龜
語源
龜는 땅에서도 물에서도 사는 네 발 동물로, 거북이나 남생이를 가리킨다. 거북은 몸이 둥글고 납작하며 배에는 단단한 껍데기가 있다. 사지와 머리, 그리고 꼬리는 모두 수축하여 껍데기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갑골문과 금문의 龜자는 각각 거북의 측면과 정면의 모습을 상형하고 있다.
文化
‘거북’이라는 우리말이 한자에서 온 것이라면? 조선 영조 때 황윤석이라는 학자는 우리말 ‘거북’이 한자어 ‘귀복(龜卜)’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주장했다.[1] 이는 현대의 국어학자들은 인정하지 않는 것이지만, 그만큼 한자 龜를 이야기 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거북점(龜卜)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중국 고대 은(殷)나라 때에는 국가의 크고 작은 일들을 행함에 있어 점복(占卜)의 결과를 매우 크게 반영했는데, 그 점복의 재료가 된 것이 짐승의 뼈(獸骨)와 거북이 껍질(龜甲)이었다. 거북점의 경우 거북이 배딱지(보통 등껍질로 잘못 알고들 있다)을 불에 떼어 그 갈라진 모양을 보고 점괘를 판단했는데, 卜(점 복)의 자형은 이 갈라진 모양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대인들은 거북점을 칠 때 거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더 영험하다고 믿었는데, 크기가 큰 거북을 지칭하는 '원귀(元龜)'는 <시경詩經>에서도 인용된 바 있다.[2] 이렇듯 고대에 점복에 있어서 거북이가 매우 중요한 재료였던 탓에, 거북이는 영물(靈物)로써 여겨지게 되었고, 이러한 상징부여는 중국의 천지창조 신화에서 거북이 우주의 기둥을 자신의 등에 짊어지고 있다고 하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이 신화 때문에 거북은 장수(長壽)와 강인함의 표상으로 사용되었다.[3]
이렇듯 좋은 상징을 부여받았던 거북은, 원(元)나라 때부터 그 사회적 지위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부터 ‘거북’이란 표현은 그 생김새의 유사성 때문에 남성의 성기를 가리키는 욕으로 쓰였다. 또한 생태적 특성 때문에(거북이 알을 낳아놓으면 자라가 와서 수정을 함) ‘아비도 모르는 자식’이라는 뜻을 품게 되기도 했다.[4] 결과적으로 현대 중국에서 거북이는 긍정적 상징과 부정적 상징을 동시에 갖고 있는 동물이 되었다.