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순론

ChineseWiki
Lua0109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2월 24일 (토) 03:48 판 (새 문서: ==고대 모순론의 유래== http://hanja.naver.com/word?q=矛盾#ancntWord전국(戰國) 시대(時代) 초(楚)나라에 무기 상인(商人)이 있었다. 그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대 모순론의 유래

[[1]]전국(戰國) 시대(時代) 초(楚)나라에 무기 상인(商人)이 있었다. 그는 시장으로 창과 방패를 팔러 나갔다. 상인(商人)은 가지고 온 방패를 들고 큰소리로 외쳤다. 「이 방패를 보십시오. 아주 견고하여 어떤 창이라도 막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계속해서 창을 들어올리며 외쳤다. 「여기 이 창을 보십시오. 이것의 예리함은 천하(天下) 일품, 어떤 방패라도 단번에 뚫어 버립니다.」 그러자 구경꾼 중에 어떤 사람이 말했다. 「그 예리하기 짝이 없는 창으로 그 견고하기 짝이 없는 방패를 찌르면 도대체 어찌 되는 거요?」 상인(商人)은 말문이 막혀 눈을 희번덕거리고 있다가 서둘러 달아나고 말았다.

모순론의 등장배경

1920년 진독수를 알게 되고 중국 공산당 창립대회에 호남성 대표로 참가해 중앙위원이 된 이래 모택동은 장래 혁명의 성공을 위한 자신만의 혁명이론을 개발하고자 노력했다. 그것이 그가 독서에 파묻히게 된 원인이었다. 또한 모택동은 독서에서 얻은 이론적 지식을 실천적으로 증명하고자 노력했다. 그러한 노력의 첫 시작이 1925년이었는데, 그는 이때부터 이미 호남의 농민운동을 조직하기 시작했고, 이들을 토대로 호남・강서 지역에서 추수폭동(秋收暴動)을 지도하는 등 농민운동을 주도하며 활발하게 혁명운동을 실천해 가고 있었다.

그러다가 거듭된 농민운동의 실패로 혁명의 기운이 퇴조하자, 정강산(井岡山)으로 들어가 소비에트 근거지를 만들어 공농홍군(工農紅軍)을 조직하게 됐던 것이다. 그러고는 이 홍군의 지지 아래 1931년 강서성 서금에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임시정부를 설립해 주석에 선출됐지만, 중국 국민당군이 포위작전을 벌이며 소비에트 지역에 대한 토벌을 단행하자 이만오천 리에 이르는 장정을 떠나게 됐다. 그러는 도중 귀주성 준의에서 열린 회의를 통해 당의 주도권을 잡으며 섬서성 연안에 근거지를 정하고, 본격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며 농민들의 호응을 얻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경험과 그동안의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을 총동원해 1937년에 「모순론」과 「실천론」을 집필했고, 이러한 이론의 정립은 러시아식 사회주의 혁명과는 다른 중국식 사회주의 혁명이론을 탄생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들 두 가지 이론은 중국 혁명의 절대적인 이론적 기초가 됐고, 혁명 성공 후에 모택동의 정권 유지 또는 정권 재창출의 기초가 되기도 했다.

마오쩌둥의 모순론

「모순론」은 1937년 연안에 있는 항일군정대학 철학과에서 강의한 내용 중의 한 부분이다. 전문 약 2만 3,000자에 이르는 것으로, 이 강의 내용 중 제3장 제1절의 '모순통일법칙'을 수정해 완성한 것이다. 「모순론」도 여러 곳에서 출판된 바 있으나, 모택동이 친히 교정해 1951년 4월 1일자 「인민일보」를 통해 발표한 것이 가장 정확하다. 「모순론」이란 레닌이 주장한 '대립물 통일의 법칙'이라는 변증법관을 모택동이 받아들여 이를 '모순'이라는 이론으로 체계화한 것을 말한다.

공자학원

중국은 공자학원을 중국의 문화라는 소프트파워를 확산하기 위한 기관으로 인식했다. 이런 점에서 공자학원은 중국의 소프트파워를 가장 대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만큼 공자학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그 속에서 중국의 소프트파워 또한 끄집어내 보려고 한다.

