, 2008.
- 위키백과 ‘mw:ko:w쉬광핑’
- 박신영, ‘루쉰의 뮤즈, 쉬광핑의 삶이 여자들에게 주는 교훈’, 채널예스
- 百度百科’许广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