소개

‘공자학원’이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공자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화인이며 사상과 교육가인 점에서 교육기관의 명칭으로 적절하고 공자의 사상인 화위기, 화이부동의 이념으로 조화와 포용을 내세운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공자학원은 2004년 한국에서 처음 성립한 이래 10여년 동안 해외 언어와 문화 교육 비영리 기관의 성격에서 중국의 문화대국전략의 큰 그늘아래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으며 오늘에 이르렀다. 공자학원의 해외설립은 세계 각국 문화기구들의 담론의 문화적 네트워크를 모방한 방식이다. 20세기 이래 세계 각국의 자국의 언어와 문화를 소개하는 기구를 타 지역에 설립한 것은 일반적이고 역사적인 현상이었다. 이는 자국에 대한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자 전략적으로 활용되었다. 중국 또한 공자학원을 중국의 새롭고 긍정적인 이미지 제고의 역할을 부여하여 중국의 소프트파워 확산의 핵심으로 활용하였다.

공자학원의 설립

타 지역에 자국의 문화기구를 설립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지만 그 방식에서는 중국이 다른 나라들과는 다른 방식을 이용했다. 서구의 기존 문화기구와 달리 중국의 공자학원은 교육기관으로 각국의 대학에 설립하는 방식을 취했다. 설립시의 비용의 절반을 한반(교육부 소속 기관)이 지원하고 파견교사 역시 한반이 지원하므로 중국내의 대학과 설립지역의 대학은 큰 부담이 없고 필요한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을 시행 할 수 있었기에 쉽게 설립될 수 있었다. 이에 중국내의 대학이 적극적으로 협력대학을 모색하게 되면서 공자학원의 각국으로의 진출이 급속하게 이루어졌다.

세계 여러 지역 중 대표로 미국 내의 공자학원의 설립에 대해 살펴보겠다. 미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공자학원은 메릴랜드대학 공자학원이다. 텐진의 난카이대학과 합작의 방식으로 언어교육과 문화 활동을 시작했다. 그 외 몇 개의 예를 더 들자면 시카고 공자학원은 상하이 화동사법대학과 2006년 5월 시카고시 공립학교가 국가한반공자학원총부와 합작하여 성립한 것으로 초등, 중등학교 및 유아교육을 담당한 교육기관이다. 필라델피아주 피츠버그대학의 공자학원은 2007년 우한대학과 함께 만들어졌다. 2008년부터 펜실베니아주는 중국어를 중학과정에 두게 되었고 2010년 초까지는 일반인과 성인을 대상으로도 중국어를 가르치기도 했다.

공자학원총부

2007년 공자학원총부가 설립되었다. 공자학원총부의 목적은 각국의 공자학원 자체의 조직을 연계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세계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컨트롤 타워의 성격을 가졌다고도 볼 수 있다. 공자학원총부는 매년 세계 공자학원 대회를 개최하고, 이전부터 치러졌던 중국어 대회인 세계 한어교대회를 매년 7월에 개최하기도 한다. 중국내외에 홍보. 공자학원총부는 중국이 미디어의 발전을 매우 강조하는 상황 속에서 미디어와의 연계에 힘을 쏟았다. 라디오와 TV는 물론 인터넷 공자학원도 구축하였다. 인터넷 공자학원은 매우 효과적으로 중국어를 확산시키는 시스템의 구축으로 평가되었다. 공자학원은 미디어의 네트워크로 연계되어 언어교육의 기지로 브랜드화 되어갔다.

서구 속의 공자학원의 이미지 (미국)

미디어에서는 처음부터 공자학원을 중국의 소프트 파워 전략 기관으로 소개했다. 중국 내의 유교에 대한 전파나 확산은 공산당 정부의 통제와 정권의 지속을 위한 방편에 불과하며 그 정당성을 유지해주는 보수적 성격이 강하다는 것을 부각했다. 또한 중국내의 매체의 통제 상황을 전제하고 인민일보의 공자학원 보도를 인용하므로써 공자학원이 정부의 통제에 의해 운영되고 관영매체에 의해 선전되는 것이라는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형성했다. 이와 같이 미디어 속에는 공자학원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가득했다. 2014년 미국 내의 공자학원 폐쇄움직임에 대한 기사의 경우 공자학원의 성격과 운영 등을 문제시했으며 공자학원의 재정지원이나 중국 대학 측의 적극적인 입장 등에 대해서는 소개하지 않고 위와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들로만 기사 내용이 이루어졌다.

즉 서구의 미디어는 공자학원 그리고 중국 소프트파워의 핵심인 유교에 대해 낙후된 전통 그리고 중국정부의 정당화를 지속시키는 목적으로 바라보는 프레임을 지속시켰다. 이런 이미지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단순히 현지화의 강조만이 아닌 중국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민간도 참여한 풍부한 문화의 내용을 갖추는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미국의 기존 매체의 보도 틀을 바꾸고 공자학원 역시 매력적인 이미지로 대체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중국식 혁명이론의 완성 (모택동-13억 중국인의 정신적 지주, 2009. 3. 25., ㈜살림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